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차별과 사랑이라는 애증의 평행선,
딸과 그들의 딸들이 살아갈 세상에서
존재하지 않았으면 하는 이야기!
“엄마와 나의 평행선은 끝내 만날 수 있을까”
종갓집 전통 고택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어머니와의 갈등과 반목, 화해와 치유의 이야기!
딸과 그들의 딸들이 살아갈 세상에서
존재하지 않았으면 하는 이야기!
“엄마와 나의 평행선은 끝내 만날 수 있을까”
종갓집 전통 고택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어머니와의 갈등과 반목, 화해와 치유의 이야기!
‘산수헌’ 고택에서 종가의 전통 장맛을 이어가며 살고 있는 정순임의 에세이. 4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우복 종가 산수헌(山水軒)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유서 깊은 고택으로, 글쓴이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집이다. 외지에서 한문학 관련 일을 하던 저자는 오십이 되어 종부(宗婦, 종가의 맏며느리)인 어머니로부터 간장, 된장, 고추장, 떡, 조청 등등을 만드는 법을 전수받고 브랜드화 하기 위해 귀향을 결심한다.
상주·안동 지역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아하, 그 집 딸내미로구먼!” 하던 종갓집이었지만, 지금은 일가를 이루던 친척집들이 사라지고 고즈넉하게 혼자 남아 있다. 이곳에서 글쓴이와 어머니와의 동거는 시작된다. 아버지와 일찍 사별한 후 홀로 오랫동안 집안의 대들보로 살아온 어머니. 가업을 잇겠다는 딸이 미쁘고 대견스러울 것 같기도 하련만, 귀향 초반 두 모녀의 한집살이가 마냥 알콩달콩하고 그러진 않다.
15대에 걸쳐 400년을 내리 한집에서 살아온 가문, 일 년에 열다섯 번 조상 제사를 지내는 종갓집이라고 하면 누구나 짐작하듯이, 봉건적 전통이 대대로 이어져 온 집안이다. 그런 집안의 둘째로, 그것도 딸로 태어난 저자는 일찍부터 차별을 감당해야 했다. 집안에서의 차별은 사랑이 바탕이 되기라도 했지만, 사회의 구성원으로 편입되면서부터 경험하고 목도한 차별은 견디기 힘들었다. 한집안 안에서라면, 그런 딸과 가부장적 전통의 수호자라 할 종가의 종부(宗婦)인 어머니 사이 세계관의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일일 테다.
상처는 덧나고 곪아가기만 했다. 사람은 바뀌지 않는 것일까, 바뀌어 가는 것일까. 이대로는 도저히 살 수 없을 것만 같아서 저자는 남은 미래를 걸고 가출을 감행한다. 나이 오십에. 제주도 한적한 마을에 거처를 마련하고 어린 시절부터의 일들을 복기하는 글을 쓰기 시작한다. 쓰지 않고는 얽히고설킨 매듭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을 것만 같아서, 그 실마리를 찾기 전에는 숨도 제대로 쉴 수 없을 것만 같아서였다.
가부장제의 상징 같은 고택에서 태어나 자랐고 결국 그곳으로 돌아왔지만, 성차별에 반대하는 대의에는 동감한다. 한편으로는 정말 깨어 있는 분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고지식하며 차별적인 어머니, 너무 좋지만, 한편으로 너무 밉기도 하다. 이 모순에서 오십 대 여성 정순임은 어떻게 빠져나올 수 있을까. 이것은 그 답을 찾는 이야기다. 고택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배경으로, 여성으로서의 생애사와 감정을 담담하고 다감하게 때론 격렬하게 풀어내고 있다.
상주·안동 지역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아하, 그 집 딸내미로구먼!” 하던 종갓집이었지만, 지금은 일가를 이루던 친척집들이 사라지고 고즈넉하게 혼자 남아 있다. 이곳에서 글쓴이와 어머니와의 동거는 시작된다. 아버지와 일찍 사별한 후 홀로 오랫동안 집안의 대들보로 살아온 어머니. 가업을 잇겠다는 딸이 미쁘고 대견스러울 것 같기도 하련만, 귀향 초반 두 모녀의 한집살이가 마냥 알콩달콩하고 그러진 않다.
15대에 걸쳐 400년을 내리 한집에서 살아온 가문, 일 년에 열다섯 번 조상 제사를 지내는 종갓집이라고 하면 누구나 짐작하듯이, 봉건적 전통이 대대로 이어져 온 집안이다. 그런 집안의 둘째로, 그것도 딸로 태어난 저자는 일찍부터 차별을 감당해야 했다. 집안에서의 차별은 사랑이 바탕이 되기라도 했지만, 사회의 구성원으로 편입되면서부터 경험하고 목도한 차별은 견디기 힘들었다. 한집안 안에서라면, 그런 딸과 가부장적 전통의 수호자라 할 종가의 종부(宗婦)인 어머니 사이 세계관의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일일 테다.
상처는 덧나고 곪아가기만 했다. 사람은 바뀌지 않는 것일까, 바뀌어 가는 것일까. 이대로는 도저히 살 수 없을 것만 같아서 저자는 남은 미래를 걸고 가출을 감행한다. 나이 오십에. 제주도 한적한 마을에 거처를 마련하고 어린 시절부터의 일들을 복기하는 글을 쓰기 시작한다. 쓰지 않고는 얽히고설킨 매듭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을 것만 같아서, 그 실마리를 찾기 전에는 숨도 제대로 쉴 수 없을 것만 같아서였다.
가부장제의 상징 같은 고택에서 태어나 자랐고 결국 그곳으로 돌아왔지만, 성차별에 반대하는 대의에는 동감한다. 한편으로는 정말 깨어 있는 분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고지식하며 차별적인 어머니, 너무 좋지만, 한편으로 너무 밉기도 하다. 이 모순에서 오십 대 여성 정순임은 어떻게 빠져나올 수 있을까. 이것은 그 답을 찾는 이야기다. 고택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배경으로, 여성으로서의 생애사와 감정을 담담하고 다감하게 때론 격렬하게 풀어내고 있다.
괜찮지 않다고 외치고 나서야 괜찮아지기 시작했다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