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소년병의 6.25 참전일기 : 참전 용사가 심층 분석한 6.25 전쟁 (개정증보판)

어느 소년병의 6.25 참전일기 : 참전 용사가 심층 분석한 6.25 전쟁 (개정증보판)

$22.00
Description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가 펼쳐졌던 지난 1932~2022년 현재,
거의 한 세기를 살아간 91세 노병의 생생한 6·25 참전일기.
여느 장군의 화려한 6·25 참전기보다 일등중사였던
한 병사의 감동적이고 생생한 전쟁기록이 여기에 있다.
그리고 국민방위병에서 조국 근대화의 CEO가 되기까지
그의 삶의 발자취는 고단한 대한민국의 역사이고 가르침이다.

6·25 전쟁이 발발한 1950년 8월 27일 경북 영천에서 창설된 11기동시단은 일명 ‘화랑사단’이라고도 부른다. 설악산, 향로봉 등 주로 동부전선에 배치되어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터에 ‘육군의 해병대’로 일컬을 만큼 단련된 사단이다, 전후 72년을 맞은 지금 11기동사단의 6·25참전 생존 용사는 저자(이범경)를 포함, 두 노병뿐이다.

“나는 전투에 참여해서 혁혁한 공로를 세웠거나, 대단한 정치를 해서 또는 기업을 만들어 국가에 이바지한 것도 없다. 다만 내가 참전 일등중사로서 수기를 쓰게 된 까닭은, 6·25전쟁이 난 해인 1950년 제2국민병으로 입대하여 42개월이란 기나긴 군 복무를 무사히 끝내고, 제대 후에는 경제학을 전공하여, 40여 년간 우리나라 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전쟁의 최일선에 이어 산업의 최일선에서 나라가 필요로 하는 일을 할 수 있었던 행운에 감사하기 위함에 있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군 복무 그 자체만으로도 중요하지만, 그 이후의 세월이 기간도 길고 소중하다고 판단하여 제대 후의 생활을 추가하기로 했다. 따라서 나는 제1부 6·25전쟁 이전, 제2부 6·25전쟁, 제3부 나의 6·25 참전기에 이어 작성한 제4부 인고의 보상은 조국의 경제발전을 위한 산업일꾼의 일원으로서, 그중 20년의 한일합작회사 CEO로서, 좀처럼 들어보기 어려운 경험담, 제5부 제2의 인생은 인간의 수명이 100세라는 장수화로 긴 세월을 행복하게 보내야 한다는 생각에서 적은 나의 소견이다.” - 저자의 머리말 중에서

저자

이범경

저자:이범경
경기도김포출생(1933),육군복무(1950~1954),6·25전쟁중보병11사단장으로부터화랑무공훈장수여(1952),서울대학교상과대학경제학과졸업/동일방직(주)입사(1959)동일방직(주)상무(1978),한일합작동일레나운(주)사장(1981~1995),한일합작한국다-반사장(1996~1999),정헌재단이사(2002~2017),RotaryInternational3650지구서울한강로타리클럽회장(98/99)1988~1999),전주이씨광평대군임정부정공상화파김포소파파종회이사.부회장,고문(2002~2020)

목차

·개정증보판을출간하며/6?25전쟁은북한의침략전쟁이다.
·초판출판기념회인사말
·초판에대한서평과인터뷰
·제11기동사단(6?25전쟁때필자복무부대)방문인사말
·머리말/굴곡의대한민국현대사와함께한나의90년

제1부6·25전쟁이전
1-1한반도를둘러싼열강의각축전
1-2태평양전쟁과대한민국의해방
1-3현대사의격동기속의우리집안
1-4대한민국의건국

제2부6·25전쟁
2-16·25전쟁의발발
2-2적이지배한세상에서의고난
2-36·25전쟁의제1차위기와극복
2-4인천상륙작전과서울수복
2-56·25전쟁의제2차위기와극복
2-66·25전쟁과이승만대통령
2-76·25전쟁의결산
2-8나의소견

제3부나의6·25참전기
3-1징집영장을기다리며
3-2서울에서대구까지행군
3-3훈련소에서
3-4보병제11사단시절
3-5화랑사단사령부시절
3-6사단사령부에서육군본부까지

제4부인고(忍苦)의보상
4-1동일방직(주)시절
4-2동일레나운(주)시절
4-3직장생활의총결산

제5부제2의인생
5-1인생은70살부터
5-2모임의중요성
5-3독서생활
5-4가족에대하여
5-5종교에대하여
5-6나의생사관
5-7나의소중한멘토여러분
5-8.나의고향김포(金浦)를생각한다

맺는말

■부록
1.수기집필을위한나의현지답사장소들2.특별히소개하는글/최충헌칼럼
3.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