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진경산수화 (양장)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 (양장)

$79.00
Description
18세기 조선의 풍광을 담다
조선 후기 회화사의 정수, 진경산수화의 진면목
미술사학자 박은순의 평생 연구를 집대성한 책
진경산수화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이 시기에는 겸재 정선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고, 그 결과 현재까지도 진경산수화 전반에 대한 이해보다는 정선이라는 천재적인 작가에 대해 평가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술사학자 박은순은 이러한 편향성이 18세기 회화사의 위대한 성취를 왜곡하거나 놓치게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진경산수화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해왔다. 저자에 따르면, 진경산수화는 18세기를 통관하면서 위대한 화가들과 이들을 지지한 후원자, 감상자, 수장가들의 협력 아래 도도한 흐름을 형성하면서 조선 후기 문화사의 대장관을 연출하였다. 저자의 오랜 연구를 집대성한 이 책은 그 진면목을 드러내며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전체상을 제시한다.

저자

박은순

저자:박은순
덕성여자대학교미술사전공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영문학을전공하고,홍익대학교대학원미술사학과에서미술사전공으로석사및박사학위를받았다.덕성여대박물관장과차미리사교양대학장역임.
미국스토니부룩소재뉴욕주립대학교강사및연구원,일본동경대학교동양문화연구소외국인연구원,세조(成城)대학교대학원초빙교수,사단법인온지학회회장,한국고지도연구학회회장,한국미술사학회총무이사,역사학회평의회이사,문화재청(현국가유산청)동산분과문화재위원회위원,서울시문화재위원회위원,인천시문화재위원회위원,문화재청자체평가위원회평가위원,교육과학부인문사회학술정책위원회위원,서울시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위원,국립여성사박물관자문위원,인천아트플랫폼운영위원회위원,인천문화재단우현상운영위원회위원,한국학중앙연구원민족문화대백과사전편집위원,국토정보지리원지도박물관유물구입자문위원회위원,국회도서관유물구입평가위원등.
저서로는『金剛山圖연구』,『조선후기선비그림의선구자공재윤두서』,『조선후기의선비그림儒畵』,『이렇게아름다운우리그림』,『정선:진경산수화를완성한화가』,『금강산일만이천봉』등이있고,공저로는『그림에게물은사대부의생활과풍류』,『한국지도학발달사』,『왜관으로돌아온겸재정선화첩』,『표암강세황:조선후기문인화가의표상』,『조선시대회화의교류와소통』외다수있음.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며

Ⅰ.진경산수화의정의와제작배경
1.진경산수화의정의:진眞·진경眞境·진경眞景
2.진경산수화의제작배경에대한논의
1)현실주의
2)새로운시각인식과시각적사실성의추구
3)천기론의영향
4)전통실경산수화의영향

Ⅱ.진경산수화연구에대한비판적검토
1.진경산수화에대한선행연구
2.진경문화·진경시대론에대한비판적검토
3.나가면서

Ⅲ.조선후기진경산수화의제재와관점
1.진경산수화의제재
1)명승명소도
2)야외아회도
3)유거·정사·별서도
4)구곡도
5)공적실경도
6)기행사경도
2.진경산수화의시점과투시법
1)다초점투시
2)조망
3)풍수
4)원근투시

Ⅳ.진경산수화의유형과변천
1.천기론적진경산수화:답경모진과천기유동
1)천기론과진경산수화
2)겸재정선의천기론적진경산수화
2.사의적진경산수화:현실관조와산수취미
1)조선후기의선비그림,유화의발전과사의성의추구
①조선후기의선비그림,유화의발전②사의성의추구와사의적진경산수화
2)사의적진경산수화에미친중국
판화의영향
3)사의적진경산수화의성격과특징
그리고화풍
①선비화가심사정·강세황·허필외②선비화가김윤겸·이인상·윤제홍외③선비화가정수영·이방운·이의성외
4)나가면서
3.사실적진경산수화:새로운시각인식과
시각적사실성의추구
1)조선후기서학의도입
①과학기술문물에대한탐구와실용②현실개혁의대안③과학적지식의교양화
2)시각적사실성의추구
3)서양투시도법의성격및기법
①개념및표현기법②중국회화에반영된서양투시도법
4)서양투시도법의수용과사실적
진경산수화
①산술적이해②회화적실험과수용③평행사선투시도법의새로운정립
5)나가면서

Ⅴ.겸재정선과진경산수화
1.발견된대가:겸재정선에대한평가의역사
2.사의와진경의경계를넘어서:기려도를중심으로
3.겸재정선과소론계인사들의교류와후원
1)18세기전반문예계와소론계인사들의활동양상
①겸재정선과소론계인사들의교류②18세기전반소론의사상과학풍그리고문예
2)소론계인사의정선에대한후원과평가
3)나가면서
4.겸재정선의진경산수화와서양화법
1)정선의천문학겸교수직과서학의경험
2)정선이구사한서양화법
①지면과수면의표현②대기의표현③서양식투시도법의구사④전통적인기법과서양화법의절충
3)나가면서
5.겸재정선의진경산수화풍과고지도
1)겸재정선화풍의구성요소:필묵법·준법·수지법·태점을중심으로
2)18세기후반고지도에나타난정선화풍의영향과변용
①정선화풍의수용과변용:18세기중엽②정선화풍의변용과남종화풍으로의전환:18세기말엽
3)19세기고지도화풍의변화와정선화풍의잔영
①보수적화풍의고지도:19세기전반②새로운남종화풍으로의전환:19세기전반③정선화풍의잔영:19세기후반
4)나가면서

Ⅵ.진경산수화의다양성
1.조선후기관료문화와진경산수화:소론계관료를중심으로
1)17세기남구만계십경도류회화
2)18세기소론계관료의환력과진경산수화
3)나가면서
2.표암강세황의사실적진경산수화:일상과평범,상경의추구
1)강세황의기행사경도
2)일상과평범,상경의추구
3)새로운시각인식과서양화법의수용
4)공인의식과환유의기록
5)나가면서
3.남한강실경산수화
1)명승유연과기행사경
2)은둔과풍류
3)비운과충절의역사
4)나가면서
4.현실의풍경,마음의풍경:조선후반기의전별도
1)헤어짐의미학과전별도의제작
2)조선후기이전의전별도
3)조선후기진경산수화와전별도
4)조선말기사의적인전별도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진경산수화란무엇인가

미술사에서실경을그린그림을가리켜실경산수화라한다.우리나라에서는고려시대이후조선시대까지이러한실경산수화가꾸준히제작되었다.그런데조선후기,18세기에그려진실경산수화는일반적인통칭을사용하지않고특별히진경산수화라고불리며높이평가되고있다.조선후기의진경산수화가이처럼이전의실경산수화와구분되고높이평가되는것은그것이한시대의정신과예술을대변하는회화로서크게유행하였을뿐아니라독창적이고수준높은예술적성취를이루어냄으로써한국적인문화와정체성을보여주기때문이다.

진경산수화의등장은18세기이후조선사회의사상적,문화적인전환과관련이있다.이시기에이르러성리학적인명분과이념을중시하는보수적인가치관이퇴조하고현실주의적인사상과가치관이대두하였다.전반적으로이념보다는현실,명분보다는실제,관념보다는경험,고(古)보다는금(今),규범이나법보다는개성과자아를중시하는경향이나타났다.문학과회화에서는관념적,고답적,은유적주제보다현실적,사실적,직설적인주제를추구하기시작하였다.이에따라산수화에서도성리학의이념적·이상적가치를은유적으로담아낸관념산수화보다실제로존재하고,경험하고,관찰할수있는대상인실경,곧진경을그리는진경산수화가유행하게된다.궁중과사대부,중인과서민등다양한계층의주문과후원을받으면서진경산수화는화단의변화를촉진하였고조선후기회화예술을대표하게되었다.

239점의도판과함께보는조선후기회화사
진경산수화의주요작가와대표작들대거수록

윤두서,〈자화상〉외
정선,〈금강전도〉·〈인왕제색도〉·《풍악도첩》외
강세황,〈송도전경도〉·〈영통동구도〉외
김윤겸,〈백악산도〉외
정수영,〈백사회야유도〉외
이인상,〈구룡연도〉외
심사정,〈만폭동도〉외
허필,〈죽서루도〉외
김하종,〈헐성루망전면전경도〉외
강희언,〈북궐조무도〉외
김홍도,〈총석정도〉외
김득신외,〈환어행렬도〉외
윤제흥,〈화적연도〉외
이방운,〈금병산도〉외
김응환,〈금강전도〉외

진경산수화는무엇을그렸을까?진경산수화의제재

명승명소도

조선시대의수도인한양과한강변의경치는조선초부터각종행사와모임의배경이됨으로써많이재현되었고,조선후기의진경산수화에서도크게애호되었다.정선은다양한계기로한양의여러승경을재현하였다.〈장안연우도〉(長安煙雨圖),〈서빙고망도성도〉(西氷庫望都城圖),〈서교전의도〉(西郊餞儀圖)등은한양의전경을웅장한구도로재현한작품들이다.〈인왕제색도〉,《장동팔경첩》(壯洞八景帖),《양천팔경도》등은특정경관을부각시킨작품들이다.정선이후에도김윤겸,강희언,김석신,유숙등의여러작가들이한양의승경을지속적으로재현하였다.

야외아회도

조선후기에는사대부와선비,여항인들의다양한사적인모임이유명한경관이나이름난정원등에서이루어지곤하였고,그모임과장면을재현한야외아회도가유행하였다.1739년소론계권력가이춘제는소론계사대부들과자신의집에서모임을가지고인왕산의옥류동을함께등산한뒤이를기념하고기록할것을정선에게요청하였다.정선은옥류동산등성이를넘어청풍계로가는일행을작게그리고주변의경관을크게부각시켜전통적인계회도와는다른,새로운야외아회도,진경산수화의등장을보여주었다.이후많은선비화가와직업화가들이야외아회도를제작하였다.

유거(幽居)·정사(精舍)·별서도(別墅圖)

유거도와정사도는선비가일상적으로거주하거나학문을전수하는공간을그린것이고,별서도는교외나전원의정원및별장을그린것이다.조선후기의진경산수화에서도유거와정사,서원을그리는관습이지속되었다.윤두서의〈백포유거도〉(白浦幽居圖)와정선의〈도산서원도〉가조선중기까지성행한풍수적인구성과소재를보여준다면,정선와〈인곡유거도〉(仁谷幽居圖)와이만부의《누항도》(陋巷圖)화첩은남종화풍에기초한조선후기정사도의새로운면모를보여준다.

구곡도(九曲圖)

주자는무이구곡을경영하고무이도가를지으며무이구곡도를그리게하였다.이를본떠조선중기이후선비들사이에구곡을경영하는일이성행하였다.17세기후반김수증은강원도화천의화악산에곡운구곡을경영하고,조세걸(曺世傑)을초빙하여곡운구곡도를그리게하였는데,이작품은정선풍의진경산수화가정립되기직전실경산수화의양상을보여준다.18세기이후《화양구곡도》(華陽九曲圖),《황강구곡도》(黃江九曲圖),《무흘구곡도》(武屹九曲圖)등이지속적으로제작되며구곡도는진경산수화의한제재로이어졌다.

공적실경도

국가나관아에서주관한공적행사장면이나절차를기록하고,중요한사건을전수하기위한그림이다.조선후기에는궁중행사와관련된진경산수화가활발하게제작되었다.김득신,이인문등당대를대표하는화원들이함께그린《화성원행도병》이가장대표적인작품이다.

기행사경도

이름높은명승지나유적지를여행한뒤그기행의성과를그림으로재현한작품을가리키며,조선후기진경산수화의성격과특징을대표하는제재이다.18세기전반정선과그주변사대부선비및여항인들이추구한천기론의영향으로기행과사경을결합한진경산수화가유행하였다.정선의진경산수화에서한양과함께가장큰비중을차지한장소는금강산과그주변의관동팔경이다.금강산과관동지역으로의여행을표현한그림은해악전신첩,해산도,풍악권등으로불리었다.전신첩이란초상화를가리키는전신(傳神)에서유래된명칭으로풀어서말하면‘바다와산의초상’이라는의미이다.정선의〈금강전도〉·《해악전신첩》·《풍악도첩》·《관동명승도》,김윤겸의《봉래도권》,정수영의《해산첩》,김홍도의《해산도병》,김하종의《해산도첩》·《풍악권》등진경산수화를대표하는작품들이전해지고있다.

금강산과그주변의관동팔경이가장선호된승경지였지만,충청도의사군(四郡)산수,평안도의관서팔경,함경도의관북팔경,개성과평양등역대도읍지의명소,영남과호남의지역등도그려졌다.강세황의《송도기행첩》,김윤겸의《영남기행첩》,정수영의《한임강명승도권》,윤제홍의《학산묵희첩》등의많은작품이전한다.

잔경산수화의세가지유형

천기론적진경산수화

진경산수화의핵심은진(眞)과진경(眞景)의추구에있다.이를표출하기위한예술적방법론으로제기된것이천기론(天機論)이다.정선은그림을평하면서“이그림은참으로잘그렸다.다만천취(天趣)가부족할뿐이다.…마음내키는대로붓을맡기면자연히경치가모두천취가되어인위(人爲)를닮지않을것이니이것이활필(活筆)인것이다.”라고하며천취를강조하였다.선비화가조영석은“선비가그림을그리는것은…그천기를사랑함이있어야한다.”고하여회화창작의동기와방법론으로서천기를강조하였다.서화고동의수장가와감평가로서유명하고정선과도막역하게교류했던이하곤도그림에서의고적인경향을비판하고개성과천기를중시하는회화관을주창하였다.18세기전반무렵정선은천기론적문예관을주창하고실천한그룹의일원으로서조선의실재하는경관을독특한화법으로재현한진경산수화를형성하고정립하는데중심적인역할을하였다.

천기론에서는기위(奇偉)한경치와사람이합일하는천기유동(天機流動)을경험하기위한방법론으로현장을찾아가경물을직접대한뒤묘사할것,곧즉물사경(卽物寫景)할것을요구하였다.이를위해우경모진(遇景摸眞,경치를만나진을모사하는것)과천답실경(踐踏實景,실경을직접답사함)이중시되었다.18세기이후낙론계와경화사족선비들사이에금강산여행이유행했는데,이는금강산과같은기준(奇寯)한진경을답사하여자신의성정을고양시키고,그러한진경을천기를잘발현할수있는특별한대상으로여겼기때문이다.그러한여행의견문과감흥을그림으로기록한기행사경도는진경산수화의주요한분야가되었다.천기론적진경산수화는정선의그림에서보듯현장의경물에대한화가의반응을강렬하고빠르게전달하기위한표현으로서역강한구도와빽빽한공간,빠르고강한필치와물기가많은묵법을회화적인특징으로한다.

사의적(寫意的)진경산수화

사의적진경산수화란진경을그릴때대상의사실적인묘사와재현보다화가의주관적해석과감흥을중시하고사의성을강조한진경산수화를가리킨다.심사정,김윤겸,이인상,이윤영,강세황,정수영등18세기중엽경부터활약한일군의선비화가들은진경산수화를그리는데동참하였지만,정선의진경산수화와는구별되는화풍을구사하면서진경산수화의외연을확장하였다.이들도여행을통해경물을관찰하여재현하고현장의체험과흥취를담아내는사생과묘사를중시하기는했지만,궁극적으로는시각적사실성보다는주관적인서정과개성적인해석에중점을두면서남종화법을토대로한화풍을구사하였다.회화적표현의측면에서보자면남종화에서유래된부드러운필법과담묵위주의절제된묵법,우미한담채의구사,아치(雅致)와사의성의중시등이그특징이다.

조선후기화단의흐름가운데주목되는경향의하나는선비화가들의등장과활약이다.18세기의선비화가들은직업화가들에못지않은기량을표출하였으며직업화가와는구별되는선비그림,유화(儒畵)의영역을구축하였다.유화는형사(形似)나기교를중시한직업화가들의화풍과는다른,선비로서의가치와취향을담은화풍으로표현되어야했고,그것은곧사의적인화풍의추구로귀결되었다.이러한배경에서선비화가들의주도로조선후기화단에남종화풍이도입되었으며유화의이상을실천하는방편으로선호되었다.이러한흐름속에서18세기중엽이후진경산수화의분야도천기론적진경산수화에서사의적인진경산수화로변화해나갔다.

사실적진경산수화

17세기이후중국을통해유입된서양문물은조선사회에새로운문화적충격을주면서지식인들사이에서학에대한관심을불러일으켰다.이러한서학의영향은마침내회화에도미쳐서양투시도법을수용한표현이등장하게되었다.

18세기초엽무렵부터정선은진경산수화에서양화법을선구적으로활용하기시작하였다.18세기중엽강세황은서양화법을적극적으로수용하며사실적진경산수화의새로운경지를개척하였다.그의송도기행첩을보면일점투시법,원근법,질량감의표현,명암에대한관심등서양화법의다양한요소를활용하고있다.노론계선비화가김윤겸도〈백악산도〉와〈청파도〉에서보듯서양화법에유래된기법을부분적으로활용한진경산수화를제작하였다.18세기말엽김홍도에의하여사실적인진경산수화는세련된경지로발전하였다.그의〈명경대도〉와〈총석정도〉에서18세기말엽경형성된사실적진경산수화의특징을확인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