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걷는사람 역사의 한 조각 2
김형수 『신영일 평전-광주의 불씨 하나가 6월 항쟁으로 타오르다』 출간
“광주는 변혁적 열정의 발원지이며,
한국 근현대사를 끌고 가는 예인선이다”
영원한 청년 지도자를 위한 헌사
가장 ‘광주답게’ 일생을 살다 간 청년 신영일을 기록하다
김형수 『신영일 평전-광주의 불씨 하나가 6월 항쟁으로 타오르다』 출간
“광주는 변혁적 열정의 발원지이며,
한국 근현대사를 끌고 가는 예인선이다”
영원한 청년 지도자를 위한 헌사
가장 ‘광주답게’ 일생을 살다 간 청년 신영일을 기록하다
걷는사람 역사의 한 조각 두 번째 작품으로 신영일 열사의 생애를 재구성하는 『신영일 평전-광주의 불씨 하나가 6월 항쟁으로 타오르다』가 출간되었다. 1980년대 민족문학을 이끌어 왔으며 『문익환 평전』 『소태산 평전』 『김남주 평전』 등 역사적 소임을 가지고 다양한 작업을 펼쳐 온 작가 김형수가 이번에는 광주의 청년 지도자 신영일의 궤적을 기록한다.
신영일은 1980년대의 ‘청년 정신’과 ‘광주 정신’을 상징하는 이름이다. 저자는 통기타와 포크송을 좋아하며 “세상에 대한 호기심(전용호 소설가)”으로 가득했던 한 청년이 광주 민주화운동에 헌신하기까지의 일대기를 낱낱이 복원한다.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리처드 바크, 『갈매기의 꿈』)라는 구절을 늘 품에 지녔던 신영일은 전남대 국사교육과에 진학한 뒤 사회과학 서클 ‘독서잔디’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학생운동의 방향과 지향을 찾는 일에 몰두한다. 이후 박정희 정권의 ‘국민교육헌장’에 맞서 ‘우리의 교육지표’를 발표하며 학생운동을 주도하고, 박기순 열사가 광주공단에 창립한 노동야학 ‘들불야학’을 함께 지도하며 민주화 투쟁에 헌신한다.
신영일이 겪었던 수난과 시련은 그 강도가 다를지언정 인간의 역사가 지속되는 한 세계 곳곳에서 일어날 것이며, 그 불구덩이 속에서 또 다른 ‘신영일’들이 출현할 것이다. 우리가 과거에 동학농민혁명이라 불렀고 전봉준이라 불렀듯이, 미래는 또 다른 명명이 나올 것이고, 새로운 표상이 등장할 것이다. 그 어지럽고 괴기스러운 권력이 춤추는 동굴 속에서도 누군가는 출구를 찾아서 온몸을 던지고, 그의 이웃들은 그곳에서 터져 나오는 빛을 볼 게 틀림없다.
-「그의 죽음은 지나간 추억이 아니다」 부분
책에는 투옥과 석방을 반복하면서 한국 민중운동을 6월 항쟁으로 개척하는 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가 참여한 노동자 실태조사와 ‘반제·반파쇼 민족해방 투쟁 선언’은 1980년대 운동의 나침반이 되고, 1982년 광주교도소에서 박관현과 전개한 40일간의 단식 투쟁은 5월 학살을 겪고 폐허가 된 광주를 다시 민주화의 성지로 되돌리는 반환점이 된다. 이후 회복기에 건설한 ‘전청련(전남 민주주의 청년연합)’은 광주의 야전사령부가 되어서 신민당 개헌 현판식을 국민항쟁으로 승화시키며 5·3 투쟁과 6월 항쟁을 이끌어낸다. 그러나 대선 패배 후 신영일은 낮에는 직장에서 밤에는 조직에서 미래의 운동을 설계하다 31세의 나이에 과로로 운명한다. 광주의 청년들은 그를 5·18 묘지에 안장하고, 지금까지 추모하는 모임을 이어 오고 있다.
저자 김형수는 “그들은 세월이 흐를수록 목격자들의 기억에서 한사코 멀어지고 멀어져서 세계의 중심이 된다. 세상이 그가 확보한 도덕과 윤리를 지평으로 내놓는 까닭이다.”라고 덧붙인다. 또한, “내가 광주 청년들의 위대한 물결로 그리고 싶었던 신영일의 시간을 함께 만들어 간 그의 선배들, 친구들, 또 후배들의 젊은 날에 경의를 표한다.”라고 이야기하며 이 책이 가지는 의의를 다시 한번 조명한다. 영원한 청년 지도자 신영일과 그를 둘러싼 광주의 들불 같은 열기가 이 한 권의 책에서 부단히 타오르고 있다.
신영일은 1980년대의 ‘청년 정신’과 ‘광주 정신’을 상징하는 이름이다. 저자는 통기타와 포크송을 좋아하며 “세상에 대한 호기심(전용호 소설가)”으로 가득했던 한 청년이 광주 민주화운동에 헌신하기까지의 일대기를 낱낱이 복원한다.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리처드 바크, 『갈매기의 꿈』)라는 구절을 늘 품에 지녔던 신영일은 전남대 국사교육과에 진학한 뒤 사회과학 서클 ‘독서잔디’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학생운동의 방향과 지향을 찾는 일에 몰두한다. 이후 박정희 정권의 ‘국민교육헌장’에 맞서 ‘우리의 교육지표’를 발표하며 학생운동을 주도하고, 박기순 열사가 광주공단에 창립한 노동야학 ‘들불야학’을 함께 지도하며 민주화 투쟁에 헌신한다.
신영일이 겪었던 수난과 시련은 그 강도가 다를지언정 인간의 역사가 지속되는 한 세계 곳곳에서 일어날 것이며, 그 불구덩이 속에서 또 다른 ‘신영일’들이 출현할 것이다. 우리가 과거에 동학농민혁명이라 불렀고 전봉준이라 불렀듯이, 미래는 또 다른 명명이 나올 것이고, 새로운 표상이 등장할 것이다. 그 어지럽고 괴기스러운 권력이 춤추는 동굴 속에서도 누군가는 출구를 찾아서 온몸을 던지고, 그의 이웃들은 그곳에서 터져 나오는 빛을 볼 게 틀림없다.
-「그의 죽음은 지나간 추억이 아니다」 부분
책에는 투옥과 석방을 반복하면서 한국 민중운동을 6월 항쟁으로 개척하는 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가 참여한 노동자 실태조사와 ‘반제·반파쇼 민족해방 투쟁 선언’은 1980년대 운동의 나침반이 되고, 1982년 광주교도소에서 박관현과 전개한 40일간의 단식 투쟁은 5월 학살을 겪고 폐허가 된 광주를 다시 민주화의 성지로 되돌리는 반환점이 된다. 이후 회복기에 건설한 ‘전청련(전남 민주주의 청년연합)’은 광주의 야전사령부가 되어서 신민당 개헌 현판식을 국민항쟁으로 승화시키며 5·3 투쟁과 6월 항쟁을 이끌어낸다. 그러나 대선 패배 후 신영일은 낮에는 직장에서 밤에는 조직에서 미래의 운동을 설계하다 31세의 나이에 과로로 운명한다. 광주의 청년들은 그를 5·18 묘지에 안장하고, 지금까지 추모하는 모임을 이어 오고 있다.
저자 김형수는 “그들은 세월이 흐를수록 목격자들의 기억에서 한사코 멀어지고 멀어져서 세계의 중심이 된다. 세상이 그가 확보한 도덕과 윤리를 지평으로 내놓는 까닭이다.”라고 덧붙인다. 또한, “내가 광주 청년들의 위대한 물결로 그리고 싶었던 신영일의 시간을 함께 만들어 간 그의 선배들, 친구들, 또 후배들의 젊은 날에 경의를 표한다.”라고 이야기하며 이 책이 가지는 의의를 다시 한번 조명한다. 영원한 청년 지도자 신영일과 그를 둘러싼 광주의 들불 같은 열기가 이 한 권의 책에서 부단히 타오르고 있다.
신영일 평전 : 광주의 불씨 하나가 6월 항쟁으로 타오르다 - 걷는사람 역사의 한 조각 2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