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공존하면서 동질화된 전쟁과 커뮤니케이션
인류가 집단생활을 시작하고 사회를 형성한 이래 전쟁이 없었던 시기는 단 한 순간도 없었다. 지금도 지구촌 어디에선가는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물질적 탐욕 때문인지 아니면 인간의 원초적 지배 욕구 때문인지 원인을 단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유 없는 전쟁은 없다. 설사 터무니없는 거짓이라 하더라도 그럴듯한 명분을 제기하게 마련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자신들이 얻고자 하는 것을 상대방에게 압박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전쟁은 ‘자신의 의지를 상대방에게 강요하는 가장 분명한 커뮤니케이션 행위’인 것이다.
인간에게 전쟁은 양가성(兩價性, ambivalence)을 가진 존재다. 인간 욕망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두려움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전쟁을 피하고 싶어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켜 왔다.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하는 전쟁은 극단적인 ‘위협적 소구(fear appeal)’의 한 형태다. 그러므로 비폭력적 상징들을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와는 상호 대비된다. 커뮤니케이션은 소통, 공생, 공유 같은 반(反)전쟁적 가치를 지향하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전쟁은 두 현상 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
전쟁과 커뮤니케이션의 공존(공생)
전시에 전쟁 주체들은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가치들을 국익과 안보를 명분으로 제약할 수 있다. 전쟁과 커뮤니케이션은 충돌하면서도 필요에 의해 협력하는 애증관계를 유지해왔다. 그 이유는 커뮤니케이션이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전쟁을 수행하는 유용한 수단이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전쟁 목적과 수행과정에서 정당성이 강조되는 평화전쟁 시대에 커뮤니케이션은 유용하면서도 중요한 무기가 되고 있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은 전쟁과 커뮤니케이션이 군사적 목표 달성을 위해 구조적으로 결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커뮤니케이션이 전쟁의 한 수단으로서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된다는 것은 공존과 공생이라는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본질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쩌면 물리적 폭력 수단을 사용하는 전쟁과 엄격하게 구분하는 이분법 사고는 순진한 생각일 수 있다.
책의 특징
이 책은 전쟁과 모순관계에 있는 커뮤니케이션 행위들이 어떻게 충돌하고 공생하면서 진화해 왔는가는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서술하고 있다. 특히 신문・라디오・텔레비전 같은 매스미디어들이 전쟁에 활용되는 방식을 전쟁 양식 변천 과정과 연계해 설명하고 있다. 제1・2차 세계대전과 동・서 냉전 그리고 20세기 후반 여러 국지전을 거치면서 심리전 활동, 전쟁 보도와 전시 언론통제의 성격 변화를 역사적 사실들과 함께 분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사이버 심리전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첨단무기들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군사작전의 중심으로 포섭되어 가는 과정도 설명하고 있다. 각종 커뮤니케이션 산업이 전쟁과 연계되어 동반 성장하면서 등장한 정보사회의 군사적 기원과 최근 부각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워 게임을 매개로 한 ‘군・엔터테인먼트 복합체(military entertainment complex)’의 발생배경과 구조를 비판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전쟁과 커뮤니케이션: 두 얼굴의 야누스
저자는 전쟁과 커뮤니케이션이 무력적 수단으로 상대에 자신의 의사를 압박하는 전쟁 도구로 결합되면서, 형태는 다르지만 내용적으로 동질화되는 ‘이형동질(異形同質, allomorphism)’이 되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금 인류는 전쟁도 평화도 아닌 ‘일상의 전쟁화’ 상태를 경험하고 있고, 참가하는 전쟁에서 구경하는 전쟁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즉, 커뮤니케이션은 전쟁과 평화의 두 얼굴을 가진 야누스가 되었다는 것이다.
인간에게 전쟁은 양가성(兩價性, ambivalence)을 가진 존재다. 인간 욕망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두려움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전쟁을 피하고 싶어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켜 왔다.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하는 전쟁은 극단적인 ‘위협적 소구(fear appeal)’의 한 형태다. 그러므로 비폭력적 상징들을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와는 상호 대비된다. 커뮤니케이션은 소통, 공생, 공유 같은 반(反)전쟁적 가치를 지향하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전쟁은 두 현상 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
전쟁과 커뮤니케이션의 공존(공생)
전시에 전쟁 주체들은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가치들을 국익과 안보를 명분으로 제약할 수 있다. 전쟁과 커뮤니케이션은 충돌하면서도 필요에 의해 협력하는 애증관계를 유지해왔다. 그 이유는 커뮤니케이션이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전쟁을 수행하는 유용한 수단이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전쟁 목적과 수행과정에서 정당성이 강조되는 평화전쟁 시대에 커뮤니케이션은 유용하면서도 중요한 무기가 되고 있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은 전쟁과 커뮤니케이션이 군사적 목표 달성을 위해 구조적으로 결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커뮤니케이션이 전쟁의 한 수단으로서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된다는 것은 공존과 공생이라는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본질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쩌면 물리적 폭력 수단을 사용하는 전쟁과 엄격하게 구분하는 이분법 사고는 순진한 생각일 수 있다.
책의 특징
이 책은 전쟁과 모순관계에 있는 커뮤니케이션 행위들이 어떻게 충돌하고 공생하면서 진화해 왔는가는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서술하고 있다. 특히 신문・라디오・텔레비전 같은 매스미디어들이 전쟁에 활용되는 방식을 전쟁 양식 변천 과정과 연계해 설명하고 있다. 제1・2차 세계대전과 동・서 냉전 그리고 20세기 후반 여러 국지전을 거치면서 심리전 활동, 전쟁 보도와 전시 언론통제의 성격 변화를 역사적 사실들과 함께 분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사이버 심리전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첨단무기들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군사작전의 중심으로 포섭되어 가는 과정도 설명하고 있다. 각종 커뮤니케이션 산업이 전쟁과 연계되어 동반 성장하면서 등장한 정보사회의 군사적 기원과 최근 부각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워 게임을 매개로 한 ‘군・엔터테인먼트 복합체(military entertainment complex)’의 발생배경과 구조를 비판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전쟁과 커뮤니케이션: 두 얼굴의 야누스
저자는 전쟁과 커뮤니케이션이 무력적 수단으로 상대에 자신의 의사를 압박하는 전쟁 도구로 결합되면서, 형태는 다르지만 내용적으로 동질화되는 ‘이형동질(異形同質, allomorphism)’이 되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금 인류는 전쟁도 평화도 아닌 ‘일상의 전쟁화’ 상태를 경험하고 있고, 참가하는 전쟁에서 구경하는 전쟁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즉, 커뮤니케이션은 전쟁과 평화의 두 얼굴을 가진 야누스가 되었다는 것이다.
전쟁과 평화의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의 두 얼굴
$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