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없는 사람 : 80년 오월을 거쳐 간 어느 시민의 이야기 - 걷는사람 에세이 25

세상에 없는 사람 : 80년 오월을 거쳐 간 어느 시민의 이야기 - 걷는사람 에세이 25

$15.00
Description
5·18 광주민주화운동 44주기‐
거대한 역사의 물줄기는
평범한 소시민의 삶을 어떻게 뒤흔드는가
상부의 명령을 받고 군대에서 ‘충정봉’을 만들어야만 했던 20대의 군인,
국가 폭력에 일조했다는 죄책감에 일평생 자신을 독 안에 가두듯
속죄하며 살아야 했던 한 시민의 다큐멘터리

걷는사람 에세이 25번째 작품으로 오성인 시인의 『세상에 없는 사람』이 출간되었다.
오성인 시인은 2013년 《시인수첩》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그간 오월 광주의 상흔을 담은 시집(『푸른 눈의 목격자』 『이 차는 어디로 갑니까』)을 출간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44주기를 맞는 이즈음에 저자는 끊임없이 왜 ‘오월’을 이야기해야 하는지, 어째서 광주를 말할 수밖에 없는지 지난 시집에서 차마 다 꺼내지 못했던 사연을 밝힌다.

1980년 봄, 상병으로 군대에 복무하던 저자의 아버지는 상부의 명령에 따라 박달나무 방망이를 만들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 방망이가 5·18 때 시민을 제압하는 계엄군의 ‘충정봉’으로 쓰였음을 알게 되어 큰 충격에 휩싸인다. 제대 후 대학생으로 돌아갔지만 더 이상 그는 예전과 같은 모습으로 살아갈 수 없었다. 자신이 아끼던 친구와 선후배 들이 계엄군으로부터 당한 상처를 보며 자신이 곧 가해자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는 끊임없이 “나가 죽었어야 했는디… 나가!”라고 절규했다. 국가폭력에 동조했다는 죄책감은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았고, 그는 지금까지도 속죄하는 마음으로 스스로를 독에 가둔 채로 살고 있다.

오성인 시인은 이 책의 말미에 이렇게 적는다.
“이 글은 곧 내가 평생 짊어지고 가야만 하는 짐이자 충정봉을 만들어 계엄군 손에 쥐여 준 가해자의 자식으로서 광주와 오월 영령들께 드리는 속죄다.”

이 하나의 사연을 놓고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1980년대, 거대한 독재정권의 폭력 아래에서 수많은 시민과 학생과 군인이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가 되었다. 비단 80년대만이 아니다. 거대한 역사의 물줄기는 수많은 무고한 사람의 생명과 영혼을 앗아갔다. (이 책에는 6·25 때 징집을 피했다는 이유로 평생 빨갱이로 낙인찍혀 살았던 할아버지, 광주 출신이라는 이유로 군대에서 가혹행위를 당하고 결국 스스로 목숨을 저버려야 했던 외삼촌의 이야기도 등장한다.) 하지만 몸에 입은 상처도, 정신에 입은 상처도 국가는 제대로 돌봐 주지 않았고, 광주 시민 학살의 가장 큰 책임자는 사과 한마디조차 하지 않고 떠났다. 그리하여 수많은 이들이 치유되지 못한 채로 여전히 신음하며 오늘을 살고 있지 않은가.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오월의 깊은 상흔을 보듬고, 평화를 염원한 광주항쟁의 정신을 계승하고 확장하려는 하나의 작은 움직임이다. 오성인 시인은 출간을 앞두고 “이 책이 어떤 도화선이 되어 발포 명령자 등 여전히 지지부진한 오월의 진실이 밝혀지고, 가해자들의 사죄가 이루어진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다.”는 소망을 밝혔다.

이 글은 거창한 역사 기록도 아니고 흥미진진한 소설은 더더군다나 아닌, 그저 내 아버지의 이야기에 불과하다. 그러나 동시에 세상 모든 우리네 아버지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동안 미디어를 통해 접했던 광주 5·18이 크고 넓은 강의 본류라면, 이 이야기는 본류 주변에 형성되어 흐르고 있는 자잘한 지류라고 할 수 있다. 사소하고 평범한 소시민의 일상이 어떻게 역사로 편입되는지 이야기하고 싶었다.
─「늦은 고백」 중에서
저자

오성인

저자:오성인
광주에서태어나2013년《시인수첩》신인상을수상하며작품활동을시작했다.시집『푸른눈의목격자』『이차는어디로갑니까』를냈으며대산창작기금과나주문학상,내일의한국작가상을받았다.

목차


프롤로그

슬픔의족보
환멸
개명
두물머리

폐허의봄
천변에서보낸유년
통일동산
오줌보축구공
폐소공포증
오랜친구,태화

속박된삶
원하지않은길
레닌의언덕
해방구
솔트와그리세

그늘의배후
연좌제
낙하
앙코르,앙코르
난파선

나무깎이인형의늦은고백
나무깎이인형
어용교수
그리운정석구

에필로그

출판사 서평


5·18광주민주화운동44주기­
거대한역사의물줄기는
평범한소시민의삶을어떻게뒤흔드는가

상부의명령을받고군대에서‘충정봉’을만들어야만했던20대의군인,
국가폭력에일조했다는죄책감에일평생자신을독안에가두듯
속죄하며살아야했던한시민의다큐멘터리

걷는사람에세이25번째작품으로오성인시인의『세상에없는사람』이출간되었다.
오성인시인은2013년《시인수첩》신인상을수상하며작품활동을시작했으며,그간오월광주의상흔을담은시집(『푸른눈의목격자』『이차는어디로갑니까』)을출간했다.5·18광주민주화운동44주기를맞는이즈음에저자는끊임없이왜‘오월’을이야기해야하는지,어째서광주를말할수밖에없는지지난시집에서차마다꺼내지못했던사연을밝힌다.

1980년봄,상병으로군대에복무하던저자의아버지는상부의명령에따라박달나무방망이를만들었고,얼마지나지않아그방망이가5·18때시민을제압하는계엄군의‘충정봉’으로쓰였음을알게되어큰충격에휩싸인다.제대후대학생으로돌아갔지만더이상그는예전과같은모습으로살아갈수없었다.자신이아끼던친구와선후배들이계엄군으로부터당한상처를보며자신이곧가해자라는생각이들었고,그는끊임없이“나가죽었어야했는디…나가!”라고절규했다.국가폭력에동조했다는죄책감은아무리시간이지나도사라지지않았고,그는지금까지도속죄하는마음으로스스로를독에가둔채로살고있다.

오성인시인은이책의말미에이렇게적는다.
“이글은곧내가평생짊어지고가야만하는짐이자충정봉을만들어계엄군손에쥐여준가해자의자식으로서광주와오월영령들께드리는속죄다.”

이하나의사연을놓고만보아도알수있듯이1980년대,거대한독재정권의폭력아래에서수많은시민과학생과군인이가해자인동시에피해자가되었다.비단80년대만이아니다.거대한역사의물줄기는수많은무고한사람의생명과영혼을앗아갔다.(이책에는6·25때징집을피했다는이유로평생빨갱이로낙인찍혀살았던할아버지,광주출신이라는이유로군대에서가혹행위를당하고결국스스로목숨을저버려야했던외삼촌의이야기도등장한다.)하지만몸에입은상처도,정신에입은상처도국가는제대로돌봐주지않았고,광주시민학살의가장큰책임자는사과한마디조차하지않고떠났다.그리하여수많은이들이치유되지못한채로여전히신음하며오늘을살고있지않은가.
그런의미에서이책은오월의깊은상흔을보듬고,평화를염원한광주항쟁의정신을계승하고확장하려는하나의작은움직임이다.오성인시인은출간을앞두고“이책이어떤도화선이되어발포명령자등여전히지지부진한오월의진실이밝혀지고,가해자들의사죄가이루어진다면더바랄것이없겠다.”는소망을밝혔다.

이글은거창한역사기록도아니고흥미진진한소설은더더군다나아닌,그저내아버지의이야기에불과하다.그러나동시에세상모든우리네아버지들의이야기이기도하다.그동안미디어를통해접했던광주5·18이크고넓은강의본류라면,이이야기는본류주변에형성되어흐르고있는자잘한지류라고할수있다.사소하고평범한소시민의일상이어떻게역사로편입되는지이야기하고싶었다.
─「늦은고백」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