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그림 그리고 소설 쓰고,
또 연애하고 여행하며 허랑방탕 살려고 했는데
어느 날 화들짝, 손님이 찾아왔다
만화가가 꿈이었다. 용돈 손에 쥐고 만화방에 뛰어갈 때마다 엄마한테 쥐어박혀서 뭔가 더 우아한 장래희망을 갖기로 마음먹었다. 만화책을 펼칠 땐 언제든 욕을 먹었지만 동화책은 밥상머리에서 읽어도 칭찬을 받았으므로 소설가가 되어야지, 생각했다. 그때가 열 살이었다. 딴생각 않고 오롯이 소설가의 꿈만 꾸었고, 다행히도 소설가가 되었다. 무척이나 운이 좋았다.
그래서 소설 쓰고, 종종 그림이나 그리며 살려고 했다. 연애도 하면 좋지. 걸핏하면 집을 비우고 몇 달씩 여행을 다녔다. 자고로 인생은 그렇게 탕진해야 제맛이라고 생각했다. 평생 나풀나풀 살 생각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손님이 찾아왔다. 그 누구보다 비혼에 앞장섰던 김서령 작가에게, 그것도 마흔두 살에. 임신테스트기를 손에 쥐고 김서령 작가는 중얼거렸다. “와…… 미친…… 정말 미치지 않고서야.”
내가 너의 엄만데 말이야,
네 맘에 들었으면 좋겠어
아는 것이 하나도 없었으므로 용맹했다. 화들짝 지구에 날아온 꼬마 요정이 무턱대고 우스웠을 뿐이었다. 자식들이 결혼할 것이라고는 한 번도 생각하지 않았던 양가 부모님은 어떤 신랑감이냐, 어떤 신붓감이냐 물어볼 새도 없었다. 서로를 부모님에게 소개도 하기 전 예식장부터 예약했고, 심심한 사십대에 접어들어 별 할 일도 없던 친구들은 이 우습기 짝이 없는 결혼식에 너도나도 몰려왔다. 떡갈비 스테이크만 700접시가 나갔다. 비혼을 약조한 친구들에게 배신자 소리를 백 번도 더 들었다.
꼬마 우주는 그렇게 지구에 무사히 도착했다. 무르지도 못할 그 관계를 김서령 작가는 지난 시간 꾸준히 기록했다. 돌이켜 보니 세상을 새롭게 탐색하는 시간이었다. 김서령 작가와 꼬마 우주가 꾸린 다정하고 유쾌한 지구 모험단.
이 책은 절대 육아 에세이가 아니에요,
한 편의 반짝이는 성장소설입니다
성장소설의 필요충분조건은 ‘변화’다. 등장인물이 소설의 처음과 끝에서 명백히 ‘변화’를 보여야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분명 성장소설이다.
쫀쫀한 수제비 반죽 같던 아기 우주는 이제 열 살이 되어 짐짓 노련한 지구 탐험가가 되었다. 여기 놀러 왔는데, 멀고 먼 어느 세상에 먼지로 떠돌다 지구가 마음에 들어 한번 놀러 가볼까? 하며 들렀던 김서령 작가도 우주와 만나 모험을 하는 내내 지구 생존법을 스무 가지쯤 더 배웠다. 지구의 삶은 생각보다 빡세고 피곤하지만 두 사람 모두 꽤 잘 적응했다.
김서령 작가가 조물조물 그린 따스한 그림이 함께 실린 이 책은
경기문화재단 경기예술지원작으로 선정되었어요
작가 김서령 특유의 담담하고 따뜻한 문장은 이전 산문집과 다를 바 없다. 첫 번째 산문집 《우리에겐 일요일이 필요해》, 두 번째 산문집 《에이, 뭘 사랑까지 하고 그래》에서처럼 동네 친한 언니와 수다를 나누는 느낌이다. 이전 산문집에서 존재감이 돋보였던 작가의 어머니와 H언니를 다시 소환하는 재미도 쏠쏠.
게다가 꼬마 우주는 그야말로 매력투성이인데, 무려 5개월 아기 시절 보행기를 하도 열심히 타 발바닥에 굳은살이 박였다. 그 근성은 열 살이 되어도 그대로다. 엄마와 이모들에게 촌철살인 날려주는 삶의 지혜가 우습고 귀여워 작가의 SNS에선 이미 인기만점 캐릭터이다.
그것에 더해 김서령의 그림이 실렸다. 소설 다음으로 그림을 좋아한다는 작가는 짬짬이 그린 그림을 책 속에 넣었다. 김서령의 따스한 문장을 그대로 닮은 그림이다. 한 장 뜯어 책상 옆에 붙여두면 그대로 친구 삼아도 될 것 같은 얼굴들이 책 속에 송송 박혔다.
《화들짝 지구 불시착》은 2024년 경기문화재단이 주관하는 경기예술지원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 연애하고 여행하며 허랑방탕 살려고 했는데
어느 날 화들짝, 손님이 찾아왔다
만화가가 꿈이었다. 용돈 손에 쥐고 만화방에 뛰어갈 때마다 엄마한테 쥐어박혀서 뭔가 더 우아한 장래희망을 갖기로 마음먹었다. 만화책을 펼칠 땐 언제든 욕을 먹었지만 동화책은 밥상머리에서 읽어도 칭찬을 받았으므로 소설가가 되어야지, 생각했다. 그때가 열 살이었다. 딴생각 않고 오롯이 소설가의 꿈만 꾸었고, 다행히도 소설가가 되었다. 무척이나 운이 좋았다.
그래서 소설 쓰고, 종종 그림이나 그리며 살려고 했다. 연애도 하면 좋지. 걸핏하면 집을 비우고 몇 달씩 여행을 다녔다. 자고로 인생은 그렇게 탕진해야 제맛이라고 생각했다. 평생 나풀나풀 살 생각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손님이 찾아왔다. 그 누구보다 비혼에 앞장섰던 김서령 작가에게, 그것도 마흔두 살에. 임신테스트기를 손에 쥐고 김서령 작가는 중얼거렸다. “와…… 미친…… 정말 미치지 않고서야.”
내가 너의 엄만데 말이야,
네 맘에 들었으면 좋겠어
아는 것이 하나도 없었으므로 용맹했다. 화들짝 지구에 날아온 꼬마 요정이 무턱대고 우스웠을 뿐이었다. 자식들이 결혼할 것이라고는 한 번도 생각하지 않았던 양가 부모님은 어떤 신랑감이냐, 어떤 신붓감이냐 물어볼 새도 없었다. 서로를 부모님에게 소개도 하기 전 예식장부터 예약했고, 심심한 사십대에 접어들어 별 할 일도 없던 친구들은 이 우습기 짝이 없는 결혼식에 너도나도 몰려왔다. 떡갈비 스테이크만 700접시가 나갔다. 비혼을 약조한 친구들에게 배신자 소리를 백 번도 더 들었다.
꼬마 우주는 그렇게 지구에 무사히 도착했다. 무르지도 못할 그 관계를 김서령 작가는 지난 시간 꾸준히 기록했다. 돌이켜 보니 세상을 새롭게 탐색하는 시간이었다. 김서령 작가와 꼬마 우주가 꾸린 다정하고 유쾌한 지구 모험단.
이 책은 절대 육아 에세이가 아니에요,
한 편의 반짝이는 성장소설입니다
성장소설의 필요충분조건은 ‘변화’다. 등장인물이 소설의 처음과 끝에서 명백히 ‘변화’를 보여야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분명 성장소설이다.
쫀쫀한 수제비 반죽 같던 아기 우주는 이제 열 살이 되어 짐짓 노련한 지구 탐험가가 되었다. 여기 놀러 왔는데, 멀고 먼 어느 세상에 먼지로 떠돌다 지구가 마음에 들어 한번 놀러 가볼까? 하며 들렀던 김서령 작가도 우주와 만나 모험을 하는 내내 지구 생존법을 스무 가지쯤 더 배웠다. 지구의 삶은 생각보다 빡세고 피곤하지만 두 사람 모두 꽤 잘 적응했다.
김서령 작가가 조물조물 그린 따스한 그림이 함께 실린 이 책은
경기문화재단 경기예술지원작으로 선정되었어요
작가 김서령 특유의 담담하고 따뜻한 문장은 이전 산문집과 다를 바 없다. 첫 번째 산문집 《우리에겐 일요일이 필요해》, 두 번째 산문집 《에이, 뭘 사랑까지 하고 그래》에서처럼 동네 친한 언니와 수다를 나누는 느낌이다. 이전 산문집에서 존재감이 돋보였던 작가의 어머니와 H언니를 다시 소환하는 재미도 쏠쏠.
게다가 꼬마 우주는 그야말로 매력투성이인데, 무려 5개월 아기 시절 보행기를 하도 열심히 타 발바닥에 굳은살이 박였다. 그 근성은 열 살이 되어도 그대로다. 엄마와 이모들에게 촌철살인 날려주는 삶의 지혜가 우습고 귀여워 작가의 SNS에선 이미 인기만점 캐릭터이다.
그것에 더해 김서령의 그림이 실렸다. 소설 다음으로 그림을 좋아한다는 작가는 짬짬이 그린 그림을 책 속에 넣었다. 김서령의 따스한 문장을 그대로 닮은 그림이다. 한 장 뜯어 책상 옆에 붙여두면 그대로 친구 삼아도 될 것 같은 얼굴들이 책 속에 송송 박혔다.
《화들짝 지구 불시착》은 2024년 경기문화재단이 주관하는 경기예술지원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화들짝 지구 불시착
$1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