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천태산과 한국차와 불교

중국 천태산과 한국차와 불교

$22.00
Description
이 책은 중국 천태산을 단순히 우리나라 차의 기원을 찾는 데만 목표를 둔 것은 아니다. 천태산은 한국불교에도 중요하지만, 일본불교에서도 중요하다. 이 점에 주목하여 한국 차의 기원이라는 좁은 시야를 넓혀 천태산으로 향한 한일 승려들을 중심으로 천태산의 불교와 차가 동아시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았다.

저자

노성환

저자:노성환
울산대일본어일본학과명예교수.통도사차문화대학원교수.일본오사카대학문학박사.
일본오사카대학대학원졸업,미국메릴랜드대학방문교수,중국절강공상대학객원교수,일본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외국인연구원역임.주된연구분야는신화,역사,민속을통한한일비교문화론이다.
저서
『일본속의한국』(울산대출판부,1994),『한일왕권신화』(울산대출판부,1995),『술과밥』(울산대출판부,1996),『젓가락사이로본일본문화』(교보문고,1997),『일본신화의연구』(보고사,2002),『동아시아의사후결혼』(울산대출판부,2007),『고사기』(민속원,2009),『일본의민속생활』(민속원,2009),『오동도토끼설화의세계성』(민속원,2010),『한일신화의비교연구』(민속원,2010),『일본신화와고대한국』(민속원,2010),『일본에남은임진왜란』(제이엔씨,2011),『일본신화에나타난신라인의전승』(민속원,2014),『임란포로,일본의신이되다』(민속원,2014),『임란포로,끌려간사람들의이야기』(박문사,2015),『조선피로인이일본시코쿠에전승한한국문화』(민속원,2018),『조선통신사가본일본의세시민속』(민속원,2019),『시간의민속학-세상을살아가는시간의문화,일본의세시풍속』(민속원,2020),『일본규슈의조선도공』(박문사,2020),『일본하기의조선도공』(민속원,2020),『한·중·일의고양이민속학』(민속원,2020),『일본에서신이된고대한국인』(박문사,2021),『할복-거짓을가르고진실을드러내다』(민속원,2022),『초암다실의기원』(효림,2022),『성파스님의다락방』(민속원,2023),『국경을넘는한일요괴』(민속원,2023),『시간의비교민속학-한일의세시민속비교』(민속원,2024)등
역서
『한일고대불교관계사』(학문사,1985),『일본의고사기(상)』(예전사,1987),『선조의이야기』(광일문화사,1981),『일본의고사기(중)』(예전사,1990),『조선의귀신』(민음사,1990),『고대한국과일본불교』(울산대출판부,1996),『佛敎の祈り』〈일본출판〉(法藏館,1997),『일본의고사기(하)』(예전사,1999),『조선의귀신』(민속원,2019)등

목차


<제1장>천태산과고대한국의차문화
1.대렴이가지고온천태산의차씨
2.과연대렴의차씨는천태산에서온것일까?
3.천태로향한해동의고승들
4.신라의연광과천태산

<제2장>천태산의운무차
1.천태차란?
2.천태차의기원
3.천태차의역사와의의

<제3장>천태산의도교와불교
1.천태산이름의유래
2.불교의수호신이된천태산신
3.일본으로간천태산신
4.한국에온천태독성
5.한국인에게천태산은?

<제4장>천태산방광사의나한공차
1.천태의나한공차란?
2.방광사의나한신앙
3.나한공차의기원과역사
4.한국의나한공차
5.일본승려의나한공차
6.천태나한공차의의의

<제5장>천태로간해동고승
1.천태로간신라의승려들
2.천태로간고려승려들
3.오늘날의천태산과한국불교

<제6장>천태로간일본의승려
1.천태로간헤이안의승려들
2.천태로간가마쿠라의승려
3.현재의천태산과일본불교

참고문헌/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