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 꽃이 되다

두부, 꽃이 되다

$13.00
Description
맷돌 앞에 선 아이의 운명, 두부와 함께 바뀔 수 있을까?
조선 시대 두부는 양반들만 먹을 수 있는 귀한 음식으로, 우리나라의 두부 맛은 중국에서도 알아주었다고 한다. 『세종실록』에 조선에서 맛있는 두부를 만드는 여인들이 명나라로 뽑혀 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조선의 부녀자들이 두부를 만드는 것이 더욱 정묘하다. 칙서가 이르거든 왕이 다시 영리한 여자 10여 인을 뽑아서 반찬, 음식, 두부 등을 만드는 것을 익히게 하여 경사(京師)로 딸려 보내도록 하라.”
『세종실록』 66권 중에서

이처럼 우리나라는 명나라 황제의 칭송을 받을 만큼 두부 만드는 실력이 빼어났지만 두부를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남아 있지 않다. 임화선 작가는 『세종실록』에 적힌 찬녀의 흔적을 보고,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두부, 꽃이 되다』에 담았다.
열두 살 소년 연수는 엄마가 두부를 만들러 명나라로 떠난 뒤 아버지마저 돌아가시자 조포사인 신동사에 들어가게 된다. 연수는 매일 콩을 갈며 맷돌 앞에 서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생각해 본다. 연수는 맷돌을 돌리면서 떠나간 아버지와 어머니를 그리며 두부를 만들기로 결심한다. 두부는 연수에게 어떤 꿈을 가져다줄 수 있을까? 조선 시대 너무나 귀했던 두부가 소년에게 전하는 희망과 꿈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맷돌은 맷돌답게, 맷손은 맷손답게 정성을 다 하는 마음으로….
어릴 적부터 연수는 두부 만드는 일을 엄마 어깨 너머로 봐왔지만 막상 직접 하려니 고단함을 느낀다. 한창 뛰어놀 나이에 인적 드문 산사에서 새벽부터 일어나 콩을 불리고 맷돌을 갈면서 연수는 마음의 방황을 겪는다. 그리고 마음속 방황은 연수가 만든 두부 맛에까지 전해진다.

“두부 만드는 일이 즐거우냐?”
“해야 할 일이니 그냥 하고 있습니다.”
“그것참, 아쉽구나. 두부 맛이 야무지지 못하다 생각했는데 그래서 그랬나 보구나.”

신동사를 자주 방문하며 연수를 지켜봤던 홍순택 대감이 전한 말 한마디에 연수는 따끔함을 느낀다. 연수가 마음이 흐트러질 때마다 그 곁에는 큰스님과 홍 대감이 묵묵히 지켜보며 위로가 되어 준다. 그리고 원재 스님은 연수의 재주를 알아보고 두부 만드는 방법을 아낌없이 전해 준다.
맷돌과 맷손이 각자의 자리에서 역할을 다하듯이 연수는 어른들의 가르침 속에서 스스로의 역할을 떠올리며 정성을 쏟고자 한다. 연수는 조포사에 맡겨졌을 때 길을 잃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곳에서 두부를 만나며 새 길을 찾는다. 그리고 머리와 몸으로만 익히고자 했던 두부 만드는 일을 마음으로도 느끼고자 애쓴다. 연수의 그 마음은 두부 맛에도 담기며 연수만의 두부를 만들게 된다. 연수를 둘러싸고 있던 어려움과 외로움은 성장의 자양분이 되어 두부와 함께 연수에게 새로운 힘을 전한다.

몽글몽글 두부 꽃과 함께 피어오르는 희망!
산사에서의 생활은 외롭지만 연수에게 깨우침을 준다. 연수는 두부를 어려운 이들과 함께 나눌 방법을 고민하고 행동에 옮기기로 마음먹는다. 연수는 평민이었지만 뛰어난 재주를 바탕으로 홍 대감의 도움을 받아 불가능해 보였던 일을 가능하게 만든다. 연수와 홍 대감이 두부를 매개로 나누는 우정은 나이와 신분을 초월한다. 연수는 홍 대감을 보며 아버지를 떠올리고, 홍 대감은 반듯한 연수에게 무한 신뢰를 보이며 연수의 재주를 더욱 북돋워 준다. 홍 대감뿐 아니라 신동사의 스님들, 부뜰이와 만식이 모두 연수와 함께하며 외로움을 달래 준다.
부드럽지만 단단함을 가지고 있는 두부처럼 연수는 두부를 만들며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부드러움을 전하고, 내면은 단단한 성장을 이룬다. 콩을 하나하나 고르고, 맷돌을 돌리고, 오랜 시간 끓여 내는 두부처럼 정성과 마음을 다한다면 못 이룰 일이 없음을 연수의 이야기에서 느낄 수 있다. 연수가 소박한 음식 두부를 통해 세상에 전한 따뜻함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 줄거리 -
엄마의 솜씨를 이어받아 조포사에서 두부 만드는 일을 하는 연수. 연수는 매일매일 두부 만드는 일이 몹시 고되다. 하지만 홍 대감과 큰스님의 따뜻한 말 한마디에 힘을 얻는다. 언젠가 만날 엄마를 그리며 연수는 열심히 두부를 만든다. 우연한 기회에 연수는 두부로 어려운 사람을 도울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연수의 바람은 이뤄질 수 있을까?

저자

임화선

하늘과나무,호수를보면서산책하는것을좋아해요.어린이들과함께신나는독서토론논술수업도하고요.때때로‘어린이책작가교실’글벗들을만나이야기짓기를하며지내지요.강원일보신춘문예를통해등단했고,그동안쓴책으로『패스패스태클』,『오늘도콩닥콩닥』,『반지사탕』,『두부,꽃이되다』,그림동화책『이야기빵』등이있어요.

목차

1.사라진맷손7쪽
2.연포회16쪽
3.그리운얼굴27쪽
4.맷돌답게,맷손답게38쪽
5.산아래새로운세상50쪽
6.그리움이희망으로61쪽
7.서러운신세70쪽
8.잠자코따라와라!82쪽
9.붉나무간수93쪽
10.약이된두부103쪽
11.매화가참예쁘구나!115쪽
12.뜻밖의선물126쪽
13.몽글몽글두부꽃135쪽
작가의말148쪽

출판사 서평

맷돌은맷돌답게,맷손은맷손답게정성을다하는마음으로….

어릴적부터연수는두부만드는일을엄마어깨너머로봐왔지만막상직접하려니고단함을느낀다.한창뛰어놀나이에인적드문산사에서새벽부터일어나콩을불리고맷돌을갈면서연수는마음의방황을겪는다.그리고마음속방황은연수가만든두부맛에까지전해진다.

“두부만드는일이즐거우냐?”
“해야할일이니그냥하고있습니다.”
“그것참,아쉽구나.두부맛이야무지지못하다생각했는데그래서그랬나보구나.”

신동사를자주방문하며연수를지켜봤던홍순택대감이전한말한마디에연수는따끔함을느낀다.연수가마음이흐트러질때마다그곁에는큰스님과홍대감이묵묵히지켜보며위로가되어준다.그리고원재스님은연수의재주를알아보고두부만드는방법을아낌없이전해준다.맷돌과맷손이각자의자리에서역할을다하듯이연수는어른들의가르침속에서스스로의역할을떠올리며정성을쏟고자한다.연수는조포사에맡겨졌을때길을잃었다고생각했다.하지만그곳에서두부를만나며새길을찾는다.그리고머리와몸으로만익히고자했던두부만드는일을마음으로도느끼고자애쓴다.연수의그마음은두부맛에도담기며연수만의두부를만들게된다.연수를둘러싸고있던어려움과외로움은성장의자양분이되어두부와함께연수에게새로운힘을전한다.

몽글몽글두부꽃과함께피어오르는희망!

산사에서의생활은외롭지만연수에게깨우침을준다.연수는두부를어려운이들과함께나눌방법을고민하고행동에옮기기로마음먹는다.연수는평민이었지만뛰어난재주를바탕으로홍대감의도움을받아불가능해보였던일을가능하게만든다.연수와홍대감이두부를매개로나누는우정은나이와신분을초월한다.연수는홍대감을보며아버지를떠올리고,홍대감은반듯한연수에게무한신뢰를보이며연수의재주를더욱북돋워준다.홍대감뿐아니라신동사의스님들,부뜰이와만식이모두연수와함께하며외로움을달래준다.

부드럽지만단단함을가지고있는두부처럼연수는두부를만들며어려운사람들에게는부드러움을전하고,내면은단단한성장을이룬다.콩을하나하나고르고,맷돌을돌리고,오랜시간끓여내는두부처럼정성과마음을다한다면못이룰일이없음을연수의이야기에서느낄수있다.연수가소박한음식두부를통해세상에전한따뜻함을만날수있을것이다.

교과연계:
5-1국어10.주인공이되어5-2국어1.마음을나누며대화해요
6-1국어9.마음을나누는글을써요6-2국어1.작품속인물과나
주제어:역사동화,성장,두부,가족애,조선시대

*인증유형:공급자적합성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