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지 않다고 외치고 나서야 괜찮아지기 시작했다

괜찮지 않다고 외치고 나서야 괜찮아지기 시작했다

$15.00
Description
차별과 사랑이라는 애증의 평행선,
딸과 그들의 딸들이 살아갈 세상에서
존재하지 않았으면 하는 이야기!

“엄마와 나의 평행선은 끝내 만날 수 있을까”
종갓집 전통 고택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어머니와의 갈등과 반목, 화해와 치유의 이야기!
‘산수헌’ 고택에서 종가의 전통 장맛을 이어가며 살고 있는 정순임의 에세이. 4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우복 종가 산수헌(山水軒)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유서 깊은 고택으로, 글쓴이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집이다. 외지에서 한문학 관련 일을 하던 저자는 오십이 되어 종부(宗婦, 종가의 맏며느리)인 어머니로부터 간장, 된장, 고추장, 떡, 조청 등등을 만드는 법을 전수받고 브랜드화 하기 위해 귀향을 결심한다.

상주·안동 지역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아하, 그 집 딸내미로구먼!” 하던 종갓집이었지만, 지금은 일가를 이루던 친척집들이 사라지고 고즈넉하게 혼자 남아 있다. 이곳에서 글쓴이와 어머니와의 동거는 시작된다. 아버지와 일찍 사별한 후 홀로 오랫동안 집안의 대들보로 살아온 어머니. 가업을 잇겠다는 딸이 미쁘고 대견스러울 것 같기도 하련만, 귀향 초반 두 모녀의 한집살이가 마냥 알콩달콩하고 그러진 않다.

15대에 걸쳐 400년을 내리 한집에서 살아온 가문, 일 년에 열다섯 번 조상 제사를 지내는 종갓집이라고 하면 누구나 짐작하듯이, 봉건적 전통이 대대로 이어져 온 집안이다. 그런 집안의 둘째로, 그것도 딸로 태어난 저자는 일찍부터 차별을 감당해야 했다. 집안에서의 차별은 사랑이 바탕이 되기라도 했지만, 사회의 구성원으로 편입되면서부터 경험하고 목도한 차별은 견디기 힘들었다. 한집안 안에서라면, 그런 딸과 가부장적 전통의 수호자라 할 종가의 종부(宗婦)인 어머니 사이 세계관의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일일 테다.

상처는 덧나고 곪아가기만 했다. 사람은 바뀌지 않는 것일까, 바뀌어 가는 것일까. 이대로는 도저히 살 수 없을 것만 같아서 저자는 남은 미래를 걸고 가출을 감행한다. 나이 오십에. 제주도 한적한 마을에 거처를 마련하고 어린 시절부터의 일들을 복기하는 글을 쓰기 시작한다. 쓰지 않고는 얽히고설킨 매듭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을 것만 같아서, 그 실마리를 찾기 전에는 숨도 제대로 쉴 수 없을 것만 같아서였다.

가부장제의 상징 같은 고택에서 태어나 자랐고 결국 그곳으로 돌아왔지만, 성차별에 반대하는 대의에는 동감한다. 한편으로는 정말 깨어 있는 분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고지식하며 차별적인 어머니, 너무 좋지만, 한편으로 너무 밉기도 하다. 이 모순에서 오십 대 여성 정순임은 어떻게 빠져나올 수 있을까. 이것은 그 답을 찾는 이야기다. 고택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배경으로, 여성으로서의 생애사와 감정을 담담하고 다감하게 때론 격렬하게 풀어내고 있다.
저자

정순임

400년을한곳에서살아온가문,15대에걸쳐봉건적전통을이어온집안의둘째이면서딸로서의삶이만만치않았다.대학원에서한문학을공부하면서부터번역일로밥벌이를하며아이들두명과우당탕탕살았다.오십에귀향해된장고추장담그며산다.최선을다해,살았다고한번쯤으쓱해보이고싶었으나,갱년기를지나며돌아보니보잘것없는생만허무하다.죽음이삶의결승점이라면보잘것도좀챙기고,허무대신충만이랑많이친해진뒤에왁자지껄환하게통과하고싶다.

목차

머리글005

1장종가집의둘째,그리고딸
밖에선별당아씨,안에선가시나.013
뚝배기보다장맛.016
아버지,내첫번째남자.019
따뜻했던사람들의기억.022
봄이면과수원나가신다해놓고.026
예기치않았던일들.032
품이넉넉했던우천할매.035
순하고선했던무섬아지매.042
삶과죽음속에서나는자랐다.045
겨울에도놀거리는많고도많았다.048
나도출세하면안돼?.052
가면밝아지고가면밝아지고.056
우리집을거쳐간사람들.059

2장단지여자이고여자였을뿐
사랑은원하는것을주는거야.065
흘린눈물이아깝고분해서.069
나는괜찮지않았다.075
사랑은왜배우지못했을까.080
끝날것같지않았던한시절.084
그건아내를못믿는다는뜻이지.089
결혼에어울리지않는여자.092
‘옆집아줌마’는무슨뜻일까.096
관습적피해자.100
그아이는어떻게살고있을까.105
함께가자우리이길을.109
마녀가돼도괜찮아.112
여자의일생.117

3장엄마와나의평행선
가자,가족품으로.123
그술내가마셨냐고요.126
콩이튀고팥이튀는날들.129
내죽거들랑그때나울어라!.134
누가우리엄마좀말려주세요.140
니가뭘안다고!.143
우리사이에는‘사이’가필요하다.148
다시시작하는나이.152
세월이약이되려면.155
사랑혹은타령.158
어매,아껴쓰시게.161
세상에서가장단단한이름.164
지질하고짠해서버리지못하는꿈.167

4장모든길은가족에닿는다
트렁크에상처와용기를욱여넣고.173
엄마가버텨낸시간들.178
오십이넘어가출이라니.182
당신이란여행지.187
사소하고유치한슬픔.191
오빠야조금만기다려줘.194
곧당신께돌아가겠습니다.199
슬픔이건네는말들.203
집으로가는길.207
가족이란그런것이다.211
우리엄마가달라졌어요.215
있어줘서고마워.220
나는나,우리는가족.225
산수헌의나날.229

출판사 서평

사랑하기때문에참고살수없었던것,차별!
전통에충실한삶을이어가기위해더욱필요했던것,평등!

저자정순임은경북상주소재‘우복종가’에서태어났다.사랑채당호는산수헌.대학한문학과교수들이모두자기집안내력을꿰고있더라는,이름난명문가다.하지만아버지는일찍돌아가시고,저자의어머니가집안을사실상이끌어오늘에내려왔다.예전부터같은마을에살며일을돕던아지매들까지나이가들어모두도시로떠났고,이제전통의가치를잇는분은오직어머니한분이다.

그리운고향집으로돌아와어머니옆에서살고싶은마음도있었다.하지만된장,간장,고추장,담북장,집장,박장,약과,유과,전과,타래과,수란,족편,피편….그런대대로내려온음식들을배우고전해야한다는사명감역시한몫했다.그래서대학원을나와번역을하던글쓴이는오십이되어고향으로돌아온다.

400년된고택으로,사랑채(산수헌)와안채등은물론누각,정자,강당,사당을갖춘국가지정문화재인전통가옥에서의삶은자연과벗하는나날들이다.직접농사지은농산물을가지고사람의손으로옛방식그대로장을만들고조청을끓인다.어머니의장사법또한옛날그대로다.“(원가가)콩얼마천일염얼마,그것이계산법의전부다”.도회지에서살다와서땅값,인건비,그리고시간을계산하기시작하는딸을보며어머니는“도둑놈이따로없네”라며중얼거린다.‘양심없는’딸에게전통비법전수는언감이다.

모성이란과도하게포장된,남자들을위한종합선물세트같은것

그리고여전히가부장적인어머니의사고방식.밥차리는것부터시작해서모든배려는아들이우선이고딸은뒷전이다.딸에게도마찬가지로헌신하셨고대학교육에까지차별을두지않았던어머니였다는걸알지만,딸의입장에서는점점마음이상하기만한다.결국불만이사랑을갉아먹을것같은두려움에사로잡힌글쓴이는가출을감행한다.

어떻게하면농촌은옛방식을계승해나가면서도정당한경제적대가를가져올수있을까.어떻게하며전통문화재를지키면서도편리한삶이가능할까.어떻게하면십오대할아버지의제사를지내면서도가정문화는평등하게가꾸어나갈수있을까.지은이의고민은여러가지다.그리고그변화의시작은어머니와의관계정립부터다.

안다.당신과나를동일시했다는걸,남자들밥상위에맛있는거놓고여자들은대충먹으면된다고배우고익히며살아온당신의세월을,모성이란과도하게포장된남자들을위한종합선물세트같은것이란걸,그런시절을산엄마가혼자달리살기는어려웠단것또한잘알고있다.알고있었기에속으로삭이고대항하지않는방법을택할수밖에없었다.-본문중에서

템플스테이에이어‘한옥한달살기’가나름의‘힙’함으로받아들여진지도제법시간이지났다.전통가옥에서의진짜삶은어떤의미와결을담고있을까.그리고그안에사는사람들은어떤고민과생각으로오늘을살고있을까.자연의여유로움,전통의다정한느낌에끌리면서도,그곳들에매인불합리와차별의그림자를꺼려하던독자들에게특별히추천하는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