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 동양고전 슬기바다 2

맹자 - 동양고전 슬기바다 2

$17.00
Description
유교사상을 완성한 맹자의 철학이 담긴 최고의 정치사상서
맹자는 왕도정치를 통한 민심 획득을 실현하려 노력한 철학자였다
맹자는 사상가이기 이전에 정치가이다. 맹자가 생애의 대부분을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유세한 것은 유학이념 전파보다는 제후에게 등용되어 그것을 실제 정치에서 실현하기 위해서였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내적 본질에 대한 지적 호기심에서 나온 철학적 주장이 아니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가 실현하려고 했던 이상적인 정치의 가능 근거로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맹자』라는 책의 기본적인 성격은 정치사상서이다.맹자는 당시 모든 제후들이 시행하는 힘에 의존하는 패도정치를 맹렬히 비판하면서 통일된 천하의 왕이 되는 가장 빠른 방법으로 왕도정치를 통한 민심의 획득이라고 주장한다. 왕도정치란 왕의 덕에 바탕을 둔 어진 정치(仁政)인데, 맹자는 왕도정치의 조건으로 왕의 도덕적인 마음, 민생 보장을 통한 경제적 안정, 현능한 관리 등용, 적절한 세금의 부가와 도덕적 교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군주의 도덕적 각성을 통해 복지국가 건설을 꿈꿨던 맹자
일반 독자를 위한 가장 친절한 《맹자》 번역서를 만나자

맹자는 천하를 잃거나 얻는 것은 모두 백성의 마음을 잃거나 얻는 것에서 결정된다고 보았다. 백성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백성이 원하는 것은 얻게 해주고 백성이 싫어하는 것은 실행하지 않아야 하는데, 그것은 바로 군주의 도덕적인 마음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결국 왕도정치란 군주를 포함한 지배계층의 도덕적 각성을 바탕으로 백성의 경제적 복지를 보장하고 도덕적 교화를 실행하는 복지국가와 도덕국가를 목표로 하는 정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원문을 따라가는 직역보다 의미의 전달을 위주로 번역했다. 그러나 원문의 존재를 무시하지는 않았다. 원문에 없는 추가적인 문장 성분이나 단어를 덧붙이는 것은 피하면서 가장 적절한 우리말 표현을 찾는 방법으로 의미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주석과 해설은 본문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경우로 한정해 실었다. 일반 독자들이 《맹자》라는 고전을 쉽게 이해하고 보다 가까이할 수 있도록 한 번역서이다.

저자

맹자

맹자의이름은가(軻)이다.주나라때(BC372~BC289추정)사람이다.공자시대이후유가에서가장큰학파를이룬사람으로제나라,위나라,등나라등을다니면서제후들에게인의(仁義)의덕을바탕으로하는왕도정치(王道政治)가춘추전국시대의정치적분열상태를극복할유일한방법이라고강의하고다니다가고향으로돌아온것이70세가량으로추정된다.고향으로돌아와제자들과함께『시경』과『서경』,공자의뜻에대해토론했으며그때만들어진책이오늘날전해지는『맹자』7편이다.후한의학자조기가『맹자장구』를지으면서각편을상하로나누어현재의14편이된것이다.

목차

옮긴이의말
양혜왕상
양혜왕하
공손추상
공손추하
등문공상
등문공하
이루상
이루하
만장상
만장하
고자상
고자하
진심상
진심하

출판사 서평

군주의도덕적각성을통해복지국가건설을꿈꿨던맹자
일반독자를위한가장친절한《맹자》번역서를만나자

맹자는천하를잃거나얻는것은모두백성의마음을잃거나얻는것에서결정된다고보았다.백성의마음을얻기위해서는백성이원하는것은얻게해주고백성이싫어하는것은실행하지않아야하는데,그것은바로군주의도덕적인마음에서나온다고생각했다.결국왕도정치란군주를포함한지배계층의도덕적각성을바탕으로백성의경제적복지를보장하고도덕적교화를실행하는복지국가와도덕국가를목표로하는정치를말하는것이다.

이책은전체적으로원문을따라가는직역보다의미의전달을위주로번역했다.그러나원문의존재를무시하지는않았다.원문에없는추가적인문장성분이나단어를덧붙이는것은피하면서가장적절한우리말표현을찾는방법으로의미전달이이루어지도록했다.주석과해설은본문을이해하는데꼭필요한경우로한정해실었다.일반독자들이《맹자》라는고전을쉽게이해하고보다가까이할수있도록한번역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