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제5회 한국과학문학상 중ㆍ단편 대상, 예열된 작가 서윤빈의 첫 소설집
미래가 불안하다면, ‘지금 당장’ 읽어야 할 적당한 온도의 SF
“독자를 가뿐히 들어 올려 불가능한 시공간으로 옮겨주는 소설.”
-제5회 한국과학문학상 심사평 중에서
미래가 불안하다면, ‘지금 당장’ 읽어야 할 적당한 온도의 SF
“독자를 가뿐히 들어 올려 불가능한 시공간으로 옮겨주는 소설.”
-제5회 한국과학문학상 심사평 중에서
2022년, 「루나」로 제5회 한국과학문학상 중ㆍ단편 대상을 차지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서윤빈은 심사위원으로부터 ”한국에서밖에 나올 수 없는 SF“, ”나의 기원을 탐색하는 우주 동화“라는 찬사를 받았다. 그도 그럴 것이, 「루나」에서는 우주를 유영하며 광물을 채취하는 해녀들이 주인공이다. 인건비가 저렴하다는 이유로 우주로 차출된 해녀들에 대한 이야기. 이 이야기는 공주와 왕자가 만나 사랑을 이루는 전형적인 전래동화 서사를 과감히 비틀어 내며 새로운 미래 동화로 자리매김했다. 그렇게 서윤빈은 화려한 데뷔 이후 『림- 쿠쉬룩』에 「마음에 날개 따윈 없어서」를 발표했고 「페가수스의 차례」를 통해 이달의 장르소설에 선정된 바 있다. 또 밀리로드에 「이번 생의 고양이」를 연재하고 윌라 오디오북에 「인플레이션 우주론」을 발표한 뒤 ”흥미진진하고 신선한 SF“라는 호평을 받는 등, 만 일 년 만에 다양한 지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는 해를 거듭할수록 뜨거운 관심을 받는 한국과학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의 예견된 행보이기도 하다.
공학도였던 서윤빈 작가는 문득 전깃줄이 하늘을 일곱 조각으로 잘라놓은 걸 보고 소설을 쓰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현실과 미래는 맞닿아 있다는 걸 순간 깨달은 것처럼. 그렇게 그는 첨예한 과학적 세계관을 창조하며 그곳에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그리고 선언한다. “마음에 날개 따윈 없으니, 열심히 달리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미래 세계에 분명 우리가 머무를 자리가 있다고 믿는다. 작가의 그 마음은 적당히 과감하며 믿음직스럽다. 그렇기에 이 책은 급격히 발달하는 기술 개발로 인해 하루하루 불안에 떠는 현대인에게 ‘지금 당장’ 필요하다.
다양한 과학기술이 몰아치는 시대에 인간은 설 자리를 빠르게 잃어간다. 서윤빈은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된 시대, 알파카가 세계 경제를 휘두르는 시대 등 발랄한 상상력으로 압도적인 미래 배경을 제시한다. 그런데도 꿋꿋이 우리가 설 자리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주목할만 하다. 현재 세계는 AI 기술이 인간을 배제할지도 모른다는 공포로 점철되어 있다. 그러한 세계에서 우리가 가닿을 수 있는 미래를 창조하는 서윤빈의 소설은 ”통과한 다음에도 휘발되지 않는 잔여 감정이“ 남는다. 이는 서윤빈의 소설이 명백한 위로의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불안한 세계에서도 우리는 ‘빈 곳’을 찾아가게 될 거라는 미약한 낙관. 그것이 『파도가 닿는 미래』의 지배적 세계관이다. 심완선 SF문학평론가의 말마따나 서윤빈이 주지하는 미래의 ‘빈 곳’은 ”지금은 없는 새로운 양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낯설지만 그럴싸하고, SF로서 읽기에 즐겁다.“
작가의 말에서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기술 발전 자체를 막을 수는 없으니 결국 우리가 어떻게 규칙의 지형도를 짜는지가 문제가 될 것이다. 비록 3D 프린터로 뽑은 조악한 날개로 날아야 할지라도, 하늘에 빈 곳이 남은 세계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그러니까, 서윤빈은 우리가 가닿을 수 있는 미래를 이야기한다. 하늘을 조각낸 전깃줄, 그 사이 너머 빈자리를 향해 날아가는 것이다.
공학도였던 서윤빈 작가는 문득 전깃줄이 하늘을 일곱 조각으로 잘라놓은 걸 보고 소설을 쓰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현실과 미래는 맞닿아 있다는 걸 순간 깨달은 것처럼. 그렇게 그는 첨예한 과학적 세계관을 창조하며 그곳에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그리고 선언한다. “마음에 날개 따윈 없으니, 열심히 달리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미래 세계에 분명 우리가 머무를 자리가 있다고 믿는다. 작가의 그 마음은 적당히 과감하며 믿음직스럽다. 그렇기에 이 책은 급격히 발달하는 기술 개발로 인해 하루하루 불안에 떠는 현대인에게 ‘지금 당장’ 필요하다.
다양한 과학기술이 몰아치는 시대에 인간은 설 자리를 빠르게 잃어간다. 서윤빈은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된 시대, 알파카가 세계 경제를 휘두르는 시대 등 발랄한 상상력으로 압도적인 미래 배경을 제시한다. 그런데도 꿋꿋이 우리가 설 자리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주목할만 하다. 현재 세계는 AI 기술이 인간을 배제할지도 모른다는 공포로 점철되어 있다. 그러한 세계에서 우리가 가닿을 수 있는 미래를 창조하는 서윤빈의 소설은 ”통과한 다음에도 휘발되지 않는 잔여 감정이“ 남는다. 이는 서윤빈의 소설이 명백한 위로의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불안한 세계에서도 우리는 ‘빈 곳’을 찾아가게 될 거라는 미약한 낙관. 그것이 『파도가 닿는 미래』의 지배적 세계관이다. 심완선 SF문학평론가의 말마따나 서윤빈이 주지하는 미래의 ‘빈 곳’은 ”지금은 없는 새로운 양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낯설지만 그럴싸하고, SF로서 읽기에 즐겁다.“
작가의 말에서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기술 발전 자체를 막을 수는 없으니 결국 우리가 어떻게 규칙의 지형도를 짜는지가 문제가 될 것이다. 비록 3D 프린터로 뽑은 조악한 날개로 날아야 할지라도, 하늘에 빈 곳이 남은 세계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그러니까, 서윤빈은 우리가 가닿을 수 있는 미래를 이야기한다. 하늘을 조각낸 전깃줄, 그 사이 너머 빈자리를 향해 날아가는 것이다.
파도가 닿는 미래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