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걷는사람 시인선 109
김수목 시집 『막막함이 나를 살릴 것이다』 출간
“어둠을 뚫고 먼 인가의 불빛이 다가오다 망설인다
이 버스가 닿는 곳이 내일이다”
사랑과 자유를 찾아 떠도는 방랑자
당신과 나는 아직 꾸어야 할 꿈이 많은 사람
김수목 시집 『막막함이 나를 살릴 것이다』 출간
“어둠을 뚫고 먼 인가의 불빛이 다가오다 망설인다
이 버스가 닿는 곳이 내일이다”
사랑과 자유를 찾아 떠도는 방랑자
당신과 나는 아직 꾸어야 할 꿈이 많은 사람
김수목 시인의 새 시집 『막막함이 나를 살릴 것이다』가 걷는사람 시인선 109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이번 시집을 읽는 하나의 이정표로서 표제작 「막막함이 나를 살릴 것이다」를 들여다보면, “항상 무언가를 쥐고 있어야 했던 손이지만/항상 비어 있다고 기억하려 했다”라는 문장이 의미심장하다. ‘막막함’의 사전적 의미는 “의지할 데 없이 외롭고 답답한” 상황을 말하는데, 시인은 막막함을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기보다 오히려 “막막함이 나를 살릴 것이다”라고 긍정한다. 결국 김수목 시인은 인간이 태생적으로 외로움과 어둠을 등에 진 존재임을 인식하되, 사랑과 자유를 찾아 떠도는 보헤미안으로서의 여정을 멈추지 않음으로써 시의 길을 개척해 나간다.
십여 년 전 쓴 시집에서 “낡은 여행 가방을 찾으러 다시 간다면/파랗고 깊은 눈동자의 베두인 주인은/밤하늘의 물뱀자리로/택배 보냈다고 할지도 몰라”(「바그다드 카페」)라고 적었던 것처럼, 그는 여전히 스스로 ‘낡은 여행 가방’이 되어 사막의 밤하늘이 마냥 검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체득해 가고 있는 중이다.
이렇듯 시인은 ‘어둠’을 통하여 도저한 시적 물음을 지속한다. “심해라는 말은 심장 속이라는 말과도 같다 (중략) 어디에 있든 너와 나는 심해라는 짐을 나누어 살고 있구나”(「심해에서」)라는 시구는 그 단적인 표현이며, 시인은 삶에 드리워진 암연(黯然)을 떨쳐내기보다는 그것에 더욱 밀착해 들어가고자 한다. 스스로 어둠 속으로 걸어 들어감으로써 어둠 저편에 반짝이는 ‘불빛-불 비늘’을 발견하려고, 그리고 결국엔 자신이 곧 ‘불빛-불 비늘’이 될 그날을 꿈꾸며 그는 시를 쓰는 것이다.
「야간 산행」에서 주지하고 있듯, 밤 산행을 떠난 그에게 “유일한 기억 방식은 보행”이며, 그는 “몇 번의 넘어짐을 빼고는 밤새워 걷는다”. 야행 길을 나선 자는 온몸의 감각 신경을 곤두세운 채 어둠을 벗하면서 어둠 속 길을 걷는다. 김수목은 그것이 바로 삶의 길이라고 믿는 듯하다.
교사로서 첫 발령을 받아 섬마을 선생님이 되었던 시절(「나의 70년대식」), 희망대공원 아래 남의 집 문간방에 세를 살았(「나의 70년대식」)던 시절, 그리고 자신의 상처를 되새기며 걸었던 숱한 여행지(추전역, 톤레삽과 훈자 마을과 카슈가르…)에서의 뚜벅뚜벅한 행보가 이 한 권의 시집에 녹아 있다.
“갈 곳 없는 나의 청춘도 훔쳐 가라고”(「나의 80년대식」) 부르짖던 날들을 건너와 이제는 “언제부터인지 목걸이는 목에 맞지 않았다/꾸어야 할 꿈이 너무 많아서/어느 사이엔가 뚝 끊어져 사라졌다”(「인정하긴 싫겠지만」)고 말하는 사람. 빛나는 목걸이보다는 어디로든 갈 수 있는 두 다리를 더 믿고 의지하는 사람. 소박하고 단출한 자연인 김수목의 면모가 시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사실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전 세계가 위중하던 시절에도 그는 산티아고 길을 순례하고 돌아온 이력이 있다. 기나긴 길 위에서 정상이 어디인가 가늠해 보는 건 무의미하다고, 나는 아직 꿈을 꾸고 있는 중이라고 그는 말한다. 우리 가슴속에 든 ‘붉은가슴딱새’ 한 마리의 울음을 대신 들려주면서.
이번 시집을 읽는 하나의 이정표로서 표제작 「막막함이 나를 살릴 것이다」를 들여다보면, “항상 무언가를 쥐고 있어야 했던 손이지만/항상 비어 있다고 기억하려 했다”라는 문장이 의미심장하다. ‘막막함’의 사전적 의미는 “의지할 데 없이 외롭고 답답한” 상황을 말하는데, 시인은 막막함을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기보다 오히려 “막막함이 나를 살릴 것이다”라고 긍정한다. 결국 김수목 시인은 인간이 태생적으로 외로움과 어둠을 등에 진 존재임을 인식하되, 사랑과 자유를 찾아 떠도는 보헤미안으로서의 여정을 멈추지 않음으로써 시의 길을 개척해 나간다.
십여 년 전 쓴 시집에서 “낡은 여행 가방을 찾으러 다시 간다면/파랗고 깊은 눈동자의 베두인 주인은/밤하늘의 물뱀자리로/택배 보냈다고 할지도 몰라”(「바그다드 카페」)라고 적었던 것처럼, 그는 여전히 스스로 ‘낡은 여행 가방’이 되어 사막의 밤하늘이 마냥 검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체득해 가고 있는 중이다.
이렇듯 시인은 ‘어둠’을 통하여 도저한 시적 물음을 지속한다. “심해라는 말은 심장 속이라는 말과도 같다 (중략) 어디에 있든 너와 나는 심해라는 짐을 나누어 살고 있구나”(「심해에서」)라는 시구는 그 단적인 표현이며, 시인은 삶에 드리워진 암연(黯然)을 떨쳐내기보다는 그것에 더욱 밀착해 들어가고자 한다. 스스로 어둠 속으로 걸어 들어감으로써 어둠 저편에 반짝이는 ‘불빛-불 비늘’을 발견하려고, 그리고 결국엔 자신이 곧 ‘불빛-불 비늘’이 될 그날을 꿈꾸며 그는 시를 쓰는 것이다.
「야간 산행」에서 주지하고 있듯, 밤 산행을 떠난 그에게 “유일한 기억 방식은 보행”이며, 그는 “몇 번의 넘어짐을 빼고는 밤새워 걷는다”. 야행 길을 나선 자는 온몸의 감각 신경을 곤두세운 채 어둠을 벗하면서 어둠 속 길을 걷는다. 김수목은 그것이 바로 삶의 길이라고 믿는 듯하다.
교사로서 첫 발령을 받아 섬마을 선생님이 되었던 시절(「나의 70년대식」), 희망대공원 아래 남의 집 문간방에 세를 살았(「나의 70년대식」)던 시절, 그리고 자신의 상처를 되새기며 걸었던 숱한 여행지(추전역, 톤레삽과 훈자 마을과 카슈가르…)에서의 뚜벅뚜벅한 행보가 이 한 권의 시집에 녹아 있다.
“갈 곳 없는 나의 청춘도 훔쳐 가라고”(「나의 80년대식」) 부르짖던 날들을 건너와 이제는 “언제부터인지 목걸이는 목에 맞지 않았다/꾸어야 할 꿈이 너무 많아서/어느 사이엔가 뚝 끊어져 사라졌다”(「인정하긴 싫겠지만」)고 말하는 사람. 빛나는 목걸이보다는 어디로든 갈 수 있는 두 다리를 더 믿고 의지하는 사람. 소박하고 단출한 자연인 김수목의 면모가 시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사실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전 세계가 위중하던 시절에도 그는 산티아고 길을 순례하고 돌아온 이력이 있다. 기나긴 길 위에서 정상이 어디인가 가늠해 보는 건 무의미하다고, 나는 아직 꿈을 꾸고 있는 중이라고 그는 말한다. 우리 가슴속에 든 ‘붉은가슴딱새’ 한 마리의 울음을 대신 들려주면서.
막막함이 나를 살릴 것이다 - 걷는사람 시인선 109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