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찬란한 4월에 가려진 제주의 아픈 상처, 그 생생한 증언
제주 4.3 사건은 대한민국의 현대사에서 가장 아픈 상처와 같은 사건 중 하나이다. 최소 1만 5천여 명에서 많게는 3만여 명까지 피해규모가 추산되는 이 사건은 광복 직후 공권력과 사회 구심점이 불안정하고, 다양한 이념세력들이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폭력적인 활동조차 서슴지 않았던 혼란한 시대가 만들어낸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
그로부터 오랜 시간이 지나고 지금의 제주도는 전 세계의 사람들이 찾아오는 찬란하고 아름다운 관광지로서,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 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제주에 깊은 생채기를 남긴 4.3사건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은 남아 있으며, 이 책 『4월에 핀 동백꽃』은 소설과도 같은 형식을 빌려 남아 있는 이들의 생생한 증언을 엮어낸 르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월에 핀 동백꽃』을 쓴 김두전 저자는 1935년 제주시 구좌읍에서 태어나 농업을 경영하며 평생을 제주도에서 살아왔으며, 자신의 삶의 터전이 되어 준 제주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제주의 삶과 자연, 역사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는 사명의식으로 저술 활동을 전개해오고 있다.
저자는 어린 시절 제주 김녕국민학교의 ‘만장굴 꼬마탐험대’로서 경험했던 기억을 기반으로 2016년에 제주 만장굴 발굴 탐험기인 『지상으로 탈출한 만장굴』을 출간한 바 있으며 2020년에는 오랫동안 제주 어민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제주 앞바다의 대왕고래 이야기와 실제로 제주 앞바다에서 불법 포획되어 수족관 쇼돌고래로 살다가 시민단체들의 노력으로 바다로 돌아온 제주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의 이야기를 엮어낸 『대왕고래의 죽음과 꿈 가진 제돌이』를 펴낸 바 있다. 이번 『4월에 핀 동백꽃』 역시 4.3 사건이라는 대한민국 현대사의 가장 아픈 상처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잊혀져 가고 있는 제주의 전통과 삶이 기억되기를 바라는 바람일 것이다.
책은 저자가 태어난 제주시 구좌읍 내의 김녕마을, 동복마을, 덕천마을, 월정마을, 행원마을의 5개 마을을 무대로 광복의 기쁨과 잠깐의 평화, 남한 단독 정부수립 선거를 둘러싸고 공산주의 활동가들이 무장, 폭력조직화되어 곳곳에서 식량을 약탈하고 젊은이들을 끌고 간 과정,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 제주도에 내려온 서북청년단의 여러 횡포와 마을 주민 집단 사살 및 강제 이주 등의 폭력행위를 당사자의 시선으로, 객관적이고 담담하게 묘사하는 한편, 빨치산과 서북청년단 양쪽으로부터 피비린내 나는 폭력을 버티며 살아남은 제주도민들의 애환에 대한 공감과 앞으로의 평화를 향한 소망을 담아내었다.
그로부터 오랜 시간이 지나고 지금의 제주도는 전 세계의 사람들이 찾아오는 찬란하고 아름다운 관광지로서,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 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제주에 깊은 생채기를 남긴 4.3사건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은 남아 있으며, 이 책 『4월에 핀 동백꽃』은 소설과도 같은 형식을 빌려 남아 있는 이들의 생생한 증언을 엮어낸 르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월에 핀 동백꽃』을 쓴 김두전 저자는 1935년 제주시 구좌읍에서 태어나 농업을 경영하며 평생을 제주도에서 살아왔으며, 자신의 삶의 터전이 되어 준 제주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제주의 삶과 자연, 역사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는 사명의식으로 저술 활동을 전개해오고 있다.
저자는 어린 시절 제주 김녕국민학교의 ‘만장굴 꼬마탐험대’로서 경험했던 기억을 기반으로 2016년에 제주 만장굴 발굴 탐험기인 『지상으로 탈출한 만장굴』을 출간한 바 있으며 2020년에는 오랫동안 제주 어민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제주 앞바다의 대왕고래 이야기와 실제로 제주 앞바다에서 불법 포획되어 수족관 쇼돌고래로 살다가 시민단체들의 노력으로 바다로 돌아온 제주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의 이야기를 엮어낸 『대왕고래의 죽음과 꿈 가진 제돌이』를 펴낸 바 있다. 이번 『4월에 핀 동백꽃』 역시 4.3 사건이라는 대한민국 현대사의 가장 아픈 상처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잊혀져 가고 있는 제주의 전통과 삶이 기억되기를 바라는 바람일 것이다.
책은 저자가 태어난 제주시 구좌읍 내의 김녕마을, 동복마을, 덕천마을, 월정마을, 행원마을의 5개 마을을 무대로 광복의 기쁨과 잠깐의 평화, 남한 단독 정부수립 선거를 둘러싸고 공산주의 활동가들이 무장, 폭력조직화되어 곳곳에서 식량을 약탈하고 젊은이들을 끌고 간 과정,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 제주도에 내려온 서북청년단의 여러 횡포와 마을 주민 집단 사살 및 강제 이주 등의 폭력행위를 당사자의 시선으로, 객관적이고 담담하게 묘사하는 한편, 빨치산과 서북청년단 양쪽으로부터 피비린내 나는 폭력을 버티며 살아남은 제주도민들의 애환에 대한 공감과 앞으로의 평화를 향한 소망을 담아내었다.
4월에 핀 동백꽃 : 애달픈 역사의 상처를 추모하며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