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회에도 쿠데타가 있었는가?
Description
한반도의 고대사회에서 벌어졌던 수많은 쿠데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었을까?
8인의 역사학자와 함께 고대사에 나타난 권력 교체의 현장, 그 역사의 순간으로 떠난다!
우리의 현대사에서 ‘쿠데타’는 군부 정권의 기억, 그리고 민주화운동이라는 키워드와 단단히 얽혀 있다. 두 세대를 아우르는 동안 정치와 사회 전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시민들에게는 트라우마를 남겼다. 그러나 쿠데타는 현대사에서만 볼 수 있는 이슈가 아니다. 권력 구조를 둘러싼 정치적 변화의 중심에는 늘 역사의 면면에 숨어 있거나 드러난 쿠데타, 즉 정변이 있었다. 역사학자 8명의 공동 연구 결과로 내놓은 「고대사회에도 쿠데타가 있었는가?」는 이 같은 맥락 아래 고조선부터 발해까지 한국 고대사의 주요 사건들을 ‘쿠데타(정변)’라는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고대사의 권력 전복 과정의 맥락을 톺아 봄과 동시에 그것이 오늘 우리 사회에 주는 교훈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 책은 우선 고대 한국사에서 벌어진 권력 교체의 사례를 연구자별로 철저히 파헤친다. 위만의 정변과 위만조선 건국, 고구려사에 보이는 정변과 역사적 의미, 고구려 차대왕의 정변과 초기 왕위계승의 원칙, 「일본서기」에 보이는 백제의 정변에 대한 고찰, 백제 초기 왕위계승과 정변, 신라 상대의 왕위계승과 정변, 신라 하대의 쿠데타와 대외교섭, 그리고 발해 역사의 변혁 같은 여러 사건이 사료 고증과 최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면밀하게 다뤄진다. 특히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어 배경과 결과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독자들은 정변이 단순히 권력의 전복에 머무르는 게 아니라 한 사회의 구조와 방향성 및 시대정신을 재편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인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위만조선의 건국 과정에서 드러난 내부 권력 구조의 변화는 단순한 권력 투쟁을 넘어 한국사 최초의 왕조 교체로 기록되는데 이는 현대의 정치 체제와 흥미로운 유사성을 보여 준다. 또한 신라 하대의 쿠데타는 사회 질서의 해체와 재구성의 과정을 보여 주며, 발해의 변혁은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독립적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시도로 읽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순히 과거사의 개별 사건을 돌아보는 데 그치지 않고 독자들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시각을 제공해 줄 것이다. 이 책의 저자 대표인 김희만 교수는 저자의 말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고대사회에서 ‘쿠데타[coup d’État]’라는 용어가 통용되었을 리 만무하기에, 때로는 ‘정변(政變)’이라는 개념으로 이를 순화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사정은 각 시대를 연구하는 데 수반되는 어려움 중 하나로, 역사학자들이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이제 그 번뇌의 산물 일부를 단행본으로 발간한다. 미미하게나마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를 위한 하나의 다리를 마련한 셈이다. 역사, 특히 고대사에 관심이 많은 독자에게 일독(一讀)을 권하고 싶다.” 이 책을 역사서 애독자 및 역사 연구자, 정치학이나 사회학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권하는 배경이다.
책에 소개된 고대사의 정변을 통해 오늘날의 정치적 문제를 반추하고 이로써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역사적 연속성이라는 통찰 아래 역사란 ‘배우는 것’이 아닌 ‘오늘을 움직이는 힘’이라는 것을 재인식하는 계기로 삼길 바란다.

저자

조원진,김진한,이종록,홍성화,박재용,김희만,최희준,임상선

저자:조원진
한양대학교ERICA문화재연구소학술연구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및논문으로『고조선의네트워크와그주변사회』(공저,주류성,2022),「위만조선-漢나라의전쟁양상」(『군사』118,2021),「고조선중심지의변천을바라보는최근시각」(『선사와고대』72,2023),「기자동래설의성립과정에대한검토」(『한국고대사연구』109,2023)등이있다.

저자:김진한
경북대학교사학과강사이다.저서및논문으로『고구려후기대외관계사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2020),「8세기신라의대발해(對渤海)인식변화와그배경:북적(北狄)에서북국(北國)으로」(『한국학』171,2023),「무왕대발해·당전쟁에대한재인식」(『한국문화』99,2022),「1~4세기고구려대왜인식의형성과변화-동아시아국제정세의변동과관련하여」(『국학연구』48,2022)등이있다.

저자:이종록
고려대학교한국사연구소연구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및논문으로「高句麗와玄郡의관계와溝설치배경검토」(『선사와고대』55,2018),「1~3세기고구려의두만강유역지배방식과柵城」(『역사와현실』116,2020),『한사군연구』(공저,서경문화사,2022),「3~4세기숙신의성장과고구려」(『고구려발해연구』76,2023),“AReconsiderationoftheAccountoftheLelangKingdom(樂浪國)inSamgukSagi”(InternationalJournalofKoreanHistory29-2,2024)등이있다.

저자:홍성화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및논문으로「石上神宮소장七支刀의신해석에대한추가쟁점연구」(『백제연구』78,2023),「隅田八幡神社(스다하치만신사)인물화상경에대한일고찰」(『한국고대사탐구』43,2023),『왜5왕:수수께끼의5세기왜국왕』(살림출판사,2019),『칠지도와일본서기:4~6세기한일관계사연구』(경인문화사,2021),『일본은왜한국역사에집착하는가』1,2(시여비,2023,2024)등이있다.

저자:박재용
충남역사문화연구원선임연구위원으로재직중이다.저서및논문으로『고대한류열풍의중심시아스카(飛鳥)』(공저,주류성,2021),「백제의對倭교섭과航路」(『백제학보』19,백제학회,2017),「일본사료로본백제熊津시기왕계」(『한일관계사연구』61,2018),「백제의史書편찬」(『한국고대사탐구』40,한국고대사탐구학회,2022),「웅진기백제와왜국의교류」(『한국고대사연구』115,한국고대사학회,2024)등이있다.

저자:김희만
서강대학교디지털역사연구소연구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및논문으로『신라의왕권과관료제』(경인문화사,2019),『신라사의재구성』(경인문화사,2019),「한국사디지털자료의활용현황과과제」(『한국사학사학보』48,2023),「『연경재전집』의辨·跋·筆記類를통해본한국고대사의신자료발굴」(『국학연구』52,2023),「『삼국유사』의편목과일연(一然)의신라불교인식」(『한국사상사학』73,2023),「신라의‘水旱之災’와국가의대응전략」(『신라사학보』56,2022),「『연경재전집』의지리류(地理類)와한국고대영토인식」(『동북아역사논총』77,2022)등이있다.

저자:최희준
가천대학교강사이다.저서및논문으로「上太師侍中狀」의‘太師侍中’과최치원의재입당사행항로」(『탐라문화』74,2023),「644년당의대고구려전파병요구와신라의대응」(『신라사학보』54,2022),「7세기후반신라의영접의례구성-당·일본과의비교를중심으로-」(『신라문화』59,2021),「최치원의사행과재입당시점재고-「旅遊唐城贈先王樂官」의분석을중심으로-」(『사학연구』143,2021),「621년나당수교와그전개양상」(『신라사학보』52,2021)등이있다.

저자:임상선
대구대학교학술연구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및논문으로「중국정사(正史)의발해기록검토」(『역사교육논집』84,2023),「17~18세기조선의발해사저술에인용된중국사료」(『역사와교육』37,2023),『조선의역사전문외교관,유득공』(동북아역사재단교양총서21,동북아역사재단,2021),『발해사바로읽기-발해사쟁점과연구』(도서출판동재,2008)등이있다.이글은2022년대한민국교육부와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NRF-2022S1A5B5A16056388)로서「발해역사속의변혁(變革)의순간들」(『한국고대사탐구』46)을수정한것이다.

목차

책을내면서
위만의정변과위만조선건국
고구려사에보이는정변과역사적의미
고구려차대왕의정변과초기왕위계승의원칙
『일본서기』에보이는백제의정변에대한고찰
백제초기왕위계승과정변
신라상대의왕위계승과정변
신라하대의쿠데타와대외교섭
발해역사의변혁

참고문헌
그림목록

출판사 서평

책속에서

위만이고조선을무너뜨린것은기원전195년에서오래되지않은시점일것이다.구체적으로는위만이정변때한나라가10도로나누어쳐들어온다고할수있는주발이연지역을평정하던기원전195년말~194년초사이로보기도한다.주발의군대가물러간다음에는허위보고가통할수없기에위만의정변시기를이시기로한정해보는것이다.위만의정변시기를추정할수있는또다른단서는위만조선이성립하고한나라와맹약을맺은시기가‘효혜고후시(孝惠高后時)’라는사실이다.『사기』에서‘효혜고후시’는혜제(惠帝)의재위기간인기원전194~188년에만나타나는용법이다.따라서위만의정변은기원전188년이전이었던것은분명하다.특히요동태수가연왕을거치지않고맹약을맺었다는점에서연왕이연소(年少)한시기이고한나라가대외적으로안정된시기인혜제3~4년인기원전192~191년으로좁혀서이해하기도한다.위만이이시기에한나라와외신관계를맺었다면위만조선이성립한것은늦어도기원전191년일것이다.따라서위만이노관의반란시점에망명했다면불과1~4년사이에고조선이멸망하고위만조선이성립한것이다._<위만의정변과정과위만조선건국>중

정변의명분을정리해보면다음과같다.주몽은천제의아들이라는점이중요하게작용했으며,유리왕은선대왕과혈연적으로이어져있음을보여주는증거로‘칼’을들었다.이는주몽이활을통해송양을제압해나가는‘무력’과도통한다.즉,신성한천손이라는혈연성과‘활과칼’이라는무력두가지가중요하게다루어졌다.왕실의권위와현실적힘,두가지를갖춰나가던모습을반영한것이라고하겠다.민중왕대부터정변의명분으로‘유소’,‘노쇠’,‘폭정’,‘과도한수취와노역’등을내세우기시작했다.점차통치대상인백성을향해있다는점이눈에띈다.한마디로초기에신화에가탁하거나자격을논했지만이후점차민생등현실문제로이어졌음을엿볼수있다.후기에는명분을특정하기어렵다.정변주도세력이바뀌어가는모습도어렴풋이확인된다.전기에는혈연을매개로한족적(族的)기반이강했다.차대왕대는관나·환나·비류나등다수부세력들이결집하는모습을보인다.신대왕대는지인(至仁)의가치를언급하고있는데,사상적으로이를따르는세력과연대하였을가능성이있다.고국천왕대신진인사인을파소의국상임명에서도엿볼수있다.장수왕은평양으로천도했다._<고구려사에보이는‘정변(政變)’과역사적의미>중

따라서어느사회든국왕의계승관계란기본적으로수직적인승계가특정시점에는존재할수밖에없다.그렇기에‘세대계승’의가능성은향후자세한논의가필요하겠지만,적어도고구려에서도빈번한형제계승의사례만을근거로초기에부자계승의원칙이존재하지않았다고볼필요까지는없을것이다.즉고구려에서는초기부터왕위계승은부자계승이기본적인원칙이었으며,형제간의계승은당대의특수한사정으로인해이루어진것으로보아야한다고생각된다.그리고초기에유독형제계승이빈번했던별도의사회적배경을가정하고이를추적하는것이고구려의왕위계승에대한좀더안전한접근방식이아닐까싶다.이러한관점에서고구려초기형제계승을정당화하는사례,즉아들이있었는데도형제간의계승을우선시했던사례를논의해볼필요가있다.그런데고구려본기에서전하는형제간의계승은민중왕의사례만제외하면모두사료내에서는납득할만한배경에제시되고있었다.예컨대산상왕같은경우고국천왕이자식이없는특수한상황에서즉위가이루어졌던것이다._<고구려차대왕의정변과초기왕위계승의원칙>

『일본서기』를통해살펴볼수있는백제의정변현황은4세기말,5세기초,6세기초,7세기초에국한된다.
우선4세기말에는진사왕의왕위찬탈과정변에의한죽음의실상을파악할수있었고,5세기초에는비유왕에의한정변의정황을살펴볼수있었다.또한6세기초에는동성왕시해사건의배후에무령왕이개입했을가능성을타진해볼수있었으며,7세기초의자왕대에는초기전제왕권을확립하기위한친위쿠데타성격의정변이있었음을확인할수있었다.그중진사왕에의한왕위찬탈과비유왕에의한정변,의자왕의친위쿠데타등은기존『삼국사기』를통해서는확인하지못했던기록이다.백제멸망후백제유민들에의해전해진백제측의사료를통해『일본서기』가구성되었다고추측되는만큼『일본서기』에나오는백제관련사료에대한면밀한검토를필요로하고있다._<『일본서기(日本書紀)』에보이는백제의정변에대한고찰>중

특히문제가되는것은이들의왕위계승과정에나타난불합리성이다.먼저고이왕은초고왕의손자인7대사반왕다음에왕위에올랐다.그리고고이왕의손자인10대분서왕을이어서다시초고왕의손자인비류왕이왕위에오른다.알기쉽게[그림-1]을보면,백제본기에서는5~7대초고계를이어서8~10대고이계가등장하고,다시11대비류왕부터초고계로왕위가돌아가는것을확인할수있다.이계보대로라면왕위계승의원칙이어색해지고,고이왕과비류왕이즉위할때나이가문제가되어백제의초기왕계를합리적으로이해할수가없다.그렇다면이러한문제들을어떻게받아들여야할까?바로초고계와고이계가같은시기에교립또는양립했을가능성을상정해볼수있다.즉두왕계의기점이라고할수있는초고왕과고이왕이비슷한시기에활동했음에도백제본기에서는선후관계로나열된것으로보는것이다.이렇게이해할경우,일단초고왕과고이왕을모두개루왕의자식으로설정한궁금증은풀린다.그렇지만백제본기초기왕들의재위시기나각왕대있었던사건들의기년등해결하기어려운문제가또다시제기될수밖에없다.무엇보다백제초기왕위계승을역사적으로이해하기가매우어렵다._<백제초기왕위계승과정변>중

이글에서는신라상대의왕위계승과그가운데발생한정변의내용을다루었다.또한상대의정변을통해서왕권이어떻게확립되어갔는지를살펴보았다.먼저,통상한왕조가혈통에의해서왕위가계승된다는원칙에주목하여『삼국사기』초기기록에보이는성씨의사용문제를‘박·석·김’3성의사용시기와연관하여검토해보았다.또한한자의사용현황을중심으로신라초기에는그사용이여의찮았다는점에착안하여,박씨와석씨,그리고김씨라는설정이중고기에비로소등장하였으며,구체적으로는‘성김씨’에의한『국사』편찬과정에서박씨와석씨의성씨가새롭게부여된것으로추정하였다.그결과상고의왕위계승사료도진흥왕대의『국사』편찬과정에서소급적용된것으로이해하였다.다음으로,중고의정변과왕권의확립과정에서는진지왕의폐위와진평왕의즉위,선덕왕과국인에주목하였다.이는『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적시된내용이서로다른형태로기록되었으며,따라서이러한사료를어떻게해석할것인지하는문제때문이었다.이를위해사료의행간에드러나는역사적사실을변증해보려고하였다.기왕의연구성과를토대로하면서새로운방법론을제시하였는데,하나는진지왕의사망일자의사실성,또하나는장지의분포문제등에주목하였다.그결과진평왕의즉위는정변에의한왕위계승이었다는점,또한선덕왕과국인의관계에주목하여그또한정변에의한왕위계승이었음을살펴보았다._<신라상대(上代)의왕위계승과정변>중

쿠데타는체제내중요권력을가진인물이나소수그룹이갑작스럽고불법적인방법으로정부를전복하고권력을장악하는정치행위이다.신라하대는이같은쿠데타가빈번하게발생했던시기로,155년동안13차례의쿠데타가시도되어총4건,약30%가실제왕위찬탈에성공했다.성공한쿠데타로는780년에일어난김양상의쿠데타,785년에일어난김경신의쿠데타,809년에일어난김언승의쿠데타,그리고838년에일어난김명의쿠데타가있다.이들성공한쿠데타는하대시작후약60년동안에집중된반면,840년대이후에시도된모든쿠데타는실패로종결되었다.이는하대후반부의왕들이쿠데타를적극적으로대비한결과이기도하지만,한편으로는쿠데타보다지방정치세력의반란,백성들의봉기,새로운국가건설등다양한저항방식이나타났고,이는중앙귀족중심의신라사회가해체되어가는과정과일치했다.신라하대에쿠데타로집권한왕들은즉위후빠른시간내로대외교섭을시작하였다.선덕왕,원성왕,헌덕왕등은모두즉위후2년이내당에사신을파견했으며,첫대외교섭상대국은모두당이었다.이들의외교활동은쿠데타로인한정치적불안정성을극복하고국제적정당성을확보하기위한노력으로보인다._<신라하대의쿠데타와대외교섭>중

발해의천도는그국가의정치,경제,문화또는군사상의중심지이동을수반한다.당시발해에게있어서는가장중대한사건이아닐수없다.2000년대초용두산고분에서2명의발해황후의릉이발굴되며,발해의건국지와수도는대략중국길림성연변조선족자치주와흑룡강성영안일대로좁혀졌다.상경으로의천도에서언급된‘구국’이바로고구려지역에서의발해일것이고,옮겨간‘신국’은상경에서의새로운발해라할수있다.동경에서상경으로의천도는‘옛나라(구국)’를벗어났다는점에서발해역사에서변혁적인행위임에분명하다.발해왕위계승에서변혁적사건은문왕사후,대원의,강왕대숭린,그리고선왕대인수즉위과정에서발생하였다.대원의는왕위계승후보였던대화여의나이가어렸던점,대원의가‘족제’신분인점,그리고차지하고있던위치도즉위배경이되었을것이다.대숭린의즉위에보이는정변적요소로는왕위에오르기전에적지않은곤란을겪었고,대숭린이문왕이갖고있던책봉칭호를당나라에요청하고서야겨우받은데서엿볼수있다.대숭린의아들인간왕의황후가문왕황후와함께정효공주무덤이있는‘진릉대’라는공동의공간에,그것도지근거리에묻혀있다는것은이들이서로혈연적으로밀접하고친근한관계임을드러낸다._<발해역사의변혁(變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