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걷는사람 시인선 97
안성덕 시집 『깜깜』 출간
“평생 짐 졌던 자는 안다
빈 지게가 더 무겁다는 것”
삶을 통찰하는 생명력의 언어
소실점으로 사라져 가는 것들의 뒷모습을 노래하는 시
안성덕 시집 『깜깜』 출간
“평생 짐 졌던 자는 안다
빈 지게가 더 무겁다는 것”
삶을 통찰하는 생명력의 언어
소실점으로 사라져 가는 것들의 뒷모습을 노래하는 시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2009년 전북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안성덕 시인의 시집 「깜깜」이 걷는사람 시인선 97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시집 『몸붓』 『달달한 쓴맛』을 내고 ‘작가의 눈 작품상’과 ‘리토피아 문학상’을 수상한 시인 안성덕의 세 번째 시집이 마침내 우리에게로 다가온 것이다.
삶을 통찰하는 여행자의 손에는 어떤 풍경이 쥐어져 있을까. 시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면 “축음기판 소리골에서/옛이야기”(「소년은 어디 갔나」)가 시작되듯 어렴풋한 노랫소리가 들려온다. 이를테면 그곳엔 닮은 듯 다른 얼굴을 가진 손녀를 다정하게 바라보는 화자가 있다. 숨바꼭질을 위해 “꼭꼭 숨어든 네 살배기” 손녀가 어둠이 무서워 울음을 터뜨리자 “어둠이 두려운 지니야/더 무서운 건 환한 세상이라는 걸”(「깜깜」)이라고 달래는 목소리엔 순환하는 세계를 노련하게 관찰하는 시인의 관록이 담겨 있는 듯하다. 이렇듯 시인의 사유는 삶 전반을 내포함으로써 다층적인 의미를 가지며, “평생 짐 졌던 자는 안다/빈 지게가 더 무겁다는 것”(「포터 마하리」)이라는 상징적인 깨달음으로의 도달이 가능해진다.
그런가 하면 안성덕의 시는 작고 따뜻한 생명력에 담긴 생과 사의 비밀을 찬찬한 걸음으로 톺아본다. “시절도 사람도 나만 홀로 여기 두고 죄다/사라져 버렸다.”(시인의 말)라는 애틋한 시인의 고백은 “별이었다가 달이었다가 다시 티끌이 되어 버린/찰나 같은”(「지나간 사람」) 것들, 그러니까 지금 여기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 곧 우리 삶의 총체를 구성한다는 낯선 깨달음으로 확장된다. 시인은 자연물이 가진 개별적 특성을 인식하며 각각의 고유성을 상기하는데, 가령 “가만 내려다보는 낮달”(「낮달이 있는 풍경」)이나 “하늘을 가르는 별똥별”(「75분의 1초」), “오뉴월 대추꽃”이나 “장마 통 맹꽁이”(「외딴집」) 같은 것들이 그렇다. 가까운 곳에 있으나 쉽게 지나쳐 버리고야 마는 것들을 놓치지 않고 그들의 고유성을 존중하는 시인의 태도는 삶을 대해야 하는 우리의 마음가짐까지도 넌지시 일러 주는 듯하다.
그러니 개별적인 대상으로부터 시작된 사유를 모아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 시의 소임이라고, 시인 안성덕은 말하는 듯하다. “생각도 말도 고면 골수록 쌉싸름하거든요 읽는 사람 맘에 좋고 뒷맛이 오래 남거든요 그게 바로 시예요”(「맛있는 오독(誤讀)」)라는 구절은 그의 작품관을 대변하는 듯 보인다. 우리의 모든 시절은 추억이 될 것이며 삶이라는 여행에도 마침표가 찍히겠지만, 이 세계에 결코 헛된 것은 없다는 것. 우리가 지나온 것들이 실은 우리 안에 천천히 쌓여 또 하나의 세계가 된다는 것을, 시인은 알고 있다. 그리하여 생의 면면을 부드럽게 훑는 아름다운 언어와 이미지는 유려한 한 편의 세계로 완성된다.
김정빈 문학평론가는 안성덕의 시 세계가 함의하는 “지나간 시절”에 주목하며, ““평생”의 총량을 웬만큼 채운 사람의 특권은 지나간 사람들을 다시 굽어볼 수 있다”는 사실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이는 “지나간 사람을 돌이켜 본다는 것은 그 시절의‘나’를 경유하여 결국 현재의‘나’로 돌아오는 일”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추천사를 쓴 복효근 시인은 안성덕의 시가 “소실점으로 사라져 가는 것들의 뒷모습을 노래하고” 있다는 점을 포착하는 동시에 “이것을 단순히 가 버린, 다시 오지 않을 청춘의 시간에 대한 탄식과 회한과 최루성 감상과 지향 없는 자기연민으로 읽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상기하며, “다시 올 수 없음을 이제 몸으로 알”게 만드는 안성덕의 행보에 찬사를 보낸다. 이 책은 우리의 삶에 깜깜한 순간이 도래할지라도 천천히 한 걸음을 떼어 볼 수 있도록 등을 떠밀어 준다.
삶을 통찰하는 여행자의 손에는 어떤 풍경이 쥐어져 있을까. 시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면 “축음기판 소리골에서/옛이야기”(「소년은 어디 갔나」)가 시작되듯 어렴풋한 노랫소리가 들려온다. 이를테면 그곳엔 닮은 듯 다른 얼굴을 가진 손녀를 다정하게 바라보는 화자가 있다. 숨바꼭질을 위해 “꼭꼭 숨어든 네 살배기” 손녀가 어둠이 무서워 울음을 터뜨리자 “어둠이 두려운 지니야/더 무서운 건 환한 세상이라는 걸”(「깜깜」)이라고 달래는 목소리엔 순환하는 세계를 노련하게 관찰하는 시인의 관록이 담겨 있는 듯하다. 이렇듯 시인의 사유는 삶 전반을 내포함으로써 다층적인 의미를 가지며, “평생 짐 졌던 자는 안다/빈 지게가 더 무겁다는 것”(「포터 마하리」)이라는 상징적인 깨달음으로의 도달이 가능해진다.
그런가 하면 안성덕의 시는 작고 따뜻한 생명력에 담긴 생과 사의 비밀을 찬찬한 걸음으로 톺아본다. “시절도 사람도 나만 홀로 여기 두고 죄다/사라져 버렸다.”(시인의 말)라는 애틋한 시인의 고백은 “별이었다가 달이었다가 다시 티끌이 되어 버린/찰나 같은”(「지나간 사람」) 것들, 그러니까 지금 여기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 곧 우리 삶의 총체를 구성한다는 낯선 깨달음으로 확장된다. 시인은 자연물이 가진 개별적 특성을 인식하며 각각의 고유성을 상기하는데, 가령 “가만 내려다보는 낮달”(「낮달이 있는 풍경」)이나 “하늘을 가르는 별똥별”(「75분의 1초」), “오뉴월 대추꽃”이나 “장마 통 맹꽁이”(「외딴집」) 같은 것들이 그렇다. 가까운 곳에 있으나 쉽게 지나쳐 버리고야 마는 것들을 놓치지 않고 그들의 고유성을 존중하는 시인의 태도는 삶을 대해야 하는 우리의 마음가짐까지도 넌지시 일러 주는 듯하다.
그러니 개별적인 대상으로부터 시작된 사유를 모아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 시의 소임이라고, 시인 안성덕은 말하는 듯하다. “생각도 말도 고면 골수록 쌉싸름하거든요 읽는 사람 맘에 좋고 뒷맛이 오래 남거든요 그게 바로 시예요”(「맛있는 오독(誤讀)」)라는 구절은 그의 작품관을 대변하는 듯 보인다. 우리의 모든 시절은 추억이 될 것이며 삶이라는 여행에도 마침표가 찍히겠지만, 이 세계에 결코 헛된 것은 없다는 것. 우리가 지나온 것들이 실은 우리 안에 천천히 쌓여 또 하나의 세계가 된다는 것을, 시인은 알고 있다. 그리하여 생의 면면을 부드럽게 훑는 아름다운 언어와 이미지는 유려한 한 편의 세계로 완성된다.
김정빈 문학평론가는 안성덕의 시 세계가 함의하는 “지나간 시절”에 주목하며, ““평생”의 총량을 웬만큼 채운 사람의 특권은 지나간 사람들을 다시 굽어볼 수 있다”는 사실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이는 “지나간 사람을 돌이켜 본다는 것은 그 시절의‘나’를 경유하여 결국 현재의‘나’로 돌아오는 일”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추천사를 쓴 복효근 시인은 안성덕의 시가 “소실점으로 사라져 가는 것들의 뒷모습을 노래하고” 있다는 점을 포착하는 동시에 “이것을 단순히 가 버린, 다시 오지 않을 청춘의 시간에 대한 탄식과 회한과 최루성 감상과 지향 없는 자기연민으로 읽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상기하며, “다시 올 수 없음을 이제 몸으로 알”게 만드는 안성덕의 행보에 찬사를 보낸다. 이 책은 우리의 삶에 깜깜한 순간이 도래할지라도 천천히 한 걸음을 떼어 볼 수 있도록 등을 떠밀어 준다.
깜깜 - 걷는사람 시인선 97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