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당전쟁의 승리

나당전쟁의 승리

$18.00
Description
동아시아 고대사의 지형을 바꾼 나당전쟁을 생동감 있는 소설로 만나다
〈삼국사기〉에 단 한 번 등장하는 나당전쟁의 영웅, 김시득은 누구인가?
신라와 당나라 간의 8년에 걸친 나당전쟁을 소재로 한 새 역사소설이 나왔다. 등단 42년의 중견 소설가 황원갑(黃源甲) 저자가 5년간의 집필 끝에 펴낸 〈나당전쟁(羅唐戰爭)의 승리〉이다.

이 소설은 백제의 패망부터 기벌포해전의 승리까지 나당전쟁의 전 과정을 그렸으며, 주인공 김시득을 비롯하여 신라의 김유신, 태종무열왕, 문무왕, 백제의 계백, 의자왕, 흑치상지, 부여복신, 도침, 고구려의 연개소문, 보장왕, 연남생, 검모잠, 고안승 등 300여 명의 역사적 인물이 등장한다.

중견소설가이며 50여 년간 한국 상고사를 연구해온 역사연구가이기도 한 황원갑 저자는 나당전쟁을 연구하기 위해 사료를 찾다가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6년조에서 '(신라의) 사찬 김시득이 기벌포에서 설인귀의 당 수군을 22차에 걸쳐 싸워 이겼다'는 구절을 보았다. 김시득은 그 한 대목밖에는 어느 사서에도 나오지 않는 인물이다. 작가는 여기에서 김시득을 주인공으로 하여 나당전쟁 8년에 걸친 전 과정을 역사소설로 집필했다. "소설 집필에는 5년이 걸렸지만 이 책에는 등단 40여 년의 문학정신과 인생관과 주체적 역사관이 담겼다"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만일 나당전쟁에서 신라가 패망했다면 그 뒤 발해와의 남북국시대 230년, 고려왕조 500년, 조선왕조 500년, 그리고 오늘의 대한민국은 있을 수 없는, 우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전쟁이 나당전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는 임진왜란에서 만일 조선왕조가 패망했다면 그때부터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버렸을 것과 마찬가지 의미"라고 강조했다.

저자 황원갑은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와 1983년 신동아 논픽션공모에 당선되어 등단한 42년 경력의 중견소설가이며, 한국일보 기자, 서울경제 문화부장을 지낸 50년 경력의 전 언론인이기도 하다. 저자는 50여 년간 역사 연구를 해온 역사연구가로서 정확하고 치밀한 고증, 박진감 넘치는 문장으로 이 역사소설을 완성했다.

저자

황원갑

저자:황원갑
강원도평창출생,1964년춘천고등학교졸업,
1966년서라벌예술대학문예창작과졸업
1971년중앙대학교사회개발대학원수료
1969년월간스포츠기자
1971~1981년대한석탄공사홍보실사보담당
1982년동아일보신춘문예당선
1983년신동아복간기념논픽션당선
1981~1985년한국일보기자
1985~2002년서울경제신문문화부장
현재한국소설가협회,대한언론인회회원

목차

책머리에004

서장010

백제의망국015

백제의광복전쟁037

고구려의망국122

고구려의광복전쟁141

매소성전투156

기벌포해전165

발해와남북국시대177

종장200

출간후기220

출판사 서평

동아시아고대사의지형을바꾼나당전쟁을생동감있는소설로만나다
<삼국사기>에단한번등장하는나당전쟁의영웅,김시득은누구인가?

신라와당나라간의8년에걸친나당전쟁을소재로한새역사소설이나왔다.등단42년의중견소설가황원갑(黃源甲)저자가5년간의집필끝에펴낸<나당전쟁(羅唐戰爭)의승리>이다.

이소설은백제의패망부터기벌포해전의승리까지나당전쟁의전과정을그렸으며,주인공김시득을비롯하여신라의김유신,태종무열왕,문무왕,백제의계백,의자왕,흑치상지,부여복신,도침,고구려의연개소문,보장왕,연남생,검모잠,고안승등300여명의역사적인물이등장한다.

중견소설가이며50여년간한국상고사를연구해온역사연구가이기도한황원갑저자는나당전쟁을연구하기위해사료를찾다가<삼국사기>신라본기문무왕16년조에서'(신라의)사찬김시득이기벌포에서설인귀의당수군을22차에걸쳐싸워이겼다'는구절을보았다.김시득은그한대목밖에는어느사서에도나오지않는인물이다.작가는여기에서김시득을주인공으로하여나당전쟁8년에걸친전과정을역사소설로집필했다."소설집필에는5년이걸렸지만이책에는등단40여년의문학정신과인생관과주체적역사관이담겼다"고저자는말한다.

저자는"만일나당전쟁에서신라가패망했다면그뒤발해와의남북국시대230년,고려왕조500년,조선왕조500년,그리고오늘의대한민국은있을수없는,우리역사에서매우중요한의미가있는전쟁이나당전쟁"이라고말했다.그는또"이는임진왜란에서만일조선왕조가패망했다면그때부터우리나라는일본의식민지가되어버렸을것과마찬가지의미"라고강조했다.

저자황원갑은1982년동아일보신춘문예와1983년신동아논픽션공모에당선되어등단한42년경력의중견소설가이며,한국일보기자,서울경제문화부장을지낸50년경력의전언론인이기도하다.저자는50여년간역사연구를해온역사연구가로서정확하고치밀한고증,박진감넘치는문장으로이역사소설을완성했다.

출간후기

우리가잘모르는우리의역사를소설로엮다

권선복|도서출판행복에너지대표이사

‘역사를잊은민족은미래가없다’는격언이있듯이지나간우리의역사를배우고이해하는것은더나은미래를위해서매우중요한일입니다.하지만지금의사람들은우리의역사에크게관심이없는것이사실입니다.학교에서시험을치르기위해역사적지식을암기하지만,학교생활이끝나면언제그런것을배웠냐는듯모든내용을잊어버리곤합니다.

소설『나당전쟁의승리』는1982년동아일보신춘문예로등단한작가이자서울경제신문문화부장으로활동한바있는언론인인황원갑저자가통일신라의이순신장군이라고할만큼의업적을세웠으나그기록이거의남아있지않아현재우리에게는거의잊혀진명장(名將),김시득장군을중심으로엮어낸역사소설입니다.

나당전쟁은669년부터676년까지,약8년여간에걸친신라와당사이의전쟁입니다.국제적인영향력을행사할정도였던고구려나백제에비해상대적으로약소국이었던신라는생존을위해당대동아시아의강대국이었던당과손을잡고고구려와백제를멸망시키는데성공하지만한반도지배의야욕을품고있었던당은신라와의약조를어기고한반도를직접통치하려는시도를합니다.이에신라는다시금국가의사활을걸고강대국당에도전하여승리를거두며한반도중·남부에대한공식적인지배권을국제적으로인정받게됩니다.

황원갑저자의뜨거운묘사속에서김시득,김유신,견훤,연개소문,그리고발해의세계적대장군장문휴장군에이르기까지역사책속의인물들이눈앞에서움직이는것처럼살아숨쉬는모습은우리역사가<삼국지>등의유명한해외역사소설못지않게재미있고우리의가슴을뜨겁게할수있다는것을보여줄것입니다.그리고그전쟁속에서어떤인물들이활동했는지,그들은어떤각오로목숨을걸고분투했는지,치열했던조상들의삶에서지금을살아가는우리가어떤교훈을배울수있는지에대해다시금생각해볼수있는기회를제공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