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동아시아 고대사의 지형을 바꾼 나당전쟁을 생동감 있는 소설로 만나다
〈삼국사기〉에 단 한 번 등장하는 나당전쟁의 영웅, 김시득은 누구인가?
〈삼국사기〉에 단 한 번 등장하는 나당전쟁의 영웅, 김시득은 누구인가?
신라와 당나라 간의 8년에 걸친 나당전쟁을 소재로 한 새 역사소설이 나왔다. 등단 42년의 중견 소설가 황원갑(黃源甲) 저자가 5년간의 집필 끝에 펴낸 〈나당전쟁(羅唐戰爭)의 승리〉이다.
이 소설은 백제의 패망부터 기벌포해전의 승리까지 나당전쟁의 전 과정을 그렸으며, 주인공 김시득을 비롯하여 신라의 김유신, 태종무열왕, 문무왕, 백제의 계백, 의자왕, 흑치상지, 부여복신, 도침, 고구려의 연개소문, 보장왕, 연남생, 검모잠, 고안승 등 300여 명의 역사적 인물이 등장한다.
중견소설가이며 50여 년간 한국 상고사를 연구해온 역사연구가이기도 한 황원갑 저자는 나당전쟁을 연구하기 위해 사료를 찾다가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6년조에서 '(신라의) 사찬 김시득이 기벌포에서 설인귀의 당 수군을 22차에 걸쳐 싸워 이겼다'는 구절을 보았다. 김시득은 그 한 대목밖에는 어느 사서에도 나오지 않는 인물이다. 작가는 여기에서 김시득을 주인공으로 하여 나당전쟁 8년에 걸친 전 과정을 역사소설로 집필했다. "소설 집필에는 5년이 걸렸지만 이 책에는 등단 40여 년의 문학정신과 인생관과 주체적 역사관이 담겼다"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만일 나당전쟁에서 신라가 패망했다면 그 뒤 발해와의 남북국시대 230년, 고려왕조 500년, 조선왕조 500년, 그리고 오늘의 대한민국은 있을 수 없는, 우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전쟁이 나당전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는 임진왜란에서 만일 조선왕조가 패망했다면 그때부터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버렸을 것과 마찬가지 의미"라고 강조했다.
저자 황원갑은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와 1983년 신동아 논픽션공모에 당선되어 등단한 42년 경력의 중견소설가이며, 한국일보 기자, 서울경제 문화부장을 지낸 50년 경력의 전 언론인이기도 하다. 저자는 50여 년간 역사 연구를 해온 역사연구가로서 정확하고 치밀한 고증, 박진감 넘치는 문장으로 이 역사소설을 완성했다.
이 소설은 백제의 패망부터 기벌포해전의 승리까지 나당전쟁의 전 과정을 그렸으며, 주인공 김시득을 비롯하여 신라의 김유신, 태종무열왕, 문무왕, 백제의 계백, 의자왕, 흑치상지, 부여복신, 도침, 고구려의 연개소문, 보장왕, 연남생, 검모잠, 고안승 등 300여 명의 역사적 인물이 등장한다.
중견소설가이며 50여 년간 한국 상고사를 연구해온 역사연구가이기도 한 황원갑 저자는 나당전쟁을 연구하기 위해 사료를 찾다가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6년조에서 '(신라의) 사찬 김시득이 기벌포에서 설인귀의 당 수군을 22차에 걸쳐 싸워 이겼다'는 구절을 보았다. 김시득은 그 한 대목밖에는 어느 사서에도 나오지 않는 인물이다. 작가는 여기에서 김시득을 주인공으로 하여 나당전쟁 8년에 걸친 전 과정을 역사소설로 집필했다. "소설 집필에는 5년이 걸렸지만 이 책에는 등단 40여 년의 문학정신과 인생관과 주체적 역사관이 담겼다"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만일 나당전쟁에서 신라가 패망했다면 그 뒤 발해와의 남북국시대 230년, 고려왕조 500년, 조선왕조 500년, 그리고 오늘의 대한민국은 있을 수 없는, 우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전쟁이 나당전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는 임진왜란에서 만일 조선왕조가 패망했다면 그때부터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버렸을 것과 마찬가지 의미"라고 강조했다.
저자 황원갑은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와 1983년 신동아 논픽션공모에 당선되어 등단한 42년 경력의 중견소설가이며, 한국일보 기자, 서울경제 문화부장을 지낸 50년 경력의 전 언론인이기도 하다. 저자는 50여 년간 역사 연구를 해온 역사연구가로서 정확하고 치밀한 고증, 박진감 넘치는 문장으로 이 역사소설을 완성했다.


나당전쟁의 승리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