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발톱처럼 자라나는 상처를 툭툭 잘라
바다에 묻고 돌아오는 저녁이었다”
모든 존재는 연결돼 있다
고립과 소멸에 저항하는 시(詩)
바다에 묻고 돌아오는 저녁이었다”
모든 존재는 연결돼 있다
고립과 소멸에 저항하는 시(詩)
걷는사람 시인선 80번째 작품으로 하기정 시인의 『고양이와 걷자』가 출간되었다. 시인 하기정은 2010년 영남일보를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해 시집 『밤의 귀 낮의 입술』을 냈으며, 제4회 5·18문학상, 작가의 눈 작품상과 불꽃문학상, 시인뉴스 포엠 시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18년 불꽃문학상을 받을 당시 “낯설고 위험하고 매력적인 질문으로 가득하”다는 평을 받았던 것처럼, 하기정은 이번 시집에서 마음과 마음이 만나 생기는 마찰과 겹쳐짐, 그리고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드는 상상력으로 환상과 실재의 앙상블을 선보인다.
하기정 시인은 누구보다도 섬세한 감각을 가진 사람이다. 손가락 하나로라도 건드리면 툭, 터져 버릴 것 같은 투명한 물방울 같은 존재를 그는 예의주시하며 누군가의 내부에 잠겨 있는 것들, 그림자, 무의식, 꿈, 기억과 같은 것들에 관심을 기울인다. 이런 관심법에 의해서 하기정의 시에 등장하는 사물과 사람, 풍경은 새로운 생기를 얻게 되고, 삶을 회복하며, 신비로운 힘을 겹쳐 입게 되는 아이러니. 이런 그의 시작 태도를 ‘뒤로 나아가는 시작(詩作)’이라 불러도 좋지 않을는지. 특히 “나는, 물 같은 시를 쓰고 있는가 (…) 궁핍을 위한 궁리를 하는가, 불에 그을린 냄비처럼 생활이 묻어 있는가, 뒤집힌 양말처럼 다시 뒤집을 혁명이 있는가”(「뒤로 나아가는」)라는 표현은 하기정이 얼마나 모험과 혁명(꿈)을 갈망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 준다. 그리하여 그의 시는 “뒷걸음질 쳐서, 앞서가고 강해지라는 시대의 정언명령을 저버린 채 뒤처지고 취약해지기를 택한다.”(김지윤, 해설 중에서)
하기정의 시를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누구나 하나의 우주’라는 말을 떠올리게 된다. 하기정은 하나하나의 우주를 호명하며, 때로는 그 우주의 환부를 치유하기 위하여 마치 사랑에 빠진 연인처럼 열렬하고 맹렬하게 걷고, 달리며, 시를 쓴다. 그러나 그가 받아쓴 통증은 얼마나 참혹한 가운데 아름다운지. “별이 반짝이는 건/보고 있는 사람의 눈동자가/젖어 있기 때문이야”(「거리에서」), “아름다운 사람은 물오른 나무의 수액을 받아 오네/손가락을 잘라 수혈하네”(「사월」), “남아 있는 것들은/모두 네가 가져간 것들/내가 문 건 내 꼬리였다”(「종이의 기원」) 같은 구절들이 그러하다.
김지윤 문학평론가가 강조한 것처럼 “그에게 중요한 것은 꿈이 깨지 않는 일”이다. “사라지지 않기 위해 온 힘을 다해 반짝이는 별이 되어 어둠 속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누군가의 곁에 존재하기 위해 ‘심장을 쪼개어 반반씩 나눠 가져’간 후 ‘한쪽 가슴을 도려내어 너에게 던’(「여름의 키스」)진 후 함께 뛰는 고동 소리를 듣는 것이다. 이것이 시인이 세상을 사랑하는 방법이다.”(김지윤, 해설 중에서)
하기정 시인은 누구보다도 섬세한 감각을 가진 사람이다. 손가락 하나로라도 건드리면 툭, 터져 버릴 것 같은 투명한 물방울 같은 존재를 그는 예의주시하며 누군가의 내부에 잠겨 있는 것들, 그림자, 무의식, 꿈, 기억과 같은 것들에 관심을 기울인다. 이런 관심법에 의해서 하기정의 시에 등장하는 사물과 사람, 풍경은 새로운 생기를 얻게 되고, 삶을 회복하며, 신비로운 힘을 겹쳐 입게 되는 아이러니. 이런 그의 시작 태도를 ‘뒤로 나아가는 시작(詩作)’이라 불러도 좋지 않을는지. 특히 “나는, 물 같은 시를 쓰고 있는가 (…) 궁핍을 위한 궁리를 하는가, 불에 그을린 냄비처럼 생활이 묻어 있는가, 뒤집힌 양말처럼 다시 뒤집을 혁명이 있는가”(「뒤로 나아가는」)라는 표현은 하기정이 얼마나 모험과 혁명(꿈)을 갈망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 준다. 그리하여 그의 시는 “뒷걸음질 쳐서, 앞서가고 강해지라는 시대의 정언명령을 저버린 채 뒤처지고 취약해지기를 택한다.”(김지윤, 해설 중에서)
하기정의 시를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누구나 하나의 우주’라는 말을 떠올리게 된다. 하기정은 하나하나의 우주를 호명하며, 때로는 그 우주의 환부를 치유하기 위하여 마치 사랑에 빠진 연인처럼 열렬하고 맹렬하게 걷고, 달리며, 시를 쓴다. 그러나 그가 받아쓴 통증은 얼마나 참혹한 가운데 아름다운지. “별이 반짝이는 건/보고 있는 사람의 눈동자가/젖어 있기 때문이야”(「거리에서」), “아름다운 사람은 물오른 나무의 수액을 받아 오네/손가락을 잘라 수혈하네”(「사월」), “남아 있는 것들은/모두 네가 가져간 것들/내가 문 건 내 꼬리였다”(「종이의 기원」) 같은 구절들이 그러하다.
김지윤 문학평론가가 강조한 것처럼 “그에게 중요한 것은 꿈이 깨지 않는 일”이다. “사라지지 않기 위해 온 힘을 다해 반짝이는 별이 되어 어둠 속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누군가의 곁에 존재하기 위해 ‘심장을 쪼개어 반반씩 나눠 가져’간 후 ‘한쪽 가슴을 도려내어 너에게 던’(「여름의 키스」)진 후 함께 뛰는 고동 소리를 듣는 것이다. 이것이 시인이 세상을 사랑하는 방법이다.”(김지윤, 해설 중에서)
고양이와 걷자 - 걷는사람 시인선 80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