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걷는사람 시인선 84
정동철 『모롱지 설화』 출간
“야! 이늠아! 구랭이는 업이여
업을 잡아서 묵으먼 벌받는 거여”
전라도 방언으로 생생하게 복원한
신화 같은 옛이야기에 깃든 해학과 미학
전북 전주에서 태어나 2006년 광주일보와 전남일보 신춘문예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정동철 시인의 두 번째 시집 『모롱지 설화』가 걷는사람 시인선 84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을 통해 “살아 숨 쉬는 것들에 대한 경배와 존엄”을 표현해냈다는 평을 받았던 시인은, 이번에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가는 고향 모롱지(현재 전주시 효자동 서곡지구)의 이야기와 언어를 기억하고 복원해낸다. ‘지금 쓰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쓸 수 없고, 내가 하지 않으면 누구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절절한 마음으로 이 시집은 시작되었다. 시집을 펼치면 가난 속에서도 자연을 향한 경외를 잃지 않았던, 하나의 공동체로서 마을을 일구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생생한 구어체로 들려온다.
시집 『모롱지 설화』는 시에 내재되어 있는 이야기만큼이나 모롱지 말 읽는 재미가 있다. 어린이 만화영화 주인공 이름인 ‘뽀로로’가 항간의 평가처럼 국적불명의 짜깁기된 언어가 아니라 ‘모롱지’라는 동네에서 흔히 쓰는 모롱지 말이라는 사실을 발견하는 것도 이 시집을 읽는 즐거움이다. 아마도 ‘뽀로로’를 표준어로 풀이한다면 ‘후다닥’ 정도가 될 것이다.
이렇듯 시집 속에서 ‘가까스로’는 ‘포도시’, 모닥불은 ‘모더락불’, ‘목말’은 ‘꽃 받쳐 주기’, ‘실속 있다’는 ‘옹구락지다’, ‘헤엄’은 ‘시엄’이라는 모롱지 말로 발화(發話)되어 우리를 해학 넘치는 전라도의 옛 마을 한복판으로 안내한다. 그곳에는 이름 기운이 세다는 이유로 이름을 팔고 ‘판니’로 불린 김강님 아주머니가 있고(「팥니」), 언챙이도 낫게 해 준다는 몽혼주사 한 방을 애타게 찾던 석찬이 형이 있고(「몽혼주사」), 쥐약을 잘못 먹고 무지개다리를 건넌 강아지 제동이가 있고(「제동이」), 모롱지의 안다니 박사 안수 삼촌(「요시롱 캥」 등)도 있다. 그런 한편, 집안에 우환이 들면 잔밥을 먹여 악귀를 물리치게 해 달라고 빌었다는 영험한 존재 잔밥각시(「잔밥각시」) 이야기는 인간의 신탁(神託) 의지와 문화를 고스란히 보여 주며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의 힘을 사유하게 한다. 독자들은 진짜인지 지어낸 것인지 헷갈리는, 미신인지 믿음인지 아리송한 이야기에 푹 빠져 웃음과 눈물을 교차하게 된다.
해설을 쓴 장예원 평론가의 표현대로 정동철 시인에게 『모롱지 설화』는 지나가 버린 사소한 무엇인가를 놓치지 않고 보유하며 되살아나게 하는 작업이다. 이는 “죽음을 향해 가는 우리들의 삶이 죽은 자들과 함께 있다는 것, 우리는 개별자가 아니라 신비스런 방식으로 세계와 사물들과 교감하는 존재라는 본질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일”이기도 하다. 또한 그것은 망각이라는 시간의 폭력에 그가 저항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이다. 모두가 ‘미래로 미래로!’를 외치는 이 시대에 정동철 시인은 안간힘을 다해 과거로 달음박질치며, 인간의 원초적 위안과 향기가 남아 있는 오래된 미래, 즉 과거로 갈 수 있는 미래를 꿈꾼다.
하상만 시인은 “새로움에 중독된 우리는 우리가 지워 가는 세계가 있다는 것을 모르고 지낸다. 부끄러워서 내가 지우고 있었던 사투리로 시인은 그때를 완벽히 복원한다.”고 얘기하며 이 시집이 ‘그 말과 그 억양이 아니면 표현할 수 없는 세계’를 그리움 가득 담아 그려냈다고 상찬한다.
정동철 『모롱지 설화』 출간
“야! 이늠아! 구랭이는 업이여
업을 잡아서 묵으먼 벌받는 거여”
전라도 방언으로 생생하게 복원한
신화 같은 옛이야기에 깃든 해학과 미학
전북 전주에서 태어나 2006년 광주일보와 전남일보 신춘문예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정동철 시인의 두 번째 시집 『모롱지 설화』가 걷는사람 시인선 84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을 통해 “살아 숨 쉬는 것들에 대한 경배와 존엄”을 표현해냈다는 평을 받았던 시인은, 이번에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가는 고향 모롱지(현재 전주시 효자동 서곡지구)의 이야기와 언어를 기억하고 복원해낸다. ‘지금 쓰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쓸 수 없고, 내가 하지 않으면 누구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절절한 마음으로 이 시집은 시작되었다. 시집을 펼치면 가난 속에서도 자연을 향한 경외를 잃지 않았던, 하나의 공동체로서 마을을 일구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생생한 구어체로 들려온다.
시집 『모롱지 설화』는 시에 내재되어 있는 이야기만큼이나 모롱지 말 읽는 재미가 있다. 어린이 만화영화 주인공 이름인 ‘뽀로로’가 항간의 평가처럼 국적불명의 짜깁기된 언어가 아니라 ‘모롱지’라는 동네에서 흔히 쓰는 모롱지 말이라는 사실을 발견하는 것도 이 시집을 읽는 즐거움이다. 아마도 ‘뽀로로’를 표준어로 풀이한다면 ‘후다닥’ 정도가 될 것이다.
이렇듯 시집 속에서 ‘가까스로’는 ‘포도시’, 모닥불은 ‘모더락불’, ‘목말’은 ‘꽃 받쳐 주기’, ‘실속 있다’는 ‘옹구락지다’, ‘헤엄’은 ‘시엄’이라는 모롱지 말로 발화(發話)되어 우리를 해학 넘치는 전라도의 옛 마을 한복판으로 안내한다. 그곳에는 이름 기운이 세다는 이유로 이름을 팔고 ‘판니’로 불린 김강님 아주머니가 있고(「팥니」), 언챙이도 낫게 해 준다는 몽혼주사 한 방을 애타게 찾던 석찬이 형이 있고(「몽혼주사」), 쥐약을 잘못 먹고 무지개다리를 건넌 강아지 제동이가 있고(「제동이」), 모롱지의 안다니 박사 안수 삼촌(「요시롱 캥」 등)도 있다. 그런 한편, 집안에 우환이 들면 잔밥을 먹여 악귀를 물리치게 해 달라고 빌었다는 영험한 존재 잔밥각시(「잔밥각시」) 이야기는 인간의 신탁(神託) 의지와 문화를 고스란히 보여 주며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의 힘을 사유하게 한다. 독자들은 진짜인지 지어낸 것인지 헷갈리는, 미신인지 믿음인지 아리송한 이야기에 푹 빠져 웃음과 눈물을 교차하게 된다.
해설을 쓴 장예원 평론가의 표현대로 정동철 시인에게 『모롱지 설화』는 지나가 버린 사소한 무엇인가를 놓치지 않고 보유하며 되살아나게 하는 작업이다. 이는 “죽음을 향해 가는 우리들의 삶이 죽은 자들과 함께 있다는 것, 우리는 개별자가 아니라 신비스런 방식으로 세계와 사물들과 교감하는 존재라는 본질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일”이기도 하다. 또한 그것은 망각이라는 시간의 폭력에 그가 저항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이다. 모두가 ‘미래로 미래로!’를 외치는 이 시대에 정동철 시인은 안간힘을 다해 과거로 달음박질치며, 인간의 원초적 위안과 향기가 남아 있는 오래된 미래, 즉 과거로 갈 수 있는 미래를 꿈꾼다.
하상만 시인은 “새로움에 중독된 우리는 우리가 지워 가는 세계가 있다는 것을 모르고 지낸다. 부끄러워서 내가 지우고 있었던 사투리로 시인은 그때를 완벽히 복원한다.”고 얘기하며 이 시집이 ‘그 말과 그 억양이 아니면 표현할 수 없는 세계’를 그리움 가득 담아 그려냈다고 상찬한다.
모롱지 설화 - 걷는사람 시인선 84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