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애월, 진혼의 노래
서안나 시인의 시집 『애월』 (시인수첩, 203)이 시인수첩 시인선 79번째로 출간되었다. 서안나 시인은 90년 《문학과 비평》 겨울호로 등단한 이후, 치열하게 35여 년간 시 창작활동에 몰두하며 시적 성과를 보여준 바 있다. 서안나 시인은 기존의 4번째 시집 『새를 심었습니다』 (시인수첩, 2022) 외 3권의 시집을 이미 상재 한 바 있으며, 이번 시집 『애월』 (시인수첩, 203)은 그의 5번째 시집이다.
서안나 시인은 그간 모던하고 감각적인 시풍과 여성 특유의 섬세함을 작품 속에 담아내어 독자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아온 중견 시인이다. 특히 이번 시집 『애월』 (시인수첩, 203)은 그가 추구해 온 기존의 작품 성향에 〈제주〉라는 지역적 특성과, 특히 〈애월〉이라는 지명의 특수성을 확장하고 증폭하고 있다. 시의 서정의 결과 준엄한 역사 인식을 동시에 결합하여 개성적인 시적 세계관을 담아낸 의미 있는 시집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죽음”에 관한 진중한 사유를 유감없이 펼쳐 보이고 있다. 이는 개인사적인 가족의 죽음의 체험과 근현대사의 가장 처절한 학살이 자행된 제주 〈4.3 항쟁〉 그리고 지구 곳곳에 발발하고 있는 전쟁의 비극성을 정교하게 직조하고 있다. 시인이 이번 시집을 통해 공들여 그려내고 있는 제주의 비극적 서사는, 제주 4·3 항쟁의 비극에 대한 고발과, 제주어의 발견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1950년 현 제주국제공항 자리에서 자행된 집단 학살과 암매장을 고발하고 있는 시에서 시인은 “죽음을 밟지 않고 제주에 착륙할 수 없다”와 “죽음을 껴안지 않고는 제주를 떠날 수 없다”라고 통렬하게 진술하고 있다. 시인은 또 다른 집단 학살을 고발하고 있는 시 「밤의 애플민트」에서 무심히 애플민트를 꺾은 자신을 돌아보며 “그 여리고 푸른 것들 앞에/내 무심한 폭력을 내려놓는다”라고 진술하고 있다.
시인은 여기서 더 나아가 제주의 참혹한 역사를 확장하여 우크라이나 전쟁의 비극(「애월, 우크라이나」)과, 신장 위구르에서 자행되고 있는 참혹한 폭력(「애월, 신장 위구르」)을 날카롭게 고발한다. 이를 통해 시인은 “고백은 고백할수록 더 참혹해”지지만, 이런 추악한 역사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는 우리의 추악함을 견뎌야 한다”(「애월, 신장 위구르」)라고 힘주어 말한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제주도의 비극적인 역사를 고발함과 더불어, 제주어의 발견을 통해 신과 인간이 함께 조우하고 혼융된 제주도의 원형과 서사를 집중 조명하고 있다. 제주어는 이제 소멸의 단계에 들어선 실정이다. 이에 시인은 제주어가 지닌 시어의 어감을 살려 제주와 제주 사람들이 오랜 시간 가슴속에 묻고 살아온 통한의 역사를 작품으로 담아내고 있다. 이는 시인이 역사 인식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특유의 결연함에서 출발하고 있다. 시집에 담긴 역사 담론에 내재한 힘과 사유는 〈4.3 항쟁〉이라는 거대한 사건 속에 스며들어 현재 시점에서 사건을 유추하고, 또 제주 사람들이 겪었던 아픔을 예리한 감각과 시선으로 포착하고 있다. 이번 시집은 그런 의미에서 근현대사의 비극을 재조명하는 귀중한 목소리를 담고 있으며, 아울러 올해 시인의 아버지 3주기 기일에 맞추어 시집을 출간했다. 돌아가신 아버지를 그리워하며, 혼자 남으신 늙으신 노모에 대한 애틋함을 담은 시편들이 독자들의 가슴에 고요한 슬픔의 진동을 전해주고 있다. 시인 개인에게도 애정이 깃든 시집이라 할 수 있다.
서안나 시인은 그간 모던하고 감각적인 시풍과 여성 특유의 섬세함을 작품 속에 담아내어 독자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아온 중견 시인이다. 특히 이번 시집 『애월』 (시인수첩, 203)은 그가 추구해 온 기존의 작품 성향에 〈제주〉라는 지역적 특성과, 특히 〈애월〉이라는 지명의 특수성을 확장하고 증폭하고 있다. 시의 서정의 결과 준엄한 역사 인식을 동시에 결합하여 개성적인 시적 세계관을 담아낸 의미 있는 시집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죽음”에 관한 진중한 사유를 유감없이 펼쳐 보이고 있다. 이는 개인사적인 가족의 죽음의 체험과 근현대사의 가장 처절한 학살이 자행된 제주 〈4.3 항쟁〉 그리고 지구 곳곳에 발발하고 있는 전쟁의 비극성을 정교하게 직조하고 있다. 시인이 이번 시집을 통해 공들여 그려내고 있는 제주의 비극적 서사는, 제주 4·3 항쟁의 비극에 대한 고발과, 제주어의 발견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1950년 현 제주국제공항 자리에서 자행된 집단 학살과 암매장을 고발하고 있는 시에서 시인은 “죽음을 밟지 않고 제주에 착륙할 수 없다”와 “죽음을 껴안지 않고는 제주를 떠날 수 없다”라고 통렬하게 진술하고 있다. 시인은 또 다른 집단 학살을 고발하고 있는 시 「밤의 애플민트」에서 무심히 애플민트를 꺾은 자신을 돌아보며 “그 여리고 푸른 것들 앞에/내 무심한 폭력을 내려놓는다”라고 진술하고 있다.
시인은 여기서 더 나아가 제주의 참혹한 역사를 확장하여 우크라이나 전쟁의 비극(「애월, 우크라이나」)과, 신장 위구르에서 자행되고 있는 참혹한 폭력(「애월, 신장 위구르」)을 날카롭게 고발한다. 이를 통해 시인은 “고백은 고백할수록 더 참혹해”지지만, 이런 추악한 역사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는 우리의 추악함을 견뎌야 한다”(「애월, 신장 위구르」)라고 힘주어 말한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제주도의 비극적인 역사를 고발함과 더불어, 제주어의 발견을 통해 신과 인간이 함께 조우하고 혼융된 제주도의 원형과 서사를 집중 조명하고 있다. 제주어는 이제 소멸의 단계에 들어선 실정이다. 이에 시인은 제주어가 지닌 시어의 어감을 살려 제주와 제주 사람들이 오랜 시간 가슴속에 묻고 살아온 통한의 역사를 작품으로 담아내고 있다. 이는 시인이 역사 인식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특유의 결연함에서 출발하고 있다. 시집에 담긴 역사 담론에 내재한 힘과 사유는 〈4.3 항쟁〉이라는 거대한 사건 속에 스며들어 현재 시점에서 사건을 유추하고, 또 제주 사람들이 겪었던 아픔을 예리한 감각과 시선으로 포착하고 있다. 이번 시집은 그런 의미에서 근현대사의 비극을 재조명하는 귀중한 목소리를 담고 있으며, 아울러 올해 시인의 아버지 3주기 기일에 맞추어 시집을 출간했다. 돌아가신 아버지를 그리워하며, 혼자 남으신 늙으신 노모에 대한 애틋함을 담은 시편들이 독자들의 가슴에 고요한 슬픔의 진동을 전해주고 있다. 시인 개인에게도 애정이 깃든 시집이라 할 수 있다.
애월 - 시인수첩 시인선 79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