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세계를 한 바퀴 도는 길이야말로 자기 자신에게 이르는 지름길이다.”
- 헤르만 폰 카이저링
겸손하고 진지하게 동쪽의 지혜를 찾아온 서쪽의 지식인
‘지혜의 학교’를 설립한 철학자의 지구 한 바퀴 철학 여행!
- 헤르만 폰 카이저링
겸손하고 진지하게 동쪽의 지혜를 찾아온 서쪽의 지식인
‘지혜의 학교’를 설립한 철학자의 지구 한 바퀴 철학 여행!
방랑하는 철학자》는 독일계 철학자 헤르만 폰 카이저링이 1911년부터 1912년까지 약 2년에 걸쳐 인도와 동아시아 그리고 북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세계 일주를 하던 당시, 주요 기착지인 사원과 문화유산에서 가졌던 철학적 사색을 담아낸 여행기다. 지금은 에스토니아 땅인 러시아 제국령 리보니아에서 귀족 집안의 자제로 태어난 그는 철학은 물론 지질학에도 박식했으며, 세계 일주를 떠나기 전부터 에세이스트로 꽤 알려진 인물이었다.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 카이저링은 기독교는 물론 동양의 힌두교와 불교, 유교와 도교 등의 종교와 철학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방문지 곳곳의 사원과 문화유산에서 현지 사람들과 직접 만나 대화하고 제반 철학의 생성에 영향을 준 자연환경을 몸소 접하며, 그는 그동안 자신이 쌓아 왔던 지식을 하나의 독자적인 철학적 원리로 전환시켜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도구로 체화할 수 있었다.
철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계 곳곳에 펼쳐진 사유의 현장
당대 유럽의 지식인들은 그랜드 투어라는 이름 아래 전 세계를 둘러보는 것이 하나의 유행이었고, 그네들의 무수한 세계 일주의 기록이 남겨져 있다. 이러한 세계 일주 여행기는 유럽인의 편협한 시선 속에서 바라보았던 이국적 풍경의 기록이 대부분이었다. 반면, 카이저링 스스로 철학과 지질학을 공부한 데다 동양의 종교와 철학마저 이해도가 높았던지라 그는 여행 중의 방문지를 단순한 구경의 대상이 아닌 철학적 사유의 공간으로 이해하고, 사람들과 만나고 대화를 나누는 것 또한 철학적 사유의 에너지로 이용했다.
가령, 카이저링이 살아온 유럽의 기독교 세계와 사뭇 다른 인도의 힌두교에 근원인 식물적 생태관과 세계관을 그는 울창한 밀림의 생태에 주목하면서 왜 기독교와 다르게 힌두교가 인도 땅에 자리 잡고 수천 년간 인도인의 심성을 지배했는지를 주목한다. 중국에서도 공자 사당을 방문하며 유교가 어떤 식으로 동아시아 사회를 통합하고 움직여왔는지를 고찰한다. 같은 기독교 세계라고 하더라도 미국에서는 고도로 발전하기 시작한 자본주의가 미국이라는 신세계가 어떻게 유럽이라는 구세계와 차이를 두고 성장해가는지를 논파한다. 이런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히말라야의 높디높은 산자락과 하와이 활화산, 미국 그랜드캐니언의 장엄한 풍경을 바라보는 그 시선은 고상한 척하는 여느 유럽의 젊은 유한자의 시선과는 사뭇 다르다.
카이저링은 세계 일주 중 중국과 일본에서 꽤나 많은 시간을 보내며 많은 문화적 체험을 했는데, 일제 강점기 초창기인 우리나라는 아쉽게도 들르지 못했으나 일본 나라의 호류지의 고구려 불상(책에서는 ‘한국 불상’으로 기재)을 언급하며 약간의 아쉬움을 달래준다.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 카이저링은 기독교는 물론 동양의 힌두교와 불교, 유교와 도교 등의 종교와 철학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방문지 곳곳의 사원과 문화유산에서 현지 사람들과 직접 만나 대화하고 제반 철학의 생성에 영향을 준 자연환경을 몸소 접하며, 그는 그동안 자신이 쌓아 왔던 지식을 하나의 독자적인 철학적 원리로 전환시켜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도구로 체화할 수 있었다.
철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계 곳곳에 펼쳐진 사유의 현장
당대 유럽의 지식인들은 그랜드 투어라는 이름 아래 전 세계를 둘러보는 것이 하나의 유행이었고, 그네들의 무수한 세계 일주의 기록이 남겨져 있다. 이러한 세계 일주 여행기는 유럽인의 편협한 시선 속에서 바라보았던 이국적 풍경의 기록이 대부분이었다. 반면, 카이저링 스스로 철학과 지질학을 공부한 데다 동양의 종교와 철학마저 이해도가 높았던지라 그는 여행 중의 방문지를 단순한 구경의 대상이 아닌 철학적 사유의 공간으로 이해하고, 사람들과 만나고 대화를 나누는 것 또한 철학적 사유의 에너지로 이용했다.
가령, 카이저링이 살아온 유럽의 기독교 세계와 사뭇 다른 인도의 힌두교에 근원인 식물적 생태관과 세계관을 그는 울창한 밀림의 생태에 주목하면서 왜 기독교와 다르게 힌두교가 인도 땅에 자리 잡고 수천 년간 인도인의 심성을 지배했는지를 주목한다. 중국에서도 공자 사당을 방문하며 유교가 어떤 식으로 동아시아 사회를 통합하고 움직여왔는지를 고찰한다. 같은 기독교 세계라고 하더라도 미국에서는 고도로 발전하기 시작한 자본주의가 미국이라는 신세계가 어떻게 유럽이라는 구세계와 차이를 두고 성장해가는지를 논파한다. 이런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히말라야의 높디높은 산자락과 하와이 활화산, 미국 그랜드캐니언의 장엄한 풍경을 바라보는 그 시선은 고상한 척하는 여느 유럽의 젊은 유한자의 시선과는 사뭇 다르다.
카이저링은 세계 일주 중 중국과 일본에서 꽤나 많은 시간을 보내며 많은 문화적 체험을 했는데, 일제 강점기 초창기인 우리나라는 아쉽게도 들르지 못했으나 일본 나라의 호류지의 고구려 불상(책에서는 ‘한국 불상’으로 기재)을 언급하며 약간의 아쉬움을 달래준다.
방랑하는 철학자
$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