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 퇴직 후 뒤돌아본 50년을 담담한 서정으로 풀어낸 인생기록
- 시시하고 보잘 것 없는 대상에도 애정 어린 따뜻한 시선 가득!
- 산업화에 밀려난 서민, 황폐화된 고향의 아픔을 노래
- 그의 유일한 자산은 가난에 대한 추억과 어머니, 고향!
- 시시하고 보잘 것 없는 대상에도 애정 어린 따뜻한 시선 가득!
- 산업화에 밀려난 서민, 황폐화된 고향의 아픔을 노래
- 그의 유일한 자산은 가난에 대한 추억과 어머니, 고향!
시로 쓴 한국 현대사
대학 때 시를 쓰다 졸업하고 대기업에서 30여년 근무한 뒤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김종두, 그가 보내온 시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이 책은 시로 쓴 ‘한국 현대사’라 할만했다. 물론 본격적인 역사책이 아니니 전체를 아우를 수는 없어도 말이다. 한 개인의 삶도 역사다. 그것도 아름다운 시어로 전한다.
꼬면 꼴수록 / 길어지던 가난을 / 아버지는 내내 꼬고 있었다. - 〈새끼꼬기〉 중
열여섯 새색시 시집 와 / 다락 논 매고 / 골골 산골 밤 자루 이고 -〈꽃상여〉 중
겨울철 밥상은 방부제 냄새로 찌든 수제비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 〈금천정류소, 어머니를 기다리며〉 중
위태로운 가계보다 위태로운 / 떼배에 희망을 걸고 - 〈떼배를 띄우며〉 중
이 책에 실린 많은 시에는 우리 민중의 삶이 편편이 박혀있다. 할머니의 꽃상여, 어머니의 삶을 그린 시 역시 민중의 삶을 대변한다.
60, 70년대 보릿고개를 넘어야 했던 그 시절 대다수 민중의 식생활은 원조 밀가루로 뜬 수제비가 큰몫을 차지했나보다. 요새야 별미로 먹는 수제비가, 보리밥이 그 시절엔 질리도록 먹어야 했다. 시인의 아버지는 그 작은 배를 타고 섬진강에서 희망을 건져 올리려했던 것이다.
시집의 두 번째 특징은 삶에의 대책 없는 긍정이다. 그 긍정에는 치열함이 동반한다. 평소 그는 게으른 소처럼 살아왔다고 하지만 아니다. 그런 삶 속에서 통찰이 나오기도 한다.
동백이 피고 지는 것이 아니다. / 동백은 피고 다시 피어나는 것이다. - 〈동백〉 중
절망의 벼랑에서 / 새들은 깃을 갈고 둥지를 튼다. - 〈희망에 대하여〉 중
삶이란 / 눈물을 흘리기 위해 살아가는 것 - 〈눈물에 대하여〉중
송창식도 〈선운사〉에서 ‘동백꽃을 보신 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에요.’라고 노래하지 않았나. ‘동백은 피고 다시 피어나는 것’이라고 시인은 말하니 대책 없는 삶에의 의지다. 경이롭다. 시인은 언 땅에서도, 살얼음판에서도, 벼랑에서도 희망을 본다. 그런 강한 사람도 눈물이 있다. ‘뒤돌아보면 지워지지 않는 기억, 골짜기마다 눈물이 흘렀다’고 한다. 삶의 눈물을 버티게 하는 것은 아프지만 사랑 같기도 하다.
세 번째로 느끼는 것은 그가 시인의 눈을 가져서인지 사물에서 의미를 발견한다는 것이다. 통상은 지나칠법한 일상의 사물에서 새로운 발견을 한다.
시계가 멎을 때 / 시간도 함께 멈추길 바라며 - 〈시계를 사다〉 중
의치를 만지며 / 내 삶이 흔들리지 않았으면 / 내 삶이 썩어나지 않았으면 - 〈임플란트〉 중
함부로 걷지 마라. / 세상의 압정들 / 네 한 걸음 지켜보고 있으니 - 〈압정〉 중
대학 때 시를 쓰다 졸업하고 대기업에서 30여년 근무한 뒤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김종두, 그가 보내온 시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이 책은 시로 쓴 ‘한국 현대사’라 할만했다. 물론 본격적인 역사책이 아니니 전체를 아우를 수는 없어도 말이다. 한 개인의 삶도 역사다. 그것도 아름다운 시어로 전한다.
꼬면 꼴수록 / 길어지던 가난을 / 아버지는 내내 꼬고 있었다. - 〈새끼꼬기〉 중
열여섯 새색시 시집 와 / 다락 논 매고 / 골골 산골 밤 자루 이고 -〈꽃상여〉 중
겨울철 밥상은 방부제 냄새로 찌든 수제비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 〈금천정류소, 어머니를 기다리며〉 중
위태로운 가계보다 위태로운 / 떼배에 희망을 걸고 - 〈떼배를 띄우며〉 중
이 책에 실린 많은 시에는 우리 민중의 삶이 편편이 박혀있다. 할머니의 꽃상여, 어머니의 삶을 그린 시 역시 민중의 삶을 대변한다.
60, 70년대 보릿고개를 넘어야 했던 그 시절 대다수 민중의 식생활은 원조 밀가루로 뜬 수제비가 큰몫을 차지했나보다. 요새야 별미로 먹는 수제비가, 보리밥이 그 시절엔 질리도록 먹어야 했다. 시인의 아버지는 그 작은 배를 타고 섬진강에서 희망을 건져 올리려했던 것이다.
시집의 두 번째 특징은 삶에의 대책 없는 긍정이다. 그 긍정에는 치열함이 동반한다. 평소 그는 게으른 소처럼 살아왔다고 하지만 아니다. 그런 삶 속에서 통찰이 나오기도 한다.
동백이 피고 지는 것이 아니다. / 동백은 피고 다시 피어나는 것이다. - 〈동백〉 중
절망의 벼랑에서 / 새들은 깃을 갈고 둥지를 튼다. - 〈희망에 대하여〉 중
삶이란 / 눈물을 흘리기 위해 살아가는 것 - 〈눈물에 대하여〉중
송창식도 〈선운사〉에서 ‘동백꽃을 보신 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에요.’라고 노래하지 않았나. ‘동백은 피고 다시 피어나는 것’이라고 시인은 말하니 대책 없는 삶에의 의지다. 경이롭다. 시인은 언 땅에서도, 살얼음판에서도, 벼랑에서도 희망을 본다. 그런 강한 사람도 눈물이 있다. ‘뒤돌아보면 지워지지 않는 기억, 골짜기마다 눈물이 흘렀다’고 한다. 삶의 눈물을 버티게 하는 것은 아프지만 사랑 같기도 하다.
세 번째로 느끼는 것은 그가 시인의 눈을 가져서인지 사물에서 의미를 발견한다는 것이다. 통상은 지나칠법한 일상의 사물에서 새로운 발견을 한다.
시계가 멎을 때 / 시간도 함께 멈추길 바라며 - 〈시계를 사다〉 중
의치를 만지며 / 내 삶이 흔들리지 않았으면 / 내 삶이 썩어나지 않았으면 - 〈임플란트〉 중
함부로 걷지 마라. / 세상의 압정들 / 네 한 걸음 지켜보고 있으니 - 〈압정〉 중
절망의 벼랑에서 새들은 깃을 갈고 둥지를 튼다 - 페이퍼로드 시인선 3
$1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