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벽과 꿈의 소나타』는 시와 소설 희곡을 결합한 장편융합소설로 색다른 소설 읽기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공부를 잘하지만 가난한 집안 형편 때문에 고난을 겪는 주인공 상구의 파노라마 같은 인생이 시대 배경의 충실한 묘사와 함께 시종일관 긴박감 있게 그려지고 있다.
우수한 성적으로 중학교를 졸업하고도 고등학교 진학이 어려운 상구는 면사무소 사환으로 들어가 일을 하면서 공부를 해 결국 2등으로 고등학교에 입학한다. 비록 일류 고등학교는 아니지만 서울대학교 법대를 목표로 열심히 공부하던 상구는 갑자기 몸이 아파 치료를 하느라 몇 개월 동안 학교에 가지 못한다. 용한 한의사 덕분에 몸이 좋아졌지만 현실적으로 서울대학교 진학이 어렵다는 것을 절감한 상구는 지방 법대에 진학하려고 하지만 등록금의 부담감 등으로 결국 2년제 전주 교대에 입학한다. 법관이 되려던 목표가 깨진 상실감으로 교대에 적응하기 힘든 상구는 학교생활이 와닿지 않는다. 뛰어보아야 벼룩이고, 반 토막 교육대학이란 생각이 지배한 그는 초등학교 교사가 되고 싶은 마음도 없었다. 그렇지만 도산 안창호 선생의 뜻을 받들기 위해 만든 서클 야카미에는 흥미를 느껴 가입해 친구들을 사귄다. 특히 도장순이라는 여학생을 만나 많은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지만 결국은 환경 차이 때문에 헤어지는 아픔을 겪는다. 술을 마시고 교생실습을 나가 학생들 앞에 설 정도로 불성실한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무창국민학교에 첫 발령을 받고 그후 안양으로 학교를 옮겨가면서 상구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명감과 책임감에 대해 점점 눈뜨게 된다.
학교에서 문예 담당을 맡게 된 그는 동시와 동화를 읽으면서 점차 아동문학을 이해하면서 동시집과 동화책을 닥치는 대로 읽는다. 그러면서 직접 동화를 써보고 싶다는 충동이 일어 작품을 쓰기 시작하고 투고한 작품이 신문에 실리기도 한다. 그 무렵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아픔을 겪기도 한다. 『교육자료』 3회 천료로 등단을 한 상구는 본격적으로 소설을 써보라는 심사평을 읽고 ‘진짜 소설을 한번 써보아야 한다’라는 결기가 생긴다. 창작열에 불탄 그는 밤이 되면 책상 앞에 앉아 무아지경으로 들어가 물고기가 헤엄치듯 상상 속의 공간을 유영해 다닌다. 그 순간이 황홀하고 뜨거웠다. 그는 참으로 그 뜨거운 열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미친다는 것이 무엇인지 비로소 깨달았다. 수차례의 고배를 마시면서 좌절의 늪을 건너 드디어 신춘문예에 당선하고 상금으로 부족한 결혼자금을 충당하는 기쁨을 만끽하기도 한다. 하지만 끊임없이 소설 작법에 대해 회의하면서 좋은 소설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한다.
희망하던 호선국민학교로 발령받은 상구는 그곳에서 노조 가입 논란에 휩쓸린다. 노조파와 비노조파의 대립은 매우 심각했고, 노조파가 제기하는 문제에 공감한 상구는 ‘교육계는 달라져야 한다’는 신념에 따라 노조에 가입한다. 학교에서는 노조 가입을 한 교사에 대해 파면 조치의 강경 대응을 하고 상구는 결국 학교에서 쫓겨나고 만다. 학교에 갈 수 없는 그는 선생님을 외치는 아이들의 목소리가 환청처럼 들려와 가슴을 부여잡으면서도, 글을 써서 돈을 번다는 것도 쉬운 것이 아니었고 그렇다고 새로운 직장을 금방 구하기도 어려웠다. 그는 자신이 비참하다는 생각에서 벗어날 수 없어 자주 술을 마시면서 고통을 잊으려고 한다. 그러던 하루는 행색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살인사건의 용의자로 몰려 경찰서 유치장에 갇혔다가 다행히 혐의를 벗고 풀려나 집으로 향한다. 상구는 고통으로 신음을 토하면서도 어서 아내와 아이들이 기다리는 집으로 가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 그런 그의 모습은 ‘흡사 육중한 벽 앞에 서 있는 가는 삼대가 한들한들 움직이는 형상’처럼 보인다.
박규현 작가의 장편소설 『벽과 꿈의 소나타』는 상구의 영혼을 감도는 환경, 감상, 꿈, 분노, 절망의 예민한 감각을 일상 속에서 분투한 삶의 기록을 통해 환기하게 만든다. 가난하고 남루하고 자칫 보잘것없어 보이지만 오랫동안 우리를 붙잡아 앉혔던 사소하지만 끈질긴 일상의 증언이자, 그런 일상을 탈출하려는 열망의 대립항을 구체적이고도 살가운 삶의 풍경이 묻어나는 서사로 풀어내고 있는 소설이다.
우수한 성적으로 중학교를 졸업하고도 고등학교 진학이 어려운 상구는 면사무소 사환으로 들어가 일을 하면서 공부를 해 결국 2등으로 고등학교에 입학한다. 비록 일류 고등학교는 아니지만 서울대학교 법대를 목표로 열심히 공부하던 상구는 갑자기 몸이 아파 치료를 하느라 몇 개월 동안 학교에 가지 못한다. 용한 한의사 덕분에 몸이 좋아졌지만 현실적으로 서울대학교 진학이 어렵다는 것을 절감한 상구는 지방 법대에 진학하려고 하지만 등록금의 부담감 등으로 결국 2년제 전주 교대에 입학한다. 법관이 되려던 목표가 깨진 상실감으로 교대에 적응하기 힘든 상구는 학교생활이 와닿지 않는다. 뛰어보아야 벼룩이고, 반 토막 교육대학이란 생각이 지배한 그는 초등학교 교사가 되고 싶은 마음도 없었다. 그렇지만 도산 안창호 선생의 뜻을 받들기 위해 만든 서클 야카미에는 흥미를 느껴 가입해 친구들을 사귄다. 특히 도장순이라는 여학생을 만나 많은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지만 결국은 환경 차이 때문에 헤어지는 아픔을 겪는다. 술을 마시고 교생실습을 나가 학생들 앞에 설 정도로 불성실한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무창국민학교에 첫 발령을 받고 그후 안양으로 학교를 옮겨가면서 상구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명감과 책임감에 대해 점점 눈뜨게 된다.
학교에서 문예 담당을 맡게 된 그는 동시와 동화를 읽으면서 점차 아동문학을 이해하면서 동시집과 동화책을 닥치는 대로 읽는다. 그러면서 직접 동화를 써보고 싶다는 충동이 일어 작품을 쓰기 시작하고 투고한 작품이 신문에 실리기도 한다. 그 무렵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아픔을 겪기도 한다. 『교육자료』 3회 천료로 등단을 한 상구는 본격적으로 소설을 써보라는 심사평을 읽고 ‘진짜 소설을 한번 써보아야 한다’라는 결기가 생긴다. 창작열에 불탄 그는 밤이 되면 책상 앞에 앉아 무아지경으로 들어가 물고기가 헤엄치듯 상상 속의 공간을 유영해 다닌다. 그 순간이 황홀하고 뜨거웠다. 그는 참으로 그 뜨거운 열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미친다는 것이 무엇인지 비로소 깨달았다. 수차례의 고배를 마시면서 좌절의 늪을 건너 드디어 신춘문예에 당선하고 상금으로 부족한 결혼자금을 충당하는 기쁨을 만끽하기도 한다. 하지만 끊임없이 소설 작법에 대해 회의하면서 좋은 소설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한다.
희망하던 호선국민학교로 발령받은 상구는 그곳에서 노조 가입 논란에 휩쓸린다. 노조파와 비노조파의 대립은 매우 심각했고, 노조파가 제기하는 문제에 공감한 상구는 ‘교육계는 달라져야 한다’는 신념에 따라 노조에 가입한다. 학교에서는 노조 가입을 한 교사에 대해 파면 조치의 강경 대응을 하고 상구는 결국 학교에서 쫓겨나고 만다. 학교에 갈 수 없는 그는 선생님을 외치는 아이들의 목소리가 환청처럼 들려와 가슴을 부여잡으면서도, 글을 써서 돈을 번다는 것도 쉬운 것이 아니었고 그렇다고 새로운 직장을 금방 구하기도 어려웠다. 그는 자신이 비참하다는 생각에서 벗어날 수 없어 자주 술을 마시면서 고통을 잊으려고 한다. 그러던 하루는 행색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살인사건의 용의자로 몰려 경찰서 유치장에 갇혔다가 다행히 혐의를 벗고 풀려나 집으로 향한다. 상구는 고통으로 신음을 토하면서도 어서 아내와 아이들이 기다리는 집으로 가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 그런 그의 모습은 ‘흡사 육중한 벽 앞에 서 있는 가는 삼대가 한들한들 움직이는 형상’처럼 보인다.
박규현 작가의 장편소설 『벽과 꿈의 소나타』는 상구의 영혼을 감도는 환경, 감상, 꿈, 분노, 절망의 예민한 감각을 일상 속에서 분투한 삶의 기록을 통해 환기하게 만든다. 가난하고 남루하고 자칫 보잘것없어 보이지만 오랫동안 우리를 붙잡아 앉혔던 사소하지만 끈질긴 일상의 증언이자, 그런 일상을 탈출하려는 열망의 대립항을 구체적이고도 살가운 삶의 풍경이 묻어나는 서사로 풀어내고 있는 소설이다.
벽과 꿈의 소나타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