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누구나 선생이 되고, 학생이 되어 이야기하며 삶을 배우는 곳
미국에 ‘월든’이 있다면, 한국에는 ‘산막스쿨’이 있다!
미국에 ‘월든’이 있다면, 한국에는 ‘산막스쿨’이 있다!
미국의 문호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월든』은 저자 본인이 1845년 7월부터 1847년 9월까지, 2년 2개월간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월든 호숫가에 직접 나무를 베어 오두막을 짓고 홀로 거주하면서 남긴 삶의 기록이다. 속세에서 누렸던 문명의 편안함과 당연함을 대부분 벗어던지고 오롯이 한 개인으로서 자연을 관찰하고, 또 자연의 입장에 서서 자신이 살던 문명 세계를 관찰하면서 남긴 깊이 있는 사유는 지금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의 연구 대상이 되며 『월든』을 영원한 전 세계적 고전으로 남게 하였다.
한보건설 사장, 극동건설 사장, 휴넷 회장 등을 거쳐 현재는 많은 이들과 교류를 주고받으며 작가로 활동 중인 권대욱 저자의 신간, 『권대욱의 월든이야기』는 마치 1845년 소로우가 그랬듯, 홀연히 아주 작고 사소한 계기로 용기를 내어 이제까지 누리던 풍요를 잠시 내려놓고, 생활하기 위해 수많은 것들을 자신의 몸을 움직여 직접 해내야만 하는 산막생활을 시작하여 산막과 집을 오간 지 15년여가 된 저자의 따뜻하면서 깊이 있는 삶과 사유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는 책이다.
우연한 기회에 강원도 문막에 통나무로 된 산막을 짓게 된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사업적 좌절을 경험하고 도망치듯 모든 것을 벗어 던지고 산막에 들어가 생활했던 이야기, 페이스북의 입소문을 통해 혼자만의 작은 산막이 수많은 이들과 함께하며 때로는 선생이 되고, 때로는 학생이 되어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작은 학교 산막스쿨’이 된 이야기들은 격한 경쟁과 갈등으로 물든 현대 사회에 지친 독자들의 가슴에 따뜻하고 작은 모닥불 같은 온기를 제공할 것이다.
사람들이 묻는다. 왜 산막에 사람들을 불러 밥 먹이고 재우고 놀고 하느냐고. 밥이 나오느냐 떡이 나오느냐고. 나는 밥도 안 나오고 떡도 나오지 않지만 사람이 나오지 않느냐고 되묻는다. 내가 산막에 사람 불러 밥 함께 먹고 이야기하고 별밤 헤아리는 뜻을 사람들은 잘 모를 게다.
한 사람을 연으로 지인들이 모이고 그 지인들이 또 서로 지인들이 되고 그 지인들의 지인들이 또 새로운 지인들이 된다. 교수, 여행가, 방송인, 전문직업인, 연주자, 학생, 젊은 직장인들이 대자연 속에서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은 참 자연처럼 자연스럽다. 그저 그 아름다운 과정의 한 부분이고 싶을 뿐, 그 이상의 욕심은 부리려 하지 않는다.
오늘 돌아가는 이들이 어제 돌아간 이들의 말들에 이어 또 말들을 남길 것이고, 나는 그 말들 속에서 그날을 생각할 것이다.
-본문 중에서-
오락가락 장대비는 잠을 부른다. 빗소리를 자장가 삼아 자고 또 잤다. 빗소리는 책을 부른다. 빗소리는 또한 상념을 부른다. 빗소리는 마지막으로 부침개를 부른다. 곡우를 졸라 호박전, 고추전, 파전을 만든다. 굴과 오징어도 넣는다. 두부찌개도 끓인다. 술 한 잔이 빠질 수가 없다. 비는 계속된다. 추적추적추적 지글지글지글.
‘함·또·따’는 함께 있는 시간이 즐거워야 따로 있는 시간이 빛나고, 또한 따로 있는 시간이 빛나야 함께 있는 시간이 즐겁다는 말이다. 김치찌개 점심을 잘 먹고 2층에서 한잠을 푹 잤다. 곡우는 내가 자는 동안 유튜브 방송 두 개를 보았다며 즐거워한다. 심심할 틈이 없다고 말한다. 나는 내 유튜브도 봐라, 나는 가끔 심심하다 말한다.
함·또·따가 반드시 물리적이지만은 않다. 함께 있어도 따로이고 따로 있어도 함께일 수 있다. 저녁엔 메밀냉면에 소고기를 준다 하여 즐거워하고 있다. 만일 혼자였다면 차가운 밥상에 많이 외로웠을 것이다. 비가 많이 온다. 함께 밥 먹는 사이는 소중하다. 많이 아끼자.
-본문 중에서-
한보건설 사장, 극동건설 사장, 휴넷 회장 등을 거쳐 현재는 많은 이들과 교류를 주고받으며 작가로 활동 중인 권대욱 저자의 신간, 『권대욱의 월든이야기』는 마치 1845년 소로우가 그랬듯, 홀연히 아주 작고 사소한 계기로 용기를 내어 이제까지 누리던 풍요를 잠시 내려놓고, 생활하기 위해 수많은 것들을 자신의 몸을 움직여 직접 해내야만 하는 산막생활을 시작하여 산막과 집을 오간 지 15년여가 된 저자의 따뜻하면서 깊이 있는 삶과 사유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는 책이다.
우연한 기회에 강원도 문막에 통나무로 된 산막을 짓게 된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사업적 좌절을 경험하고 도망치듯 모든 것을 벗어 던지고 산막에 들어가 생활했던 이야기, 페이스북의 입소문을 통해 혼자만의 작은 산막이 수많은 이들과 함께하며 때로는 선생이 되고, 때로는 학생이 되어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작은 학교 산막스쿨’이 된 이야기들은 격한 경쟁과 갈등으로 물든 현대 사회에 지친 독자들의 가슴에 따뜻하고 작은 모닥불 같은 온기를 제공할 것이다.
사람들이 묻는다. 왜 산막에 사람들을 불러 밥 먹이고 재우고 놀고 하느냐고. 밥이 나오느냐 떡이 나오느냐고. 나는 밥도 안 나오고 떡도 나오지 않지만 사람이 나오지 않느냐고 되묻는다. 내가 산막에 사람 불러 밥 함께 먹고 이야기하고 별밤 헤아리는 뜻을 사람들은 잘 모를 게다.
한 사람을 연으로 지인들이 모이고 그 지인들이 또 서로 지인들이 되고 그 지인들의 지인들이 또 새로운 지인들이 된다. 교수, 여행가, 방송인, 전문직업인, 연주자, 학생, 젊은 직장인들이 대자연 속에서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은 참 자연처럼 자연스럽다. 그저 그 아름다운 과정의 한 부분이고 싶을 뿐, 그 이상의 욕심은 부리려 하지 않는다.
오늘 돌아가는 이들이 어제 돌아간 이들의 말들에 이어 또 말들을 남길 것이고, 나는 그 말들 속에서 그날을 생각할 것이다.
-본문 중에서-
오락가락 장대비는 잠을 부른다. 빗소리를 자장가 삼아 자고 또 잤다. 빗소리는 책을 부른다. 빗소리는 또한 상념을 부른다. 빗소리는 마지막으로 부침개를 부른다. 곡우를 졸라 호박전, 고추전, 파전을 만든다. 굴과 오징어도 넣는다. 두부찌개도 끓인다. 술 한 잔이 빠질 수가 없다. 비는 계속된다. 추적추적추적 지글지글지글.
‘함·또·따’는 함께 있는 시간이 즐거워야 따로 있는 시간이 빛나고, 또한 따로 있는 시간이 빛나야 함께 있는 시간이 즐겁다는 말이다. 김치찌개 점심을 잘 먹고 2층에서 한잠을 푹 잤다. 곡우는 내가 자는 동안 유튜브 방송 두 개를 보았다며 즐거워한다. 심심할 틈이 없다고 말한다. 나는 내 유튜브도 봐라, 나는 가끔 심심하다 말한다.
함·또·따가 반드시 물리적이지만은 않다. 함께 있어도 따로이고 따로 있어도 함께일 수 있다. 저녁엔 메밀냉면에 소고기를 준다 하여 즐거워하고 있다. 만일 혼자였다면 차가운 밥상에 많이 외로웠을 것이다. 비가 많이 온다. 함께 밥 먹는 사이는 소중하다. 많이 아끼자.
-본문 중에서-
권대욱의 월든이야기 : 평생 CEO 청춘합창단 명단장 권대욱의 산막 My Way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