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주 - 백조 소설선 2

염주 - 백조 소설선 2

$15.00
Description
2001년 《불교신문》, 2007년 《한국일보》에 단편소설이 당선되어 등단한 유응오 소설가가 두 번째 장편소설 『염주』를 출간하였다. 『염주』는 『하루코의 봄』 출간 이후 6여 년 만에 선보이는 유응오 소설가의 장편소설이다.
『염주』는 일제강점기, 해방, 분단으로 이어지는 격동의 역사에서 정치사적으로 주요한 인물들의 삶을 염주 알을 꿰서 염주를 만들 듯 형상화한 작품이다.
특히 이 작품은 해방 이후 끊임없이 지속된 좌익과 우익, 진보와 보수의 반목을 화쟁(和諍)과 화엄(華嚴)이라는 불교사상에 입각해 상생의 길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염주』는 박헌영의 아들인 원경 스님과 빨치산 토벌대장인 차일혁의 교차 시점으로 구성돼 있는 팩션(Faction) 소설이다. 원경스님의 시점에서는 박헌영, 이현상, 김상룡, 이주하, 주세죽 등 남북 양측에서 버림받은 남로당계 공산주의자들이 등장하고, 차일혁의 시점에서는 목숨을 걸고 싸워야 했던 빨치산과 토벌대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1980년대 이후 출간된 빨치산 문학 내지는 정치소설들이 지나치게 고발적이거나 정파 투쟁적 관점에 빠져서 메마른 몸피를 보였다면, 『염주』는 인간의 존재와 관계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의 해답으로 불교사상을 제시함으로써 이전 문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역사소설’이자 ‘정치소설’이며 ‘불교소설’인 『염주』는 자본주의 일상의 퇴폐적이고 쇄말적인 인간상의 미시문학이 판치는 근래 한국 문학계에 보기 어려운 거대담론의 작품이다. 특히, 불교적인 사유가 충만해 있는 유응오 소설가의 문체는 ‘오동향로烏銅香爐에 피어오르는 향의 연기’처럼 작품의 깊이와 풍미를 더하고 있다.

“낱낱의 염주 알이 모여서 이 염주가 되었지요. 그러니까 이 염주는 여럿이자 하나이고 하나이자 여럿이에요.” 라는 원경 스님의 대사는 종교의 저열한 허무주의 사상이 아니라 우리 인간 공동체와 광대한 우주 공간 속에서 인간 실존의 근원을 끝까지 파헤치려는 작가의 치열한 고투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 소설 일각의 내용 없는 무료함과 따분함의 세계에서 벗어나 소설과 문학의 본질에 대해 다시 한 번 성찰하게 해 준 소설 『염주』에 깊이 감사한다.(김용락 시인)
저자

유응오

1972년충남부여에서태어났고,대전대정치외교학과,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문예창작학과를졸업했다.대학시절중앙대의혈창작문학상,숙명여대범대학문학상,영남대천마문화상등전국대학생대항문예공모전에서시가당선되었으며,2001년《불교신문》신춘문예와2007년한국일보신춘문예단편소설부문에당선되어등단하였다.'주간불교신문'취재기자로근무하며,학위위조사건을보도하여한국불교기자협회대상인선원빈기자상을수상하기도하였다.장편소설『하루코의봄』,영화평론『불교,영화를만나다』등을출간했다.

목차

008허공을걷는사람들
―1955년설날의꿈
018소비에트연방공화국에서부르는진혼곡
―1991년10월경모스크바
078알파(Α)와오메가(Ω)의시간
―1955년1월경충주경찰서
114매향암각을새긴사람들
―1991년12월경예산임존성
144오동향로烏銅香爐에피어오르는연기
―1955년2월경전주원각사圓覺寺
186해원탑解塔앞에서만난마스크
―2020년10월경평택만기사
210두손은넝쿨이되고,두발은덩굴이되어
―1955년4월경안동교도소
234하나이자여럿이고여럿이자하나
―2021년설날의꿈
242해설
262작가의말

출판사 서평

1950여년부터2020여년까지를유장한시대배경으로하는『염주』는시간적배경만큼이나공간적배경도웅장하다.남북한은물론이고모스크바,크질오르다유형지를넘나드는이소설은신냉전체제를겪고있는대한민국의독자들에게미래의한반도청사진을제시하고있다.『염주』는과거사의일화들을통해이념논쟁이뜨거웠던한국근대사를간접경험하는것에그치지않고‘화엄(華嚴)의역사’와‘화쟁(和諍)의정치’라는미래시대의담론을역설하고있는것이다.70~80여년전좌우로반목했던한반도의이야기가현재진행형인것처럼느껴지는이유는아직까지도풀지못한시대의공업(共業)이남아있기때문일것이다.크고작은갈등이만연한시대에『염주』를읽으면서독자들이‘화엄(華嚴)의역사’와‘화쟁(和諍)의정치’에대해숙고해보는시간을가졌으면하는바람이다.

추천사

이전시기의빨치산문학이나정치소설이지나치게고발적이거나정파투쟁적관점에빠져서메마른몸피를보였다면,『염주』는이런한계를극복하여인간의존재에대한본질적인고민을불교라는소재를추가하여소설의디테일을더생동감있고풍부하게만들었다.
“여러개의염주알중한알일뿐이에요.낱낱의염주알이모여서이염주가되었지요.그러니까이염주는여럿이자하나이고하나이자여럿이에요.”라는원경스님의대사는불교사상과일맥상통하는데,바로이대목이인간공동체와광대한우주공간속에서인간실존의근원을끝까지파헤치려는작가의치열한고투의표현이라고할수있다.
『염주』에나오는많은인간군상들의헌신은현재한국소설계가목도하고있는자본주의일상의퇴폐적이고쇄말적인인간상과대비된다.
작가가독자들에게말하고싶었던것은결국공동체의선善을지향하고존재의근원을끝까지탐구하려는화쟁과화엄의세계가아닐까?

―김용락시인(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