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나 혼자 산다’고 모두가 ‘잘’ 사는 건 아니다
1인 가구 천만 시대,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1인 가구 천만 시대,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한국은 ‘1인 가구 천만 시대’를 눈앞에 뒀다. 2022년 기준 1인 가구는 972만여 세대로 전체 가구의 41퍼센트를 차지한다. 1인 가구에 대한 시선은 저마다 다르다. 예능은 자유로운 싱글 라이프를 즐기는 ‘나혼족’으로, 언론은 고독사나 은둔 청년, 혹은 비혼 등의 사회적 이슈로 그려낸다. 기업에겐 새로운 시장일 뿐이다. 아직 우리 사회는 1인 가구를 새로운 가족 형태로 마주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1인 가구 폭증은 늘 뜨거운 화두지만 우리는 정말 1인 가구를 정확히 알고 있을까?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얼까? 1인 가구가 마주한 문제는 외롭다거나 밥통이 필요 이상으로 크다거나 하는 단순한 것이 아니다. 원룸촌에 모여 사는 1인 가구에겐 거실도 공원도 허락되지 않는다. 사람과 만나고 교류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1인 가구에게 필요한 것은 ‘관계’다.
1인 가구가 연결되어야 동네가 생기고, 동네가 유지되어야 로컬 나아가 우리 사회가 지탱된다. 서울대학교 사용자 경험 연구실은 대안적 주거 형태인 코리빙 하우스에서 AI 기술로 사람들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은 ‘기술’은 1인 가구의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열 집 중 네 집이 혼자 사는 시대, 기술을 통해 1인 가구의 더 나은 미래를 그린다.
1인 가구 폭증은 늘 뜨거운 화두지만 우리는 정말 1인 가구를 정확히 알고 있을까?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얼까? 1인 가구가 마주한 문제는 외롭다거나 밥통이 필요 이상으로 크다거나 하는 단순한 것이 아니다. 원룸촌에 모여 사는 1인 가구에겐 거실도 공원도 허락되지 않는다. 사람과 만나고 교류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1인 가구에게 필요한 것은 ‘관계’다.
1인 가구가 연결되어야 동네가 생기고, 동네가 유지되어야 로컬 나아가 우리 사회가 지탱된다. 서울대학교 사용자 경험 연구실은 대안적 주거 형태인 코리빙 하우스에서 AI 기술로 사람들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은 ‘기술’은 1인 가구의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열 집 중 네 집이 혼자 사는 시대, 기술을 통해 1인 가구의 더 나은 미래를 그린다.


1인 가구와 기술 : 혼삶의 시대, 기술이 만드는 이웃감 - 북저널리즘 86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