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시위문화로 살펴본 근현대사
한국의 농민항쟁에서 촛불집회까지, 유럽의 파리코뮌에서 68혁명까지
한국의 농민항쟁에서 촛불집회까지, 유럽의 파리코뮌에서 68혁명까지
시위문화란 “시위대가 상징적 행위, 곧 깃발을 들고 구호를 외치거나 노래를 부르는 것, ‘적’의 상징을 불태우거나 부수는 것, 자신의 요구를 적은 신문과 팸플릿 등을 배포하는 것 등으로 집단적인 의사를 표현하고 실천하며 그 과정에서 시위의 ‘대의’를 경험해 나가는 것”이다. 그렇기는 해도 나라마다, 시기마다 시위문화는 달랐다. 이 책은 바로 그 내용을 다룬다. 한국에서 일어난 1862년 농민항쟁, 1894년 동학농민전쟁, 1919년 3·1운동, 1960년 4월혁명, 2008년 촛불집회, 그리고 유럽에서 일어났던 1871년 파리코뮌, 1905년과 1917년의 러시아혁명, 1936년 스페인내전, 1968년 68혁명 등을 살핀다. 그러나 이 책은 ‘운동사 연구’ 또는 ‘혁명사 연구’라기보다는 ‘격정의 역사’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을 시도한다.
우리나라의 1862년 농민항쟁은 근대로 나아가기 직전에 일어났다. 이 농민항쟁을 살펴보는 것은 전근대와 근대의 시위문화를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은 정부군과 일본군을 상대로 했지만, 그 속에서도 시위문화를 찾아볼 수 있다. 동학이라는 사상체계가 시위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3·1운동은 전통적인 시위문화를 이으면서 학생과 청년들을 비롯한 여러 계층에서 새롭고 다양한 시위문화를 창출했다. 4월혁명에서 젊은이들은 저항을 이끌면서 자신들의 문화를 녹여 냈다. 4월혁명은 학생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이전 시위와는 달랐다. 2008년 촛불집회는 쇠고기라는 일상생활의 문제도 대중과 소통을 무시하면 정치의 중심 과제 못지않게 폭발력 있는 주제로 떠오를 수 있다는 사례가 되었다. 촛불집회가 확산하는 메커니즘도 특별했다.
유럽 역사에서는 1871년 파리코뮌, 1905년과 1917년의 러시아혁명, 1936년 스페인 국민진영과 공화진영 사이의 내전, 1968년 프랑스 드골정권과 사회 모순에 맞서 대학생 중심으로 일어난 68혁명 등 여러 나라의 중요한 사건 속 시위문화의 모습을 담았다. 68혁명 외의 모든 사건은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일어났다. 시위문화는 시위의 동력이자 중요한 무기였다. 시위 전개와 관련하여 행진, 시위, 집회 등의 각종 행동 방식과 말과 글, 이미지, 예술을 비롯한 모든 수단이 시위문화를 이루었다.
우리나라의 1862년 농민항쟁은 근대로 나아가기 직전에 일어났다. 이 농민항쟁을 살펴보는 것은 전근대와 근대의 시위문화를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은 정부군과 일본군을 상대로 했지만, 그 속에서도 시위문화를 찾아볼 수 있다. 동학이라는 사상체계가 시위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3·1운동은 전통적인 시위문화를 이으면서 학생과 청년들을 비롯한 여러 계층에서 새롭고 다양한 시위문화를 창출했다. 4월혁명에서 젊은이들은 저항을 이끌면서 자신들의 문화를 녹여 냈다. 4월혁명은 학생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이전 시위와는 달랐다. 2008년 촛불집회는 쇠고기라는 일상생활의 문제도 대중과 소통을 무시하면 정치의 중심 과제 못지않게 폭발력 있는 주제로 떠오를 수 있다는 사례가 되었다. 촛불집회가 확산하는 메커니즘도 특별했다.
유럽 역사에서는 1871년 파리코뮌, 1905년과 1917년의 러시아혁명, 1936년 스페인 국민진영과 공화진영 사이의 내전, 1968년 프랑스 드골정권과 사회 모순에 맞서 대학생 중심으로 일어난 68혁명 등 여러 나라의 중요한 사건 속 시위문화의 모습을 담았다. 68혁명 외의 모든 사건은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일어났다. 시위문화는 시위의 동력이자 중요한 무기였다. 시위 전개와 관련하여 행진, 시위, 집회 등의 각종 행동 방식과 말과 글, 이미지, 예술을 비롯한 모든 수단이 시위문화를 이루었다.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 : 농민항쟁에서 촛불집회까지, 파리코뮌에서 68혁명까지 - 역사서당 2
$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