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걷는사람 시인선 102
김태우 시집 『동명이인』 출간
“나와 닮지 않은 목소리가 희미하게 나를 부른다.”
인간을 탐구하는 깊은 침묵과 사색
서로의 이름을 불러 주는 사랑의 (불)가능성
김태우 시집 『동명이인』 출간
“나와 닮지 않은 목소리가 희미하게 나를 부른다.”
인간을 탐구하는 깊은 침묵과 사색
서로의 이름을 불러 주는 사랑의 (불)가능성
대전에서 태어나 2015년 《시인수첩》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태우 시인의 첫 시집 『동명이인』이 걷는사람 시인선 102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같은 이름으로 불릴지라도 저마다의 고유한 세계가 있듯, 각각의 온도와 고유한 색을 가진 57편의 시가 ‘동명이인’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묶였다.
김태우의 시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아프고 견뎌내는 나의 ‘이름’ 따위가 쓸모없어지기를 간절히 기도했던 날들”(유현아 시인, 추천사)이 고요하게 떠오른다. 삶과 죽음을 둘러싼 불길한 징후를 집요하면서도 핍진하게 그려내는 시인의 시 세계에선 “내 이름과 점점 멀어”(「동명이인」)지는 것만 같은 상실감과 “버려진 이름들로 휴지통이”(「소문들」) 넘치고야 마는 비극적 풍경이 펼쳐진다. 이렇듯 위태로운 분위기 속에서 “비가 오면/젖는 것”보다도 “비가 와도/젖지 않는 사실”(「폐소공포증」)이 더 무섭게 느껴지는 것은 일순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도처에 널린 “죽음을 목격한” 채로 “아직 일어나지 않은 기억”(「원치 않아도 일어나는 일들」)을 예감하며 살아가야만 하는 우리는 작지만 분명한 형태를 가진 “세상의 얼룩”(「고고(呱呱)」)으로 규정되며, 김태우는 바로 이 지점을 놓치지 않고 부조리하고도 불합리한 세계에 대한 끈질긴 사유를 거듭한다. 그러니 현실의 불충분함은 인간을 탐구하려는 사색적 모험의 동력이 되며, 이 치열하고도 불확실한 세계는 ‘불면’과 ‘꿈’이라는 망각의 얼굴로 반복해서 형상화된다.
그렇다면 비정한 사회와 유한한 생애를 손에 쥔 우리는 어떻게 삶을 지속할 수 있을까. 시인의 화자들은 그 방법론을 포착하기 위해 사랑에 골몰하는 듯하다. 이 움직임은 의미심장한 결말을 내포하는데, 이들이 “인간은 사랑에 취약한 종족”(「늙은 애인」)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까닭이다. “사랑을 할 때/이별 노래를 들으며/서로가 모르는 이름을”(「내가 모르는 나의 이름들」) 불러 주는 아이러니한 상황은 사랑의 불가능성을 비롯한 타자와의 불화를 내포하는 한편, 현재의 시도가 실패할지언정 또 다른 가능성이 시작된다는 사실까지도 함축한다. “사랑이 이루지 못한 사랑으로 완성”(「벌 3−감정기계」)된다는 속삭임은 ‘우리’가 지금−여기에서 세계와 관계 맺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 자체로 유의미함을 내포한다. 그러니 “당신이/특별한/한 사람이 되는 순간”(「시인의 말」)을 기억하고자 하는 시인이 “우리는 서로의 이름을 불렀다”(「소문들」)라고 선언하는 순간, 더없는 충만함이 피어오르는 것은 그 때문이리라.
양병호 문학평론가(전북대 국문과 교수)는 해설에서 김태우 시인이 “실체와 이름의 불일치 현상을 통해 정체성 상실의 현대적 상황을 부각하고 싶”어 하고 있다는 점을 예리하게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시인이 인간의 본성, 삶의 가치, 인생의 의미 등을 진지하고 투철한 사색을 통해 직접 검증을 하는 과정이 바로 시집 『동명이인』의 진정한 가치”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 한 권의 책을 펼친다면, “깊고 고요하고 적막한 겨울 숲” 같은 풍경 속에서, 그럼에도 우리는 살아갈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또렷한 언어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김태우의 시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아프고 견뎌내는 나의 ‘이름’ 따위가 쓸모없어지기를 간절히 기도했던 날들”(유현아 시인, 추천사)이 고요하게 떠오른다. 삶과 죽음을 둘러싼 불길한 징후를 집요하면서도 핍진하게 그려내는 시인의 시 세계에선 “내 이름과 점점 멀어”(「동명이인」)지는 것만 같은 상실감과 “버려진 이름들로 휴지통이”(「소문들」) 넘치고야 마는 비극적 풍경이 펼쳐진다. 이렇듯 위태로운 분위기 속에서 “비가 오면/젖는 것”보다도 “비가 와도/젖지 않는 사실”(「폐소공포증」)이 더 무섭게 느껴지는 것은 일순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도처에 널린 “죽음을 목격한” 채로 “아직 일어나지 않은 기억”(「원치 않아도 일어나는 일들」)을 예감하며 살아가야만 하는 우리는 작지만 분명한 형태를 가진 “세상의 얼룩”(「고고(呱呱)」)으로 규정되며, 김태우는 바로 이 지점을 놓치지 않고 부조리하고도 불합리한 세계에 대한 끈질긴 사유를 거듭한다. 그러니 현실의 불충분함은 인간을 탐구하려는 사색적 모험의 동력이 되며, 이 치열하고도 불확실한 세계는 ‘불면’과 ‘꿈’이라는 망각의 얼굴로 반복해서 형상화된다.
그렇다면 비정한 사회와 유한한 생애를 손에 쥔 우리는 어떻게 삶을 지속할 수 있을까. 시인의 화자들은 그 방법론을 포착하기 위해 사랑에 골몰하는 듯하다. 이 움직임은 의미심장한 결말을 내포하는데, 이들이 “인간은 사랑에 취약한 종족”(「늙은 애인」)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까닭이다. “사랑을 할 때/이별 노래를 들으며/서로가 모르는 이름을”(「내가 모르는 나의 이름들」) 불러 주는 아이러니한 상황은 사랑의 불가능성을 비롯한 타자와의 불화를 내포하는 한편, 현재의 시도가 실패할지언정 또 다른 가능성이 시작된다는 사실까지도 함축한다. “사랑이 이루지 못한 사랑으로 완성”(「벌 3−감정기계」)된다는 속삭임은 ‘우리’가 지금−여기에서 세계와 관계 맺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 자체로 유의미함을 내포한다. 그러니 “당신이/특별한/한 사람이 되는 순간”(「시인의 말」)을 기억하고자 하는 시인이 “우리는 서로의 이름을 불렀다”(「소문들」)라고 선언하는 순간, 더없는 충만함이 피어오르는 것은 그 때문이리라.
양병호 문학평론가(전북대 국문과 교수)는 해설에서 김태우 시인이 “실체와 이름의 불일치 현상을 통해 정체성 상실의 현대적 상황을 부각하고 싶”어 하고 있다는 점을 예리하게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시인이 인간의 본성, 삶의 가치, 인생의 의미 등을 진지하고 투철한 사색을 통해 직접 검증을 하는 과정이 바로 시집 『동명이인』의 진정한 가치”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 한 권의 책을 펼친다면, “깊고 고요하고 적막한 겨울 숲” 같은 풍경 속에서, 그럼에도 우리는 살아갈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또렷한 언어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동명이인 - 걷는사람 시인선 102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