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글을 쓰게 만드는, 생각을 남기는 영화 77편을 한 권의 책으로
- “나는 영화를 통해 새로운 곳으로 나아가고 싶다.”
현상계와 상상계의 유쾌한 조화로 사람들을 웃고 울게 하는 작가 김중혁이 이번에는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영화’ 이야기를 펼쳐낸다. 《영화 보고 오는 길에 글을 썼습니다》는 한 편의 영화를 보고 남는 생각들을 이미지로, 키워드로 정리하여 한 편의 글을 구상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그동안 본 영화 가운데 자신을 뒤흔들었던 77편에 대한 글을 통해 영화를 더 깊게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그리하여 영화 감상은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며, 그 과정에서 영화와 이야기는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도 몰랐던 자신을 발견하는 경험을 하게 해준다.
이 책의 매력은 다양하다. 첫째, 무언가를 깊고 넓게 감상하고 싶게 만든다. 둘째, 지금 내 마음속을 채우는 감정과 생각을 잘 정리해 한 편의 글로 만들어낼 수 있는 작법을 알려준다. 셋째, 여기서 얻는 삶의 지혜는 덤이다. 넷째, TV 앞에 놓아두고 ‘오늘은 무엇을 볼까’ 고민될 때 자유롭게 넘겨서 골라보고 보고 난 뒤 생각을 정리할 수 있다. 누구나 다사다난한 삶을 견디며 많은 생각을 굴려보지만 정작 그것을 글로 남기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은 작품 감상과 더불어 세상의 일과 주변의 사태를 통해 나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게 해주고 글쓰기라는 출구를 통해 불안과 두려움을 딛고 나만의 글을 기록하고 남기게 만들어준다.
책에 실린 글을 읽고 영화가 보고 싶어지면 좋겠다. 이미 본 영화라면 다시 보게 되면 좋겠다. 영화를 보고 나서 ‘나도 글을 써볼까?’라는 마음이 들면 더 좋겠다. 자신만의 첫 문장을 떠올리고, 자신만의 결론에 도달하는 여행을 떠나면 좋겠다. 이 여행은 중독적이어서 앞으로 영화를 보고 나면 곧장 글이 쓰고 싶어질 것이다. 영화를 보고 오는 길에 저마다 다른 여행을 떠나게 되는 글의 여행자들이 되면 좋겠다. _〈나는 영화를 통해 새로운 곳으로 나아간다〉에서
마음속을 들여다보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해주는 글쓰기
- “‘하지 않으면 내 인생이 의미 없어지는’ 일을 하는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우리는 살아가며 도무지 답을 알 수 없는 문제에 당면하고 막막함을 느낀다. 그렇기에 더 많은 일을 경험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아무리 지난한 생도 한 사람의 인생에서 모든 걸 경험할 수는 없기에 인간은 그 안에 갇히기 쉽고 편협해질 수 있다. 편협은 나를 제대로 알지 못할 때, 경험해보지 못한 타인의 삶을 이해할 수 없을 때 생겨난다. 김중혁 작가는 여기에 ‘영화+글쓰기’라는 해법을 제시한다. ‘영화를 본다-메모를 한다-살을 붙인다-영화 메모가 완성된다.’ 이렇게 실행해보는 것이다. 영화 한 편을 보고 영화 속 고유명사나 핵심이 되는 장면, 꼭 기억해야 할 대사를 적다 보면 수면 아래 기억이 올라오기도 하고 지금의 나를 빗대어 생각해보게도 된다. 감상에 들어가면 작품과 ‘나’의 관계 설정이 이뤄지고 나를 중심에 세우게 된다. 이 책을 펼쳐 내가 본 영화에 대한 글부터 읽어보자. 나도 무언가를 쓰고 싶은 움직임이 내 안에서 꿈틀거릴 것이다. 그렇게 첫 문장 쓰기가 가능해진다.
“글쓰기는 누군가에게 가닿기 위해 쓰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을 알아가는 공부이기도 하다.” 작가는 말한다. 자신을 알아가는 일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스스로를 미워하지 말라고. 누구보다 나 자신을 더 많이 사랑해야 할 사람은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백지 위에 글을 쓰는 일은 두렵지만 나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 시작의 비법이 이 책 안에 있다.
영화로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이야기
-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것은 답이 아니라 질문입니다.”
끝나지 않는 어린 시절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에니메이터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야기를 보고 작가는 묻는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지 답해보겠습니까?” 작가들은 작품을 남기며 “나는 이렇게 살아왔다”고 들려준다. 그러나 이것은 답을 들려주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질문을 남기는 일. 그것만이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일이라 믿는 것이다. 이기려고 생각하기보다 함께 이길 생각을 하고,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좋은 소식을 상기하도록 이끄는 일. 우리가 선해질 수 있다는 믿음을 전하는 일. 내가 상대를 사랑하면 그 사랑이 돌아올 거라는 믿음을 배우는 일. 이 모든 아름다운 일들은 예술 작품 감상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영화 감상도 마찬가지다. 영화가 끝나면 우리는 영화 속 인물들을 생각하며 말투와 미묘한 표정을 떠올리며 이해되지 않던 행동을 이해해보려고 노력한다. 그러는 사이 안다고 믿었던 확신은 착각이 되기도 한다. 미래를 위해 현재를 잊고 있지는 않은지,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기억하지 않을지, 마지막 순간에 바라봐야 할 곳이 어디인지 생각해보며 우리는 좀더 넓은 시야를 갖게 된다. 처절하고 더럽고 비열하고 안쓰러워도 아름다울 수 있는 게 인생이다. 그리고 그러한 생에 더 많은 이야기가 추가될수록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더욱 넓어진다. “우리에게 이야기가 필요한 이유다.” 이 책 속의 영화와 글을 감상을 하고 나면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감상을 품게 될 것이다. “교훈을 얻을 수도”, “반성을 할 수도”, 그저 “웃을 수도” 있다. 저마다 다른 이유로 여러 번 이 책을 다시 열어보게 될 것이다. 김중혁 작가가 던져주는 ‘생각을 남기는 영화 77’편과 함께 당신만의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나는 영화를 통해 새로운 곳으로 나아가고 싶다.”
현상계와 상상계의 유쾌한 조화로 사람들을 웃고 울게 하는 작가 김중혁이 이번에는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영화’ 이야기를 펼쳐낸다. 《영화 보고 오는 길에 글을 썼습니다》는 한 편의 영화를 보고 남는 생각들을 이미지로, 키워드로 정리하여 한 편의 글을 구상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그동안 본 영화 가운데 자신을 뒤흔들었던 77편에 대한 글을 통해 영화를 더 깊게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그리하여 영화 감상은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며, 그 과정에서 영화와 이야기는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도 몰랐던 자신을 발견하는 경험을 하게 해준다.
이 책의 매력은 다양하다. 첫째, 무언가를 깊고 넓게 감상하고 싶게 만든다. 둘째, 지금 내 마음속을 채우는 감정과 생각을 잘 정리해 한 편의 글로 만들어낼 수 있는 작법을 알려준다. 셋째, 여기서 얻는 삶의 지혜는 덤이다. 넷째, TV 앞에 놓아두고 ‘오늘은 무엇을 볼까’ 고민될 때 자유롭게 넘겨서 골라보고 보고 난 뒤 생각을 정리할 수 있다. 누구나 다사다난한 삶을 견디며 많은 생각을 굴려보지만 정작 그것을 글로 남기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은 작품 감상과 더불어 세상의 일과 주변의 사태를 통해 나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게 해주고 글쓰기라는 출구를 통해 불안과 두려움을 딛고 나만의 글을 기록하고 남기게 만들어준다.
책에 실린 글을 읽고 영화가 보고 싶어지면 좋겠다. 이미 본 영화라면 다시 보게 되면 좋겠다. 영화를 보고 나서 ‘나도 글을 써볼까?’라는 마음이 들면 더 좋겠다. 자신만의 첫 문장을 떠올리고, 자신만의 결론에 도달하는 여행을 떠나면 좋겠다. 이 여행은 중독적이어서 앞으로 영화를 보고 나면 곧장 글이 쓰고 싶어질 것이다. 영화를 보고 오는 길에 저마다 다른 여행을 떠나게 되는 글의 여행자들이 되면 좋겠다. _〈나는 영화를 통해 새로운 곳으로 나아간다〉에서
마음속을 들여다보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해주는 글쓰기
- “‘하지 않으면 내 인생이 의미 없어지는’ 일을 하는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우리는 살아가며 도무지 답을 알 수 없는 문제에 당면하고 막막함을 느낀다. 그렇기에 더 많은 일을 경험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아무리 지난한 생도 한 사람의 인생에서 모든 걸 경험할 수는 없기에 인간은 그 안에 갇히기 쉽고 편협해질 수 있다. 편협은 나를 제대로 알지 못할 때, 경험해보지 못한 타인의 삶을 이해할 수 없을 때 생겨난다. 김중혁 작가는 여기에 ‘영화+글쓰기’라는 해법을 제시한다. ‘영화를 본다-메모를 한다-살을 붙인다-영화 메모가 완성된다.’ 이렇게 실행해보는 것이다. 영화 한 편을 보고 영화 속 고유명사나 핵심이 되는 장면, 꼭 기억해야 할 대사를 적다 보면 수면 아래 기억이 올라오기도 하고 지금의 나를 빗대어 생각해보게도 된다. 감상에 들어가면 작품과 ‘나’의 관계 설정이 이뤄지고 나를 중심에 세우게 된다. 이 책을 펼쳐 내가 본 영화에 대한 글부터 읽어보자. 나도 무언가를 쓰고 싶은 움직임이 내 안에서 꿈틀거릴 것이다. 그렇게 첫 문장 쓰기가 가능해진다.
“글쓰기는 누군가에게 가닿기 위해 쓰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을 알아가는 공부이기도 하다.” 작가는 말한다. 자신을 알아가는 일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스스로를 미워하지 말라고. 누구보다 나 자신을 더 많이 사랑해야 할 사람은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백지 위에 글을 쓰는 일은 두렵지만 나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 시작의 비법이 이 책 안에 있다.
영화로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이야기
-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것은 답이 아니라 질문입니다.”
끝나지 않는 어린 시절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에니메이터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야기를 보고 작가는 묻는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지 답해보겠습니까?” 작가들은 작품을 남기며 “나는 이렇게 살아왔다”고 들려준다. 그러나 이것은 답을 들려주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질문을 남기는 일. 그것만이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일이라 믿는 것이다. 이기려고 생각하기보다 함께 이길 생각을 하고,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좋은 소식을 상기하도록 이끄는 일. 우리가 선해질 수 있다는 믿음을 전하는 일. 내가 상대를 사랑하면 그 사랑이 돌아올 거라는 믿음을 배우는 일. 이 모든 아름다운 일들은 예술 작품 감상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영화 감상도 마찬가지다. 영화가 끝나면 우리는 영화 속 인물들을 생각하며 말투와 미묘한 표정을 떠올리며 이해되지 않던 행동을 이해해보려고 노력한다. 그러는 사이 안다고 믿었던 확신은 착각이 되기도 한다. 미래를 위해 현재를 잊고 있지는 않은지,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기억하지 않을지, 마지막 순간에 바라봐야 할 곳이 어디인지 생각해보며 우리는 좀더 넓은 시야를 갖게 된다. 처절하고 더럽고 비열하고 안쓰러워도 아름다울 수 있는 게 인생이다. 그리고 그러한 생에 더 많은 이야기가 추가될수록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더욱 넓어진다. “우리에게 이야기가 필요한 이유다.” 이 책 속의 영화와 글을 감상을 하고 나면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감상을 품게 될 것이다. “교훈을 얻을 수도”, “반성을 할 수도”, 그저 “웃을 수도” 있다. 저마다 다른 이유로 여러 번 이 책을 다시 열어보게 될 것이다. 김중혁 작가가 던져주는 ‘생각을 남기는 영화 77’편과 함께 당신만의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영화 보고 오는 길에 글을 썼습니다
$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