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인간과 다른 종의 관계와 미래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_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202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최초의 개에서 최초의 물소, 농경에서 유전자가위에 이르기까지,
자연을 개조해 진화를 주도해온 인류의 역사
_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202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최초의 개에서 최초의 물소, 농경에서 유전자가위에 이르기까지,
자연을 개조해 진화를 주도해온 인류의 역사
2020년, 혁신적인 유전자 편집 도구 크리스퍼(유전자가위)를 발명한 과학자들이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50년간 이어진 놀라운 성과의 결과다. 크리스퍼 기술은 자연을 개조하는 인간의 완전히 새로운 능력을 보여주었다. 인류는 박테리아를 인슐린 공장으로 바꾸고, 바이러스를 이용해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를 식물에 삽입했다. 이제 인류는 스스로 인간의 DNA를 다시 쓰는 법을 알게 되었다. 신의 영역에 닿은 셈이다. 한때 인류는 진화에 속해 그 흐름에 따라갈 뿐이었으나, 어느새 진화를 정복했다.
진화생물학자이자 《뿔이 없는 소, 물지 않는 늑대Life as We Made It》의 저자 베스 샤피로는 새로운 기술 자체가 놀랍기는 하지만, 진화의 궤적을 바꾸는 인간의 능력은 갑자기 얻은 힘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늑대를 개로 만들고 유전자 조작된 인바이로피그를 만들었듯이 인간은 오랫동안 주변 세상을 개조해왔다. 진화의 궤적을 다시 설정해온 것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지금껏 우리는 다소 거친 방법으로 진화의 궤적을 손봐왔지만, 이제는 보다 정교한 기술을 이용해 정확한 의도대로 조작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 우리에게는 이런 힘이 필요하다. 앞으로 몇 세기 동안 살아남으려면 우리는 생명의 역사를 다시 써야 한다. 자연을 개조하고 인간과 다른 종의 진화 과정을 재설정하는 능력은 바로 우리 인간이 지구를 위해 해야 할 역할의 본질이다.
1부에서는 인간 혁신의 세 단계인 ‘포식’, ‘순화(가축화)’, ‘보전’을 연대순으로 살펴본다. 1장 ‘뼈를 발굴하다’에서는 고대DNA 연구 분야의 성장 과정을 소개한다. 2장 ‘인간의 기원을 찾아서’에서는 고대 DNA를 이용해 인간의 기원을 탐구하고, 우리 조상이 고대 친척들과 만난 후 인간의 진화 경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핀다. 3장 ‘전격전을 펼치다’에서는 인간이 전 세계로 퍼져나가며 지배적인 포식자 역할을 맡는 과정을 살피며, 인간이 새로운 서식지에 도착한 시기와 해당 지역 동식물이 멸종한 시기가 우연히 일치하는 사례들을 알아본다. 4장 ‘락타아제 지속성’에서는 수렵에서 농경으로 인간 생활이 전환되며 식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목축과 육종 전략을 세우고 숲을 개간해 농장을 만드는 과정을 알아본다. 바로 이 과정에서 인간이 종의 멸종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5장 ‘레이크카우 베이컨’에서는 인구가 크게 늘고 가축이 야생 서식지를 침범해 멸종으로 몰고 가는 과정에서, 농경인에서 관리인으로 전환되는 인간의 역할을 살펴본다. 환경 보전 운동이 탄생하는 과정이다. 2부에서는 인간 혁신의 다음 단계인 생명공학을 탐구한다. 6장 ‘뿔 없는 소’에서는 무작위로 일어나는 전통 육종 대신 순화된 종을 조작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복제나 유전공학 같은 생명공학이 농축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다. 7장 ‘의도한 결과’에서는 새로운 생명공학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과 서식지를 보전할 방법을 모색한다. 복제된 매머드, 유전자 변형 흰족제비, ‘자기 제한’ 모기 같은 사례를 들어, 생명공학을 이용해 종의 적응 과정에 속도를 더하고 생물 다양성 손실을 늦추며, 줄어드는 서식지 안정성을 복원할 방법을 살펴본다. 마지막 8장 ‘터키시 딜라이트’에서는 새로운 생명공학의 미래를 인류 그리고 지구의 미래와 더불어 상상하며 대안을 고찰한다.
《뿔이 없는 소, 물지 않는 늑대》는 진화사와 문화사를 종횡무진 넘나들며 인류가 미래로 나아갈 길을 밝힌다. 인간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 자연을 개조해왔다. 온갖 위기에 처한 지금, 인간이 자연에 간섭하고 자연을 파괴할지도 모른다며 걱정하는 데 멈추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제대로 자연에 개입해야 할지 질문해야 한다. 이 책은 바로 그 질문의 대답에 필요한 지식, 경험, 통찰을 한데 아우른 역작이다.
진화생물학자이자 《뿔이 없는 소, 물지 않는 늑대Life as We Made It》의 저자 베스 샤피로는 새로운 기술 자체가 놀랍기는 하지만, 진화의 궤적을 바꾸는 인간의 능력은 갑자기 얻은 힘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늑대를 개로 만들고 유전자 조작된 인바이로피그를 만들었듯이 인간은 오랫동안 주변 세상을 개조해왔다. 진화의 궤적을 다시 설정해온 것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지금껏 우리는 다소 거친 방법으로 진화의 궤적을 손봐왔지만, 이제는 보다 정교한 기술을 이용해 정확한 의도대로 조작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 우리에게는 이런 힘이 필요하다. 앞으로 몇 세기 동안 살아남으려면 우리는 생명의 역사를 다시 써야 한다. 자연을 개조하고 인간과 다른 종의 진화 과정을 재설정하는 능력은 바로 우리 인간이 지구를 위해 해야 할 역할의 본질이다.
1부에서는 인간 혁신의 세 단계인 ‘포식’, ‘순화(가축화)’, ‘보전’을 연대순으로 살펴본다. 1장 ‘뼈를 발굴하다’에서는 고대DNA 연구 분야의 성장 과정을 소개한다. 2장 ‘인간의 기원을 찾아서’에서는 고대 DNA를 이용해 인간의 기원을 탐구하고, 우리 조상이 고대 친척들과 만난 후 인간의 진화 경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핀다. 3장 ‘전격전을 펼치다’에서는 인간이 전 세계로 퍼져나가며 지배적인 포식자 역할을 맡는 과정을 살피며, 인간이 새로운 서식지에 도착한 시기와 해당 지역 동식물이 멸종한 시기가 우연히 일치하는 사례들을 알아본다. 4장 ‘락타아제 지속성’에서는 수렵에서 농경으로 인간 생활이 전환되며 식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목축과 육종 전략을 세우고 숲을 개간해 농장을 만드는 과정을 알아본다. 바로 이 과정에서 인간이 종의 멸종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5장 ‘레이크카우 베이컨’에서는 인구가 크게 늘고 가축이 야생 서식지를 침범해 멸종으로 몰고 가는 과정에서, 농경인에서 관리인으로 전환되는 인간의 역할을 살펴본다. 환경 보전 운동이 탄생하는 과정이다. 2부에서는 인간 혁신의 다음 단계인 생명공학을 탐구한다. 6장 ‘뿔 없는 소’에서는 무작위로 일어나는 전통 육종 대신 순화된 종을 조작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복제나 유전공학 같은 생명공학이 농축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다. 7장 ‘의도한 결과’에서는 새로운 생명공학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과 서식지를 보전할 방법을 모색한다. 복제된 매머드, 유전자 변형 흰족제비, ‘자기 제한’ 모기 같은 사례를 들어, 생명공학을 이용해 종의 적응 과정에 속도를 더하고 생물 다양성 손실을 늦추며, 줄어드는 서식지 안정성을 복원할 방법을 살펴본다. 마지막 8장 ‘터키시 딜라이트’에서는 새로운 생명공학의 미래를 인류 그리고 지구의 미래와 더불어 상상하며 대안을 고찰한다.
《뿔이 없는 소, 물지 않는 늑대》는 진화사와 문화사를 종횡무진 넘나들며 인류가 미래로 나아갈 길을 밝힌다. 인간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 자연을 개조해왔다. 온갖 위기에 처한 지금, 인간이 자연에 간섭하고 자연을 파괴할지도 모른다며 걱정하는 데 멈추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제대로 자연에 개입해야 할지 질문해야 한다. 이 책은 바로 그 질문의 대답에 필요한 지식, 경험, 통찰을 한데 아우른 역작이다.
뿔이 없는 소, 물지 않는 늑대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