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있는 모습 그대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 인권 존중
인권을 쉽게 설명하면 ‘누구나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는 말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유가 없다’는 사실이다.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피부색이 검든 희든, 여자든 남자든, 돈을 많이 가지고 있든 아니든 누구나 똑같이 존중받아야 한다.
인권에 대한 생각은 영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영국의 귀족들은 왕이 마음대로 나라를 운영하지 못하도록 모두가 지켜보는 자리에서 약속을 받았는데 그 서약서가 바로 대헌장인 ‘마그나 카르타’이다. 이후 ‘권리장전’을 거치면서 사람들은 점점 왕이나 귀족 같은 특별한 사람이 아니어도 모두 자유를 누리를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미국의 ‘독립선언문’과 프랑스의 ‘인권 선언’은 나라가 만들어질 때 인권이 매우 중요한 가치여야 한다는 전통을 만들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 후기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동학사상에서부터 인권의 개념이 싹트기 시작했으며,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거쳐 1980년대 민주주의 운동이 시작되면서 인권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졌고, 남녀차별금지법과 장애인 차별금지법, 연령차별금지법 등이 만들어졌다.
《누구에게나 인권이 있을까?》는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 인권 의식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계속해서 해결해 나가야 할 인권 문제는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의 주제를 어린이들의 눈높이에서 친절히 알려주는 책이다.
인권의 이유와 역사, 의미 그리고 약자에 대한 배려까지 어린이 눈높이에서 풀어낸 책
세상 사람들 중에 똑같은 사람은 없다.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소중히 여기는 것도 다 다르다. 그런데 이런 다름 때문에 종종 갈등이 생긴다. 나에게 소중한 것을 다른 사람이 인정하지 않으면 서운하고 화가 나고, 감정이 차곡차곡 쌓여 미워하게 되기도 한다. 이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뿐 아니라 나라와 나라 사이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싸움이 나고 전쟁이 터지기도 한다.
만약 우리가 서로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상대방 모습을 그대로 존중해 주면 어떨까? 아마도 갈등이 크게 줄어들 것이고 신나는 일도 생길 수 있다. 다르다는 건 새롭다는 뜻도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있는 모습 그대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바로 인권 보호이다.
사실 인권은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잘 이해하기는 어렵다. 공부하거나 외운다고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어렸을 때부터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과거와 비교해 보면 우리 사회의 인권은 많이 존중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 곳곳에는 해결해야 할 인권 문제가 많다. 지난 2018년 예멘 난민이 제주도에 왔을 때도 난민을 받으면 안 된다는 의견이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갔고 난민을 반대하는 집회도 많이 열렸다. 또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이라는 잘못된 생각으로 다른 나라 사람들을 배척하거나 무시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장애가 하늘이 내린 벌이라고 여기거나 장애인을 무조건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는 태도도 옳지 않다.
우리는 모두 똑같이 존중받아야 하지만 그 가운데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도 잊지 말아야 한다. 무지개가 아름다운 것은 서로 다른 일곱 빛깔이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도 마찬가지다.
봄마중 〈교양 꿀꺽〉은 세상에 대한 궁금증이 커가는 초등 저학년 어린이들이 꼭 알아야 할 과학, 역사, 사회,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쉽고 흥미롭게 풀어낸 시리즈입니다.
인권을 쉽게 설명하면 ‘누구나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는 말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유가 없다’는 사실이다.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피부색이 검든 희든, 여자든 남자든, 돈을 많이 가지고 있든 아니든 누구나 똑같이 존중받아야 한다.
인권에 대한 생각은 영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영국의 귀족들은 왕이 마음대로 나라를 운영하지 못하도록 모두가 지켜보는 자리에서 약속을 받았는데 그 서약서가 바로 대헌장인 ‘마그나 카르타’이다. 이후 ‘권리장전’을 거치면서 사람들은 점점 왕이나 귀족 같은 특별한 사람이 아니어도 모두 자유를 누리를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미국의 ‘독립선언문’과 프랑스의 ‘인권 선언’은 나라가 만들어질 때 인권이 매우 중요한 가치여야 한다는 전통을 만들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 후기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동학사상에서부터 인권의 개념이 싹트기 시작했으며,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거쳐 1980년대 민주주의 운동이 시작되면서 인권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졌고, 남녀차별금지법과 장애인 차별금지법, 연령차별금지법 등이 만들어졌다.
《누구에게나 인권이 있을까?》는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 인권 의식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계속해서 해결해 나가야 할 인권 문제는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의 주제를 어린이들의 눈높이에서 친절히 알려주는 책이다.
인권의 이유와 역사, 의미 그리고 약자에 대한 배려까지 어린이 눈높이에서 풀어낸 책
세상 사람들 중에 똑같은 사람은 없다.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소중히 여기는 것도 다 다르다. 그런데 이런 다름 때문에 종종 갈등이 생긴다. 나에게 소중한 것을 다른 사람이 인정하지 않으면 서운하고 화가 나고, 감정이 차곡차곡 쌓여 미워하게 되기도 한다. 이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뿐 아니라 나라와 나라 사이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싸움이 나고 전쟁이 터지기도 한다.
만약 우리가 서로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상대방 모습을 그대로 존중해 주면 어떨까? 아마도 갈등이 크게 줄어들 것이고 신나는 일도 생길 수 있다. 다르다는 건 새롭다는 뜻도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있는 모습 그대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바로 인권 보호이다.
사실 인권은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잘 이해하기는 어렵다. 공부하거나 외운다고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어렸을 때부터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과거와 비교해 보면 우리 사회의 인권은 많이 존중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 곳곳에는 해결해야 할 인권 문제가 많다. 지난 2018년 예멘 난민이 제주도에 왔을 때도 난민을 받으면 안 된다는 의견이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갔고 난민을 반대하는 집회도 많이 열렸다. 또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이라는 잘못된 생각으로 다른 나라 사람들을 배척하거나 무시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장애가 하늘이 내린 벌이라고 여기거나 장애인을 무조건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는 태도도 옳지 않다.
우리는 모두 똑같이 존중받아야 하지만 그 가운데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도 잊지 말아야 한다. 무지개가 아름다운 것은 서로 다른 일곱 빛깔이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도 마찬가지다.
봄마중 〈교양 꿀꺽〉은 세상에 대한 궁금증이 커가는 초등 저학년 어린이들이 꼭 알아야 할 과학, 역사, 사회,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쉽고 흥미롭게 풀어낸 시리즈입니다.
교양 꿀꺽 : 누구에게나 인권이 있을까?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