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평생 공장노동을 하며 살아온 한 시인의 ‘전태일되기’”
표성배는 15세 소년공으로 출발하여 정년이 내일모레인 현재까지 공장 노동을 하며 시를 쓰는 시인이다. 이번 신작 시집 〈당신이 전태일입니다〉는 그의 11번째 시집이다. 이 시집 역시 핍진한 노동 체험이 감동 짙게 묻어난 시들로 빼곡하다. 55편의 시를 4부에 엮었다.
표성배 시인은 줄곧 자신의 노동 체험을 바탕으로 시 쓰기를 해왔는데, 이 시집 또한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면서, 시집의 표제 〈당신이 전태일입니다〉에서 보듯이 ‘전태일’이라는 한국 현대사에서의 상징적인 인물을 매개로 하여 오늘날 노동자로 살아가는 자신의 삶의 의미를 되묻고 있다. 즉, 선각적 삶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하는 ‘전태일되기’로서의, 현재적 삶의 좌표를 돌아보는 층위에서의 시 쓰기로서 말이다. 시인은 마산창원 지역의 공단로에, 나아가 한국 현대사의 그늘 속에 한 점 한 점 세밀화를 삽입하는 작업으로서의 시 쓰기를 보여주고 있다.
노동자로 살아가는 시인에게 ‘전태일’은 “노동이 존중받는 / 노동에 귀천이 없는 나라 / 그런 나라에 살고 싶다 / 근로 시간이 줄고 귀족 노조가 어떻고 하지만 / 여전히 알 수 없는 내일, / 단순히 먹고살기 위한 노동에서 / 희망의 노동으로 / 조금씩 환경이 바뀔 때마다 / 그곳”(「당신이 전태일입니다」)에서 함께 싸우는 동료 노동자다. 시집 속에는 이 동료들이 개인으로 집단으로 무수히 호명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녹록지 않은 현실 속에서 “천만 노동자가 / 천만 노동자 손을 잡아주기만 하면 / 한 명 전태일이 / 천만 이천만 전태일이”(「너무 쉽게 잊는」) 될 텐데 아쉬움이 크기도 하다. 아쉬움은 힘겨움에서 온다. “백 년 이백 년 무너지지 않는 집이 될 것이라 / 환호했지만 김칫국을 너무 일찍 마셨다 / 환호성이 채 사라지기도 전에 / 주춧돌이 내려앉고 대들보가 흔들렸다 / (중략) / 대문이 굳게 닫힌 집에는 / 따뜻한 밥이란 없다 / 수많은 전태일이 만들고 지키고자 했던 / 노동조합 / 그 집이 위험하다”(「가장 따스한 집」)는 진단이다. 이러한 시적 태도는 일방적인 노동자 찬양을 충분히 넘어서고 있다.
오늘날의 노동조합이 약화한 것은 자본 권력의 “죽은 전태일과 살아 있는 전태일을 / 갈라치기”(「전태일은 살아 있다」)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노동자들의 노동 조건이 조금씩 개선되면서 “조합원들이 공장 안 일보다 / 공장 밖 일에 더 관심을 갖”게 되고 “공돌이 공순이로 불리던 노동자들이 / 꽃놀이패를 쥔 것처럼 어엿한 중산층이 되”면서 이제 공장에서 전태일을 찾기가 쉽지 않다(「전태일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여전히 철공소에는 근로기준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노동 현실의 불균형에 대해서는 다른 여타의 노동시에서도 많이 다루었다. 다만 표성배 시인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배면에 깔면서 일개 노동조합운동이 나아가 마산창원 지역의 노동운동으로, 나아가 한국 노동운동으로 이어진다는 신념과 그 현상을 그만의 시어들로 기억하고 노래한다는 점에서 남다르다.
그 점이 무엇보다도 표성배 시인의 이번 시집의 압권인바, 마산창원노동조합총연합이 “전태일 정신을 새기고 노동자 전위대로 / 대한민국 노동의 역사에 피를 바친 마창노련 / 지금도 마산 창원 하늘에는 / 마창노련 깃발이 핏빛으로 빛나”(「마창노련」)고 있음을 기록하고, 그 과정에서 일어난 「마창노련 테러 사건」, 「통일중공업노조 테러 사건」, 「세신실업 구사대 퇴치 투쟁」, 「금성사 투쟁」, 「삼미특수강 투쟁」, 전태일 열사 사후 17년 만에 일어난 마산수출자유지역의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을 그린 「딸들아 일어나라」 등등 불러오며 그 투쟁의 의미를 “1970년 전태일의 염원이 전노협을 세웠다 / 기나긴 어둠을 찢어버리고 / 전노협 깃발 아래 / 나도 당당하게 서고 싶었다”고 노래함으로써 개인사-마산창원 노동운동사-한국 현대사로 확장하며 노동하는 삶에 대한 긍정과 자부가 있다는 점이다. “마창에는 3ㆍ15가 있고 / 김용실 김영준 김영호 강윤기 김주열이 있고 / 4ㆍ19가 있고 10ㆍ18이 있고 / 팔칠 년 칠팔구가 있고 마창노련이 있고 / (중략) / 전태일 앞에 전태일 / 전태일 뒤에 전태일이 있는 / 마산창원, / 나는 마산창원이 자랑스럽다”(「마산창원이 자랑스럽다」).
표성배 시인은 줄곧 자신의 노동 체험을 바탕으로 시 쓰기를 해왔는데, 이 시집 또한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면서, 시집의 표제 〈당신이 전태일입니다〉에서 보듯이 ‘전태일’이라는 한국 현대사에서의 상징적인 인물을 매개로 하여 오늘날 노동자로 살아가는 자신의 삶의 의미를 되묻고 있다. 즉, 선각적 삶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하는 ‘전태일되기’로서의, 현재적 삶의 좌표를 돌아보는 층위에서의 시 쓰기로서 말이다. 시인은 마산창원 지역의 공단로에, 나아가 한국 현대사의 그늘 속에 한 점 한 점 세밀화를 삽입하는 작업으로서의 시 쓰기를 보여주고 있다.
노동자로 살아가는 시인에게 ‘전태일’은 “노동이 존중받는 / 노동에 귀천이 없는 나라 / 그런 나라에 살고 싶다 / 근로 시간이 줄고 귀족 노조가 어떻고 하지만 / 여전히 알 수 없는 내일, / 단순히 먹고살기 위한 노동에서 / 희망의 노동으로 / 조금씩 환경이 바뀔 때마다 / 그곳”(「당신이 전태일입니다」)에서 함께 싸우는 동료 노동자다. 시집 속에는 이 동료들이 개인으로 집단으로 무수히 호명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녹록지 않은 현실 속에서 “천만 노동자가 / 천만 노동자 손을 잡아주기만 하면 / 한 명 전태일이 / 천만 이천만 전태일이”(「너무 쉽게 잊는」) 될 텐데 아쉬움이 크기도 하다. 아쉬움은 힘겨움에서 온다. “백 년 이백 년 무너지지 않는 집이 될 것이라 / 환호했지만 김칫국을 너무 일찍 마셨다 / 환호성이 채 사라지기도 전에 / 주춧돌이 내려앉고 대들보가 흔들렸다 / (중략) / 대문이 굳게 닫힌 집에는 / 따뜻한 밥이란 없다 / 수많은 전태일이 만들고 지키고자 했던 / 노동조합 / 그 집이 위험하다”(「가장 따스한 집」)는 진단이다. 이러한 시적 태도는 일방적인 노동자 찬양을 충분히 넘어서고 있다.
오늘날의 노동조합이 약화한 것은 자본 권력의 “죽은 전태일과 살아 있는 전태일을 / 갈라치기”(「전태일은 살아 있다」)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노동자들의 노동 조건이 조금씩 개선되면서 “조합원들이 공장 안 일보다 / 공장 밖 일에 더 관심을 갖”게 되고 “공돌이 공순이로 불리던 노동자들이 / 꽃놀이패를 쥔 것처럼 어엿한 중산층이 되”면서 이제 공장에서 전태일을 찾기가 쉽지 않다(「전태일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여전히 철공소에는 근로기준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노동 현실의 불균형에 대해서는 다른 여타의 노동시에서도 많이 다루었다. 다만 표성배 시인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배면에 깔면서 일개 노동조합운동이 나아가 마산창원 지역의 노동운동으로, 나아가 한국 노동운동으로 이어진다는 신념과 그 현상을 그만의 시어들로 기억하고 노래한다는 점에서 남다르다.
그 점이 무엇보다도 표성배 시인의 이번 시집의 압권인바, 마산창원노동조합총연합이 “전태일 정신을 새기고 노동자 전위대로 / 대한민국 노동의 역사에 피를 바친 마창노련 / 지금도 마산 창원 하늘에는 / 마창노련 깃발이 핏빛으로 빛나”(「마창노련」)고 있음을 기록하고, 그 과정에서 일어난 「마창노련 테러 사건」, 「통일중공업노조 테러 사건」, 「세신실업 구사대 퇴치 투쟁」, 「금성사 투쟁」, 「삼미특수강 투쟁」, 전태일 열사 사후 17년 만에 일어난 마산수출자유지역의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을 그린 「딸들아 일어나라」 등등 불러오며 그 투쟁의 의미를 “1970년 전태일의 염원이 전노협을 세웠다 / 기나긴 어둠을 찢어버리고 / 전노협 깃발 아래 / 나도 당당하게 서고 싶었다”고 노래함으로써 개인사-마산창원 노동운동사-한국 현대사로 확장하며 노동하는 삶에 대한 긍정과 자부가 있다는 점이다. “마창에는 3ㆍ15가 있고 / 김용실 김영준 김영호 강윤기 김주열이 있고 / 4ㆍ19가 있고 10ㆍ18이 있고 / 팔칠 년 칠팔구가 있고 마창노련이 있고 / (중략) / 전태일 앞에 전태일 / 전태일 뒤에 전태일이 있는 / 마산창원, / 나는 마산창원이 자랑스럽다”(「마산창원이 자랑스럽다」).
당신이 전태일입니다 - b판시선 65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