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팬덤 : 놀이에서 노동으로, 현실에서 가상으로 - 컬처룩 미디어 총서 37

흔들리는 팬덤 : 놀이에서 노동으로, 현실에서 가상으로 - 컬처룩 미디어 총서 37

$20.00
Description
팬덤은 고정돼 있지 않다
응원봉으로 대표되는 아이돌 팬덤의 문화가 광장의 문화를 바꿔놓고 있다. K팝 팬덤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더욱 극적으로 변화하는 중이다. 한때 주변부 문화의 수동적 대상으로 그려졌던 팬이, 참여와 창조를 통해 고유의 문화를 만들어 가는 주체로 평가받는다. 아이돌 음악은 더 이상 소수의 취향이 아닌 주류 대중문화로 자리 잡았고, 그 한가운데서 팬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팬덤은 특정 장르, 텍스트, 스타를 단순 소비하는 데 머물지 않고,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한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 정체성을 규정하고, 같은 취향의 사람들과 공동체를 구성하며, 때로는 대중문화 산업의 방향성, 그리고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으로 나아간다. 우리의 팬 문화는 국가의 경계를 넘어 글로벌 팬덤에서도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팬덤의 위상이 커져 온 만큼, 팬덤을 향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개입도 심화돼 왔다. 문화적 하위성을 지녔던 아이돌 팬덤이, 주류 대중문화에 속하게 된 것도 산업의 개입과 관계가 있다. 이제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팬 활동 전반에도 관여한다. 팬을 생산 요소의 일부로 만들어 산업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게 하고, 미디어와 결합해 팬덤을 자본에 포섭하고자 한다. 때문에 더 이상 아이돌 팬덤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흔들리는 팬덤: 놀이에서 노동으로, 현실에서 가상으로》는 지금 한국 사회에서의 아이돌 팬덤에 초점을 맞춰, 아이돌 팬덤과 산업의 밀고 당기는 힘이 어떤 원리를 통해 맞물리는지, 그로 인해 팬덤이 어떻게 재/구성되고, 팬들의 삶과 일상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다각도로 분석한다. 대표적으로, 시청자를 생산자로 호명하는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시리즈를 분석하고 이 시리즈의 방영 및 순위 조작이 밝혀진 이후 과정에서 팬덤의 다층적 변화에 주목하며 놀이/노동의 의미를 고찰한다. 또한 팬 플랫폼과 가상 아이돌 등이 새로운 기술과 함께 팬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들여다본다. 다른 한편으로 팬덤이 다른 산업/자본과 문화, 그리고 한국 곳곳에 만연한 욕망이나 소비문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살핀다. 이러한 팬덤의 양상과 의미를 이해하는 일은 단지 우리 사회에서 가시화된 하나의 문화적 흐름을 파악하는 수준을 넘어, 사회 전체를 성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강신규

저자:강신규
강신규는영상문화연구자로방송,게임,만화,팬덤등을연구한다.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미디어광고연구소책임연구위원이며서강대학교신문방송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저서로는《서브컬처비평》,《아이피,모든이야기의시작》(공저),《서드라이프:기술혁명시대새로운라이프스타일》(공저)등이있으며,논문으로는“이기지않아도재미있다:부모-자녀게임플레이의사회성과행위성,그리고분투형플레이”(한국언론학회학술상수상),“커뮤니케이션을소비하는팬덤:아이돌팬플랫폼과팬덤의재구성”(한국방송학회우현학술상수상),“커뮤니케이션소비로서의랜선문화:브이로그수용과‘연결’개념의확장”,“게임화하는방송:생산자적텍스트에서플레이어적텍스트로”등이있다.

목차

서론왜지금또팬덤인가

1장새로운팬덤의풍경

1.새로운팬덤의등장과다른방식으로팬덤읽기-2.어떻게새
팬덤을다른방식으로읽을것인가

2장생산과소비사이,놀이와노동사이
1.시청자를생산자로호명하는텍스트:리얼리티오디션프로그램-
2.놀이/노동으로서의팬덤-3.놀이/노동의붕괴와이후의리얼리티
오디션프로그램팬덤

3장커뮤니케이션을소비하는팬덤
1.팬플랫폼의등장과확산-2.플랫폼에갇힌팬덤과그작동구조
-3.팬플랫폼과함께살아가는팬들,그리고그들의인지/감각

4장가상과현실사이에놓이는아이돌
1.디지털실감기술과아이돌산업의결합-2.가상아이돌과
가상+현실아이돌위치짓기-3.가상(+현실)아이돌을둘러싼
이슈,그리고팬덤

5장엔터테인먼트산업,그리고팬덤내다보기
1.최근엔터테인먼트산업내주요이슈-2.팬덤의미래:다시팬덤을팬에게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