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인문학 미래세계 -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58

모빌리티 인문학 미래세계 -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58

$18.00
저자

이진형외

저자:이진형외
이진형,신인섭,김주영,이현영,김태희,양명심,김치정,임보미,우연희,박해리,이용균

목차

머리말_모빌리티인문학과미래세계의구상|이진형

1부_텍스트의모빌리티재현과장소만들기

텍스트너머작가의모빌리티:일본근대작가아리시마다케오의장소|신인섭|
장소만들기
작가서사와장소
도쿄와로컬
모빌리티,부유하는장소들
장소,위계

고-모빌리티시대무인도유튜브디지털스토리텔링|김주영|
무인도유튜브스토리텔링
무인도는어떻게이해되어왔는가?
무인도의임모빌리티immobility스토리텔링
임모빌리티'공간'무인도의'장소화'

모빌리티인프라와공간의형성
:에도시대명소기를통해본스미다강의‘다리’와‘공간’에관한고찰|이현영|
에도초기명소기속의다리
에도중후기명소기속의다리
에도후기명소기속의다리

2부_모빌리티의초국적실천과정치/통치/윤리

북한이주민의모빌리티와초국적이주,그리고상호문화주의|김태희|
이주자본
북한이주민의초국적이주
북한이주민의이주자본
초국주의와상호문화주의

자이니치모빌리티서사와공동체의윤리:《파친코》를중심으로|양명심·신인섭|
다문화소설《파친코》와자이니치
자이니치의이동서사와장소정체성
자이니치,파친코산업,인프라스트럭처
《파친코》와자이니치서사,공동체윤리

난민과모빌리티통치:대한민국의난민정책과「난민법」개정에대한비판적고찰|김치정·임보미|
통치와난민
난민인정현황과난민심사의전문성문제
개정안의법리적문제

3부_모빌리티와미래세계의현재적조건:환경,기후,도시

전후일본에서모빌리티테크놀로지의발전과그환경영향
:이시무레미치코의《고해정토》를중심으로|우연희|
일본의고도성장과미나마타병의발생
고도성장의그늘,배제된인간
‘인간’과‘비인간’이라는존재

‘느린폭력’의감각적구체화와고통의이동:루시커크우드의《아이들TheChildren》연구|박해리|
기후변화에대한일상적망각
기후변화의느린폭력가시화
기후변화의느린폭력형상화

카를로스모레노의‘15분도시’에대한고찰|이용균|
15분도시란?
시간-도시주의와지속가능한도시
15분도시의핵심개념
15분도시의실천
15분도시에대한비판

출판사 서평

미래지향적모빌리티연구란무엇인가

모빌리티인문학의사명
“텍스트에구현된모빌리티의‘가상’과‘상상’에주목함으로써더객관적이고관찰적인재현방식을통해서는보통접근할수없는상상적이거나비가시적이거나억압된모빌리티맥락들을포착하여가시화하고,그래서아직현실화되지않은또는억압되어있는잠재적모빌리티들을개방하는데참여하는”책.이제모빌리티인문학은잠재적모빌리티들을가시화하여궁극적으로‘모빌리티정의’의관점에서미래모빌리티사회의형성에기여하고자한다.이책이‘텍스트의모빌리티재현과장소만들기’,‘모빌리티의초국적실천과정치/통치/윤리’,‘모빌리티와미래세계의현재적조건:환경,기후,도시’등세부분으로이루어진이유가바로여기에있다.

모빌리티정의라는바위를밀어올리는일
잠재적모빌리티들을가시화하여‘모빌리티정의’의관점에서미래모빌리티사회의형성에기여하고자하는모빌리티인문학의시도는어쩌면말그대로텍스트내부에머물러버릴지도모른다.그러나모빌리티인문학은모빌리티가사회적생산물이자인지적·감각적구성물이기도하지만사회적시공간(재)생산에참여하는중요한행위자임을잊지않으며,그래서모빌리티를둘러싼권력의역학관계뿐만아니라그가운데서수행되는인간의윤리적실천또한주요연구대상으로설정한다.
1부에서는일본근대문학작가아리시마다케오의모빌리티실천,무인도테마유튜브디지털스토리텔링,일본근세시대출판된명소안내기등을중심으로모빌리티실천을통한장소의(재)생산과정을탐구한다.
2부에서는영국런던남서쪽뉴몰든지역에거주하는북한이주민,소설《파친코》에재현된자이니치모빌리티,그리고대한민국의「난민법」개정을중심으로이동의초국적실천을둘러싼정치,통치,윤리에관해살펴본다.
3부에서는각각모빌리티테크놀로지의발전에따른환경문제,인류가초래한재앙으로서의기후비상사태,그리고오늘날인간의삶의장소로서도시의재구성문제등에관해논의함으로써,모빌리티의견지에서미래세계를구상하기위한현재적조건들을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