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당신 지금 어디 있나요?
오늘 밤까지 당신께 이 시를 배달해야 해요”
우리 삶에 현현하는 슬픔의 궤적
경험하지 못한 눈물을 서정으로 체험하게 하는 시
오늘 밤까지 당신께 이 시를 배달해야 해요”
우리 삶에 현현하는 슬픔의 궤적
경험하지 못한 눈물을 서정으로 체험하게 하는 시
1992년 《작가세계》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함기석 시인의 여덟 번째 시집 「모든 꽃은 예언이다」가 걷는사람 시인선 98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과연 시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하는 지점에서 함기석의 시는 시작한다. 그러니까 산다는 것은, 무고한 죽음을 필연적으로 목도하게 되는 일이다. 시인은 사회 구조 속에서 희생된 이들의 이름을 직접 호명하며, 자본주의 흐름 안에서 빠르게 대체되는 공석을 재조명한다. 시집에 현현하는 명명은 우리가 감히 체험해 보지 못한 삶의 궤적을 우리의 삶으로 성큼 끌어온다. 그러므로 그의 시편에서 이해할 수 없는 죽음을 겪은 이후에도 살아가야 하는 이의 눈물이 드러나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렇다면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며 죽은 듯이 살아가는 이에게 시는 무엇이 될 수 있는가. 무고한 희생이 반복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은 제도의 일이다. 그렇다면 시란 대체 무엇일까. 시는 왜 이리도 무용한 것일까. 그럼에도 왜 우리는 시를 쓰고, 읽는 것일까. 그러니까 이런 것이다. 눈물로 점철된 삶을 보고 혹자는 사는 게 사는 것이 아니라 말하겠지만, 화자는 “자기 안의 질긴 슬픔을 씹고 씹”는 사람을 보고 깨닫는다. “검정이 숯의 영혼이었음을”(「술병과 숯」). 우리 모두가 하나의 숯이고 그리하여 종국엔 재가 될 것이 자명한 인생이지만, 타오르는 것이 우리에게 점지된 미래라면, 얼마나 오래 타오를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자리에 시가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 시인에게 시라는 장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다친 마음이 하루를 더 살아낼 수 있도록 그 마음을 헤아리는 일이다. 이러한 미미함일지라도. 그러나 그렇게 얻은 위안으로 우리가 기어코 내일을 믿어 본다면, “죽은 줄 알았던 복숭아나무 가지에/파릇파릇 움이 돋”(「사월」)는 순간도 오지 않을까. 때때로 잔인하게 느껴질 만큼 강인한 자연의 생명력 속에서 시인은 삶의 진리에 한 걸음 다가간다. 시인은 죽음을 경험한 누군가가 그 슬픔을 감당하지 못해 자신을 포기하지 않도록 일종에 언어의 배달원으로서 시를 쓴다. 숯이 재가 되지 않도록, 그 뜨거운 열기를 지닌 채 오래도록 숯일 수 있도록.
한편 시인의 시에는 소박한 행복에 대한 발견도 담겨 있다. 내가 “배고픈 무덤에 잘 들어가는지” 감시하는 “검시관”(「걷는 사람」)이 그림자처럼 뒤를 졸졸 따라오는 생애에도 기쁨과 즐거움은 도처에 널려 있다. 사람이 “오다 살다 가다”라는 “세 개의 동사로 요약된 시”(「사람은」)라면, 삶은 희로애락이라는 고사성어로 이루어진다. 끝없이 슬픈 와중에도 소소한 기쁨이 있다는 것, 기쁨 속에도 차마 표현할 수 없는 슬픔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 아름답게 피는 순간 져 버리는 꽃의 숙명처럼, 우리는 죽음의 예언을 껴안고 살아간다. 그러나 시인은 말하는 듯하다. 꽃을 자라게 하는 것은 비와 바람뿐이 아니라고. 눈부실 만큼 찬란한 햇빛 역시 우리 삶에 존재한다고. 그의 발걸음에 맞춰 삶의 궤적을 한 바퀴 돈 뒤 다시 마주한 세상은 이전과는 다른 형상으로 우리 앞에 놓인다. 낯설고 슬프지만, 기이하게 아름다운 모습으로. 무용하게 피어오른 한 편의 시로.
과연 시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하는 지점에서 함기석의 시는 시작한다. 그러니까 산다는 것은, 무고한 죽음을 필연적으로 목도하게 되는 일이다. 시인은 사회 구조 속에서 희생된 이들의 이름을 직접 호명하며, 자본주의 흐름 안에서 빠르게 대체되는 공석을 재조명한다. 시집에 현현하는 명명은 우리가 감히 체험해 보지 못한 삶의 궤적을 우리의 삶으로 성큼 끌어온다. 그러므로 그의 시편에서 이해할 수 없는 죽음을 겪은 이후에도 살아가야 하는 이의 눈물이 드러나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렇다면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며 죽은 듯이 살아가는 이에게 시는 무엇이 될 수 있는가. 무고한 희생이 반복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은 제도의 일이다. 그렇다면 시란 대체 무엇일까. 시는 왜 이리도 무용한 것일까. 그럼에도 왜 우리는 시를 쓰고, 읽는 것일까. 그러니까 이런 것이다. 눈물로 점철된 삶을 보고 혹자는 사는 게 사는 것이 아니라 말하겠지만, 화자는 “자기 안의 질긴 슬픔을 씹고 씹”는 사람을 보고 깨닫는다. “검정이 숯의 영혼이었음을”(「술병과 숯」). 우리 모두가 하나의 숯이고 그리하여 종국엔 재가 될 것이 자명한 인생이지만, 타오르는 것이 우리에게 점지된 미래라면, 얼마나 오래 타오를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자리에 시가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 시인에게 시라는 장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다친 마음이 하루를 더 살아낼 수 있도록 그 마음을 헤아리는 일이다. 이러한 미미함일지라도. 그러나 그렇게 얻은 위안으로 우리가 기어코 내일을 믿어 본다면, “죽은 줄 알았던 복숭아나무 가지에/파릇파릇 움이 돋”(「사월」)는 순간도 오지 않을까. 때때로 잔인하게 느껴질 만큼 강인한 자연의 생명력 속에서 시인은 삶의 진리에 한 걸음 다가간다. 시인은 죽음을 경험한 누군가가 그 슬픔을 감당하지 못해 자신을 포기하지 않도록 일종에 언어의 배달원으로서 시를 쓴다. 숯이 재가 되지 않도록, 그 뜨거운 열기를 지닌 채 오래도록 숯일 수 있도록.
한편 시인의 시에는 소박한 행복에 대한 발견도 담겨 있다. 내가 “배고픈 무덤에 잘 들어가는지” 감시하는 “검시관”(「걷는 사람」)이 그림자처럼 뒤를 졸졸 따라오는 생애에도 기쁨과 즐거움은 도처에 널려 있다. 사람이 “오다 살다 가다”라는 “세 개의 동사로 요약된 시”(「사람은」)라면, 삶은 희로애락이라는 고사성어로 이루어진다. 끝없이 슬픈 와중에도 소소한 기쁨이 있다는 것, 기쁨 속에도 차마 표현할 수 없는 슬픔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 아름답게 피는 순간 져 버리는 꽃의 숙명처럼, 우리는 죽음의 예언을 껴안고 살아간다. 그러나 시인은 말하는 듯하다. 꽃을 자라게 하는 것은 비와 바람뿐이 아니라고. 눈부실 만큼 찬란한 햇빛 역시 우리 삶에 존재한다고. 그의 발걸음에 맞춰 삶의 궤적을 한 바퀴 돈 뒤 다시 마주한 세상은 이전과는 다른 형상으로 우리 앞에 놓인다. 낯설고 슬프지만, 기이하게 아름다운 모습으로. 무용하게 피어오른 한 편의 시로.
모든 꽃은 예언이다 - 걷는사람 시인선 98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