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눈사람처럼 사라진 날들을 이해할 수 있다
눈사람처럼 사라질 나를 꿈꿀 수 있다”
비가시화된 존재들의 세계를 감싸는 겨울의 흰빛
다정함으로 켜켜이 쌓아 올린 순백의 풍경
눈사람처럼 사라질 나를 꿈꿀 수 있다”
비가시화된 존재들의 세계를 감싸는 겨울의 흰빛
다정함으로 켜켜이 쌓아 올린 순백의 풍경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나 2023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백숙현 시인의 첫 시집 『겨울의 기쁨』이 걷는사람 시인선 105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자유롭고 생동감 넘치는 상상력과 전개”(강원일보 심사평)가 돋보인다는 평을 받으며 등단한 백숙현이 품어 온 60편의 시가 『겨울의 기쁨』이라는 이름으로 묶였다. “평범해 보이는 일상을 몹시도 소중한 비밀처럼 아껴 적는”(성현아, 해설) 시인의 시편이 모여 지금 이 계절과 어울리는 환한 시집으로 탄생한 것이다.
백숙현의 시는 “온통 하얀 세상”(「특급열차」)으로 가득하다. 이 세계를 이루는 것은 차갑고 상쾌한 바람, 때로는 일렁이는 겨울의 흰빛과 닮아서, 제자리를 지키다가도 “기억 저편으로”(「커밍 쑨」) 사라지고는 한다. 마치 “겨울나무와 눈사람 위로 촛농이 떨어”(「한밤의 초코케이크」)지듯이. 다만 시 속 화자들은 “눈사람은 가야 할 곳이 있”(「겨울의 기쁨」)다는 사실을 알기에 자신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작은 생을 그저 자기만의 방식으로 보듬는다. 비가시화된 이들이 저마다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담담히 애쓰는 세계를 들여다보는 시인의 사려 깊은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도 어느새 고요하고 평온한 세계에 다다른다.
그런가 하면 우리는 자신만의 속도로 걸음을 옮기는 화자의 시야가 일순 뚜렷해지는 순간을 목격하게 된다. 백숙현의 화자들이 지금 이곳에서 스스로가 할 수 있는 일에 충실한 까닭이다. “속절없이 무너져 내리는”(「눈사람 나라」) 마음으로 “돌아갈 수도/돌아올 수도 없는”(「조각 그림 맞추기」) 길을 대면하는 순간에도, 인물들은 “날마다 해가 뜬다”(「꽃과 꿈」)는 사실을 기억하며 자신의 움직임에 몰두한다. 이때 시인의 명확한 사유로부터 생동하는 언어들은 일상적이고도 달콤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며, 이 섬세한 시선 끝에서 부풀어 오르는 감정은 “함부로 말해지지 않기에 귀히 여겨야 할 무엇이 되어 가는 생(生)의 기록”(성현아, 해설)으로 귀결된다. 백숙현이 손끝으로 가만히 더듬어 보는 포근한 정경들, 다정함으로 켜켜이 쌓아 올린 순백의 “문장 아래에는 오롯이 씻긴 풍경과 소소한 사건들이 넘실”(장석남, 추천사)거리며, 그 풍경은 과연 “조금 슬프고 많이 아늑하다”(「오션시티호텔」).
백숙현의 시를 구성하는 작은 생들이 가진 잠재력은 존재 자체로 우리를 위로한다. “그 깊고 고요한 눈 속”(「사원 밖의 노인」)에 조심스럽게 발자국을 남겨 보려는 애틋한 마음이 여기에 있다. 그러니 가장 따뜻한 겨울의 풍경이 이곳에 고스란히 마련되어 있노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풍경을 읽어 내리다 보면 “내일은 자라날까 사라질까”(「숲의 얼굴」)를 골몰하다가도, “이 재난 속에 묵묵히 살아 있다”(「전염병」)라는 진실을 기억하며, 결국 “나는 빛을 향해 손을 내민다”(「언덕 너머 마트에 가는 길」)라고 용감하게 말할 수 있게 될 테니.
문학평론가 성현아가 주목하듯, “백숙현은 자신이 기른 한 나무를 지켜내는 일에만 몰두하지 않”으며 “그 옆에 나란히 선 나무들에도 다정한 시선”을 나누는 시인이다. 성현아는 해설을 통해 “이 시집에 늘어놓는 이미지는 우리가 본 적 있는 흔히 아는 일상의 소재들을 경유한 것임에도, 우리가 본 적 없는 것들이다. 독자들에게도 ‘비천하고도 거룩한, 그 모순적인 생활의 양면’(「너와 나 사이에 물방울이」)을 모두 볼 수 있게 만든다”라는 점을 짚어낸다.
천천히 잊혀 가는 것들에게 가만히 숨을 불어 넣어 주고, 세계에 존재하는 작은 것들을 새하얗게 감싸는 일을 겨울의 기쁨이라 부를 수 있다면.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이곳이 마음에 든다”(「사라진 열쇠」)라는 충만함으로 가득 차오르는 경험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백숙현의 시는 “온통 하얀 세상”(「특급열차」)으로 가득하다. 이 세계를 이루는 것은 차갑고 상쾌한 바람, 때로는 일렁이는 겨울의 흰빛과 닮아서, 제자리를 지키다가도 “기억 저편으로”(「커밍 쑨」) 사라지고는 한다. 마치 “겨울나무와 눈사람 위로 촛농이 떨어”(「한밤의 초코케이크」)지듯이. 다만 시 속 화자들은 “눈사람은 가야 할 곳이 있”(「겨울의 기쁨」)다는 사실을 알기에 자신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작은 생을 그저 자기만의 방식으로 보듬는다. 비가시화된 이들이 저마다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담담히 애쓰는 세계를 들여다보는 시인의 사려 깊은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도 어느새 고요하고 평온한 세계에 다다른다.
그런가 하면 우리는 자신만의 속도로 걸음을 옮기는 화자의 시야가 일순 뚜렷해지는 순간을 목격하게 된다. 백숙현의 화자들이 지금 이곳에서 스스로가 할 수 있는 일에 충실한 까닭이다. “속절없이 무너져 내리는”(「눈사람 나라」) 마음으로 “돌아갈 수도/돌아올 수도 없는”(「조각 그림 맞추기」) 길을 대면하는 순간에도, 인물들은 “날마다 해가 뜬다”(「꽃과 꿈」)는 사실을 기억하며 자신의 움직임에 몰두한다. 이때 시인의 명확한 사유로부터 생동하는 언어들은 일상적이고도 달콤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며, 이 섬세한 시선 끝에서 부풀어 오르는 감정은 “함부로 말해지지 않기에 귀히 여겨야 할 무엇이 되어 가는 생(生)의 기록”(성현아, 해설)으로 귀결된다. 백숙현이 손끝으로 가만히 더듬어 보는 포근한 정경들, 다정함으로 켜켜이 쌓아 올린 순백의 “문장 아래에는 오롯이 씻긴 풍경과 소소한 사건들이 넘실”(장석남, 추천사)거리며, 그 풍경은 과연 “조금 슬프고 많이 아늑하다”(「오션시티호텔」).
백숙현의 시를 구성하는 작은 생들이 가진 잠재력은 존재 자체로 우리를 위로한다. “그 깊고 고요한 눈 속”(「사원 밖의 노인」)에 조심스럽게 발자국을 남겨 보려는 애틋한 마음이 여기에 있다. 그러니 가장 따뜻한 겨울의 풍경이 이곳에 고스란히 마련되어 있노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풍경을 읽어 내리다 보면 “내일은 자라날까 사라질까”(「숲의 얼굴」)를 골몰하다가도, “이 재난 속에 묵묵히 살아 있다”(「전염병」)라는 진실을 기억하며, 결국 “나는 빛을 향해 손을 내민다”(「언덕 너머 마트에 가는 길」)라고 용감하게 말할 수 있게 될 테니.
문학평론가 성현아가 주목하듯, “백숙현은 자신이 기른 한 나무를 지켜내는 일에만 몰두하지 않”으며 “그 옆에 나란히 선 나무들에도 다정한 시선”을 나누는 시인이다. 성현아는 해설을 통해 “이 시집에 늘어놓는 이미지는 우리가 본 적 있는 흔히 아는 일상의 소재들을 경유한 것임에도, 우리가 본 적 없는 것들이다. 독자들에게도 ‘비천하고도 거룩한, 그 모순적인 생활의 양면’(「너와 나 사이에 물방울이」)을 모두 볼 수 있게 만든다”라는 점을 짚어낸다.
천천히 잊혀 가는 것들에게 가만히 숨을 불어 넣어 주고, 세계에 존재하는 작은 것들을 새하얗게 감싸는 일을 겨울의 기쁨이라 부를 수 있다면.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이곳이 마음에 든다”(「사라진 열쇠」)라는 충만함으로 가득 차오르는 경험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겨울의 기쁨 - 걷는사람 시인선 105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