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연밭에 발목 빠진 낮달이 등 토닥여 주는 오후,
그사이 눈물 봉지 같은 연꽃이 또 터진다“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전하는 심심한 애도
‘모티(모퉁이)’에서 발동하는 해학과 풍자의 받개질
그사이 눈물 봉지 같은 연꽃이 또 터진다“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전하는 심심한 애도
‘모티(모퉁이)’에서 발동하는 해학과 풍자의 받개질
걷는사람 시인선 77번째 시집으로 서하 시인의 『외등은 외로워서 환할까』가 출간되었다. 1999년 《시안》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한 시인은 그동안 시집『아주 작은 아침』 『저 환한 어둠』 『먼 곳부터 그리워지는 안부처럼』을 냈으며 제33회 대구문학상, 제1회 이윤수 문학상을 수상했다.
서하 시인은 우뚝하고 씩씩하게 지난날의 상처를 딛고 새로운 이름으로 살아가는 자신의 얘기를 펼쳐내는가 하면,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인생, 팬데믹이 불러온 미증유의 시대 상황을 예리하고도 환상적인 장면으로 보여 주기도 한다.
“꿈에 마스크를 쓴 아이를 낳았다 하면 믿겠니”(「오랜만에 걸려 온 전화」)라는 표현은 섬뜩한 인류의 오늘을 초상화처럼 그려내고, “죽음도 숨을 쉬는지/추깃물이 뽀글거립니다//혼자 쓰는 죽음이 점점 빼곡해집니다”(「부고를 받고」)라는 대목은 팬데믹이 가져온 병과 죽음의 일상화를 상기하며 ‘쓰는 일’의 사명을 다시금 환기시킨다.
그런 한편 서하 시인이 불러내는 옛이야기는 애잔한 눈물과 천진한 웃음으로 뒤범벅돼 있다. 수학여행 갈 형편이 안 되어 어른들 심부름으로 하루를 보내던 어린 날을 떠올리며 “내 머리칼 잡아당기는 동생을 엉덩이 받치고 있던 손으로 한 대 쥐어박았더니 버려진 오후가 앙앙 울었”(「Cut-in」)던 장면을 소환하는가 하면, “소여물 써는 작두를 옮긴 한 모티”에서 태어나 “본적도, 현주소도 다 모티”(「이름·1」)로 살아왔던, 그저 딸이라는 이유로 구석에서의 삶을 강요당했던 자신의 이야기를 퍽 담담하게, 구성지고도 위트 있게 그려낸다.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여전히 굳건한 남성우월주의를 향해 대찬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는다. “다시 태어나면 벌레가 되더라도 수놈이 되겠다던 고모, 주야장천 대를 이어 내려오는 불알교의 탱탱한 신심은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지”(「불알교」)라는 구절에서는 통쾌함과 쓴웃음이 교차한다.
서하 시인의 위트는 시집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특히 경상도 사투리를 맛깔나게 구현한 「눈 내리는 날」이 절창이다. 선생님을 짝사랑하던 시적 화자가 불현듯 찾아온 실연에 낙망하며 “부글거리는 내 속을 확 디비시 놓은 담임 샘이 엄청시리 미깔시럽었다 (…) 코바늘로 콕콕 찌리고 싶었다”라고 하는 것이나 “찔룩거리던 그날맹크로 배긑에는 아작아작 눈이 온다”, “수학 샘도 담임 샘도 인자는 갱죽거치 다 늙어뿌껬다” 같은 시구를 읽노라면 따뜻하면서도 촉촉한 감성으로 마음이 충만해진다.
삶 도처에 널린 죽음의 상징과 의미를 재해석한 시들도 눈에 띈다. 그는 대놓고 “다정다감하지 않지만 이래라저래라 훈수 두지 않는 해골이 나는 좋다”(「죽은 소의 뿔을 만지다」)고 얘기한다. 소나 고양이 같은 죽어 있는 생명체가 등장하는 시에서는 죽음과 삶이 어떻게 공존하고 있는지를 그려내고, 생명체끼리의 존중과 애도를 처연하고도 아름답게 그려낸다.
해설을 쓴 이성혁 평론가는 “서하의 시는 삶에서 죽음을 찾아내고 죽음에서 생명을 이끌어내면서 써지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시 쓰기는 결국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는 일로 나아갔다. 이렇게 써진 시에는 전도된 시간, 거꾸로 매달린 시간이 응축되어 있을 터였다. 거꾸로 매달린 저 고드름처럼 말이다.”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서하의 시학을 ‘거꾸리 시학’이라고 일컫는다.
장옥관 시인이 ‘추천사’에서 밝힌 것처럼 “해학과 풍자의 겨드랑이에 슬쩍 끼워 넣는 아련하고 아릿한 슬픔의 기미”를 이 한 권의 시집에서 읽을 수 있다.
서하 시인은 우뚝하고 씩씩하게 지난날의 상처를 딛고 새로운 이름으로 살아가는 자신의 얘기를 펼쳐내는가 하면,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인생, 팬데믹이 불러온 미증유의 시대 상황을 예리하고도 환상적인 장면으로 보여 주기도 한다.
“꿈에 마스크를 쓴 아이를 낳았다 하면 믿겠니”(「오랜만에 걸려 온 전화」)라는 표현은 섬뜩한 인류의 오늘을 초상화처럼 그려내고, “죽음도 숨을 쉬는지/추깃물이 뽀글거립니다//혼자 쓰는 죽음이 점점 빼곡해집니다”(「부고를 받고」)라는 대목은 팬데믹이 가져온 병과 죽음의 일상화를 상기하며 ‘쓰는 일’의 사명을 다시금 환기시킨다.
그런 한편 서하 시인이 불러내는 옛이야기는 애잔한 눈물과 천진한 웃음으로 뒤범벅돼 있다. 수학여행 갈 형편이 안 되어 어른들 심부름으로 하루를 보내던 어린 날을 떠올리며 “내 머리칼 잡아당기는 동생을 엉덩이 받치고 있던 손으로 한 대 쥐어박았더니 버려진 오후가 앙앙 울었”(「Cut-in」)던 장면을 소환하는가 하면, “소여물 써는 작두를 옮긴 한 모티”에서 태어나 “본적도, 현주소도 다 모티”(「이름·1」)로 살아왔던, 그저 딸이라는 이유로 구석에서의 삶을 강요당했던 자신의 이야기를 퍽 담담하게, 구성지고도 위트 있게 그려낸다.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여전히 굳건한 남성우월주의를 향해 대찬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는다. “다시 태어나면 벌레가 되더라도 수놈이 되겠다던 고모, 주야장천 대를 이어 내려오는 불알교의 탱탱한 신심은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지”(「불알교」)라는 구절에서는 통쾌함과 쓴웃음이 교차한다.
서하 시인의 위트는 시집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특히 경상도 사투리를 맛깔나게 구현한 「눈 내리는 날」이 절창이다. 선생님을 짝사랑하던 시적 화자가 불현듯 찾아온 실연에 낙망하며 “부글거리는 내 속을 확 디비시 놓은 담임 샘이 엄청시리 미깔시럽었다 (…) 코바늘로 콕콕 찌리고 싶었다”라고 하는 것이나 “찔룩거리던 그날맹크로 배긑에는 아작아작 눈이 온다”, “수학 샘도 담임 샘도 인자는 갱죽거치 다 늙어뿌껬다” 같은 시구를 읽노라면 따뜻하면서도 촉촉한 감성으로 마음이 충만해진다.
삶 도처에 널린 죽음의 상징과 의미를 재해석한 시들도 눈에 띈다. 그는 대놓고 “다정다감하지 않지만 이래라저래라 훈수 두지 않는 해골이 나는 좋다”(「죽은 소의 뿔을 만지다」)고 얘기한다. 소나 고양이 같은 죽어 있는 생명체가 등장하는 시에서는 죽음과 삶이 어떻게 공존하고 있는지를 그려내고, 생명체끼리의 존중과 애도를 처연하고도 아름답게 그려낸다.
해설을 쓴 이성혁 평론가는 “서하의 시는 삶에서 죽음을 찾아내고 죽음에서 생명을 이끌어내면서 써지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시 쓰기는 결국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는 일로 나아갔다. 이렇게 써진 시에는 전도된 시간, 거꾸로 매달린 시간이 응축되어 있을 터였다. 거꾸로 매달린 저 고드름처럼 말이다.”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서하의 시학을 ‘거꾸리 시학’이라고 일컫는다.
장옥관 시인이 ‘추천사’에서 밝힌 것처럼 “해학과 풍자의 겨드랑이에 슬쩍 끼워 넣는 아련하고 아릿한 슬픔의 기미”를 이 한 권의 시집에서 읽을 수 있다.
외등은 외로워서 환할까 - 걷는사람 시인선 77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