Description
한국에서 처음 번역되어 출간된 도서이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괴테와 실러와 교류하였고, 다윈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훔볼트의 저서를 매우 주의 깊게 읽고 자신의 산문 스타일을 훔볼트식 방향으로 바꾼 사람 중 한 사람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였다.
1799년 훔볼트는 프랑스 식물학자 봉플랑(Aimé Bonpland)과 함께 과학적 발견을 위해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유산의 도움으로 베네수엘라, 페루, 쿠바, 멕시코까지 여행을 한 후, 1804년에 다시 파리로 돌아와 예술과 과학의 통섭(consilience)이 잘 드러나는 이 책을 쓴다.
『자연의 풍경들』은 훔볼트가 경험하고, 맛보고, 기억 속에 보석처럼 소중히 간직한 몇몇 장소에 집중하나, 세부 사항이 아니라 자연 전체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갖도록 노력했다. 그리하여 우리가 단지 자연을 바라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자연의 힘과 아름다움에 감동해서 자기 고양 또는 자기 교육을 실천하길 원한다.
제1장 “스텝과 사막에 대해”서는, 스텝이나 사막은 거의 생명이나, 물이 없는 세계를 기반으로 한다. 끊임없이 메마른 대지 자체는 순수한 존재를 위해서 충분하지 않지만, 필요한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행성적 관점이다. 먼저 어떤 지질학적, 기후 조건이 전 세계적으로 생명이 없는 광활한 지역을 만드는지 묻고 그다음 행성 자체가 어떻게 생명의 가능성을 구성하는지 묻고, 생명체의 이동과 이주, 심지어 인간 문명의 기원과 운명까지 묻는다. 훔볼트의 글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인 말들을 전기 뱀장어가 사는 연못으로 몰아넣어 전기 뱀장어를 잔인하고 폭력적으로 포획하는 장면이 나온다.
제2장 “아투레스와 마이푸레스의 오리노코 강 폭포들”에서는 그 반대의 내용이 나타난다. 오리노코 강은 폭포와 운무림과 무성하고 아름다운 물의 세계로 제시된다.
제3장 “원시림 속 동물들의 야간 생활”은 언어의 회복을 다루고 있다. 첫째, 부주의한 언어사용으로 값싸고 진부한 말로 닳아버린 우리의 언어를 다루고, 그 다음에는 자연의 언어를 다루는데, 우리의 언어가 생명력이 있고 생생하게 유지되려면 말하는 법을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문자 그대로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에는 "모든 것이 활동적이고 유기적인 힘의 세계를 알려준다.”라고 말한다.
제4장 “식물 관상학에 대한 생각들”에서 식물은 소리보다는 형태로 말한다는 것이다. 자연에는 문자 그대로 "얼굴", 즉 "골상학"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훔볼트는 자연의 얼굴은 피상적이지도 않아, 자연의 깊은 구조나 풍경 형태, 심지어 진화적 변화를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제5장 "세계 여러 지역 화산의 구조와 활동 종류"는 초점을 표면에서 깊이로 다시 전환한다. "유기적 자연은 각각의 땅에 고유한 생리적 특성을 부여한다." 단단한 것처럼 보이는 지구도 유기체처럼 변화하고 진화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보여 준다.
제6장 “생명력 혹은 로도스 섬의 정령”에서, 생명의 본질은 무엇인가? 라고 질문하지만 우리는 전혀 모른다. 과학은 여기서 멈춘다. 왜냐하면 활력의 샘물들에 과학의 방법으로는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화인 제6장을 삽입한다.
마지막 제7장 "잉카 왕 아타우알파의 옛 수도 카하마르카의 고원지대"는 훔볼트가 내륙 여행에서 다시 바다를 마주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는 끝이 난다. 잉카인들이 건설하고 스페인인들이 파괴한 웅장하고 인상적인 포장도로를 이야기한다. 폐허로 변한 잉카 문명이 자주 등장한다.
이 책을 통해서 훔볼트는 과학은 “사실의 무익한 축적”이 되어서는 안 되고 인문학, 특히 시와 예술과 함께하여 한 단계 도약하는 과학의 통섭을 주장한다. 그리하여 과학도 상상력에 의해 활기차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괴테와 실러와 교류하였고, 다윈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훔볼트의 저서를 매우 주의 깊게 읽고 자신의 산문 스타일을 훔볼트식 방향으로 바꾼 사람 중 한 사람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였다.
1799년 훔볼트는 프랑스 식물학자 봉플랑(Aimé Bonpland)과 함께 과학적 발견을 위해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유산의 도움으로 베네수엘라, 페루, 쿠바, 멕시코까지 여행을 한 후, 1804년에 다시 파리로 돌아와 예술과 과학의 통섭(consilience)이 잘 드러나는 이 책을 쓴다.
『자연의 풍경들』은 훔볼트가 경험하고, 맛보고, 기억 속에 보석처럼 소중히 간직한 몇몇 장소에 집중하나, 세부 사항이 아니라 자연 전체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갖도록 노력했다. 그리하여 우리가 단지 자연을 바라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자연의 힘과 아름다움에 감동해서 자기 고양 또는 자기 교육을 실천하길 원한다.
제1장 “스텝과 사막에 대해”서는, 스텝이나 사막은 거의 생명이나, 물이 없는 세계를 기반으로 한다. 끊임없이 메마른 대지 자체는 순수한 존재를 위해서 충분하지 않지만, 필요한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행성적 관점이다. 먼저 어떤 지질학적, 기후 조건이 전 세계적으로 생명이 없는 광활한 지역을 만드는지 묻고 그다음 행성 자체가 어떻게 생명의 가능성을 구성하는지 묻고, 생명체의 이동과 이주, 심지어 인간 문명의 기원과 운명까지 묻는다. 훔볼트의 글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인 말들을 전기 뱀장어가 사는 연못으로 몰아넣어 전기 뱀장어를 잔인하고 폭력적으로 포획하는 장면이 나온다.
제2장 “아투레스와 마이푸레스의 오리노코 강 폭포들”에서는 그 반대의 내용이 나타난다. 오리노코 강은 폭포와 운무림과 무성하고 아름다운 물의 세계로 제시된다.
제3장 “원시림 속 동물들의 야간 생활”은 언어의 회복을 다루고 있다. 첫째, 부주의한 언어사용으로 값싸고 진부한 말로 닳아버린 우리의 언어를 다루고, 그 다음에는 자연의 언어를 다루는데, 우리의 언어가 생명력이 있고 생생하게 유지되려면 말하는 법을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문자 그대로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에는 "모든 것이 활동적이고 유기적인 힘의 세계를 알려준다.”라고 말한다.
제4장 “식물 관상학에 대한 생각들”에서 식물은 소리보다는 형태로 말한다는 것이다. 자연에는 문자 그대로 "얼굴", 즉 "골상학"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훔볼트는 자연의 얼굴은 피상적이지도 않아, 자연의 깊은 구조나 풍경 형태, 심지어 진화적 변화를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제5장 "세계 여러 지역 화산의 구조와 활동 종류"는 초점을 표면에서 깊이로 다시 전환한다. "유기적 자연은 각각의 땅에 고유한 생리적 특성을 부여한다." 단단한 것처럼 보이는 지구도 유기체처럼 변화하고 진화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보여 준다.
제6장 “생명력 혹은 로도스 섬의 정령”에서, 생명의 본질은 무엇인가? 라고 질문하지만 우리는 전혀 모른다. 과학은 여기서 멈춘다. 왜냐하면 활력의 샘물들에 과학의 방법으로는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화인 제6장을 삽입한다.
마지막 제7장 "잉카 왕 아타우알파의 옛 수도 카하마르카의 고원지대"는 훔볼트가 내륙 여행에서 다시 바다를 마주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는 끝이 난다. 잉카인들이 건설하고 스페인인들이 파괴한 웅장하고 인상적인 포장도로를 이야기한다. 폐허로 변한 잉카 문명이 자주 등장한다.
이 책을 통해서 훔볼트는 과학은 “사실의 무익한 축적”이 되어서는 안 되고 인문학, 특히 시와 예술과 함께하여 한 단계 도약하는 과학의 통섭을 주장한다. 그리하여 과학도 상상력에 의해 활기차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자연의 풍경들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