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여자 교육서와 여성 교육 담론 변천 - 근대여자교육담론 1

한국의 여자 교육서와 여성 교육 담론 변천 - 근대여자교육담론 1

$19.24
Description
조선시대 지식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근대 여자 교육에 대한
새로운 해석
이 책은 조선시대 지식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근대 여자 교육 담론의 특징을 연구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여성 지식인과 여자 교육의 역사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27년 이능화의 ≪조선여속고≫, ≪조선해어화사≫로 볼 수 있다. 이 두 연구서는 근대 이후 형성된 남녀동등권이나 여자 교육 담론을 반영한 것이지만, 제목 자체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여성학의 관점이 아니라 자료 중심의 풍속사를 중심으로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조선여속고≫에서 언급한 혼구(婚媾), 산육(産育), 복식(服飾), 여자 교육 등은 초기 연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처럼 일제강점기까지의 여성사 관련 연구는 대부분 ‘여속(女俗)’과 관련이 있거나, 그 당시의 ‘여성 해방 운동’, ‘신여성’ 등의 용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통시적 관점에서 여성 지식인 문제나 근대의 여자 교육 담론에 관한 다양한 분석은 미흡한 측면이 있다. 특히 여성 지식인 문제는 ≪조선해어화사≫ 등에서 거론된 기녀(妓女) 또는 사대부 부인과 같은 제한적 인물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렇지만 어느 시대, 어떤 사회든지 성역할은 구분될 수밖에 없고, 그 속에서 남녀를 분별하는 특수한 형태의 교육이 존재하는 것은 보편적 현상이다.
이 책은 저자가 지금까지 수행해 온 여자 교육 연구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 연구자 지원 사업 ‘조선시대 지식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근대의 여자 교육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NRF-2019S1A5A01041679)의 성과물을 담고 있다. 따라서 제2장 ‘조선시대 여자 교육과 여성 지식인’에서는 조선시대 여자 교육의 특징을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조선시대 여자 교훈서의 유형과 의미’를 다룬 3장에서는 전통적인 여자 교육의 특징을 교재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했으며, 제4장 ‘여훈서 편찬・전승 양상과 여성의 문자 생활’은 여훈서의 전승 및 수용 과정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제5장 ‘근대적 여성관으로의 변화’에서는 근대의 여성관 형성 과정과 특징을 분석하되, 담론의 내용과 현실의 괴리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6장은 근대식 학제 도입 이후 여성관의 변화와 여성 운동, 여자 교육과 관련된 담론 분석에 천착하고자 했다. 제7장 ‘근대의 가정학과 여자 교육’은 역술 문화가 일반화된 근대 시기에 가장 강조되었던 가정교육 담론 및 교재 분석을 목표로 한 글이다. 이와 함께 제8장에서는 ‘근대 지식 형성에 따른 여성 인물 발굴의 의의와 한계’를 다루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작성한 ‘여자 교육사 관련 기초 데이터’를 부록으로 덧붙였다.
저자

김경남

저자:김경남
건국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같은대학원에서<한국고전소설에나타난전쟁소재연구>로박사학위를받았다.건국대,경기대,성신여대,협성대,단국대에서고전문학과글쓰기를강의하였으며,건국대강의교수,단국대HK연구교수를거쳐,부경대학술연구교수로재직중이다.
‘시대의창:자의식과재현의모티프로서근대기행담론과기행문의발전과정’(한국연구재단저술지원프로젝트),‘근현대학문형성과계몽운동의가치’(한국학중앙연구원근대총서개발프로젝트),‘한국에영향을미친중국의근대지식과사상연구’(일반공동연구),중견연구자지원사업으로‘조선시대지식사회에서여성의역할과근대의여자교육에대한인문학적연구’를수행하였다.현재한국연구재단의저술출판지원사업으로‘계몽의시대여성담론과여자교육의내용구조’를진행하고있으며,‘근현대기행문학의크로노토프적재현과상상’을주제로학술연구를진행하고있다.
주요저서로는≪서사문학의전쟁소재와그의미≫(보고사,2007),≪시대의창:자의식과재현의모티프로서근대기행담론과기행문의발전과정≫(경진출판,2018),≪지식의구조와한중일지식지형변화의탐색≫(공저,경진출판,2019)등이있으며,‘지식유통의관점에서본근대한국의탐험문학형성과의미’를비롯한60여편의논문을발표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서론
1.연구목적
2.연구대상과방법
3.선행연구

제2장조선시대여자교육과여성지식인
1.서론
2.조선시대여성지식인과교육
3.봉보부인(奉保夫人)과여사(女師)
4.견외견학(肩外見學)의가풍(家風)
5.모교(姆敎)전통
6.특수계급의지식교육
7.결론

제3장조선시대여자교훈서(여훈서)의유형과의미
1.서론
2.조선시대여자교육과여훈서의유형분류
3.여훈서(女訓書)의유형
4.결론

제4장조선시대여훈서편찬전승양상과여성의문자생활
1.서론
2.조선시대여훈서의편찬전승양상
3.여훈서와여성의문자생활
4.결론

제5장풍속에서의식으로,근대적여성관의태동
1.서론
2.근대여성관의변화:풍속에서의식으로
3.지식교류와근대적여성관

제6장근대계몽기신문소재논설의여성문제와여자교육담론의분포와의미
1.서론
2.신문소재여성문제와여자교육담론의분포와내용
3.여성문제와여자교육담론의의미
4.결론

제7장근대의가정학과여자교육
1.서론
2.근대지식수용과역술(譯述)의필요성
3.근대계몽기역술인포(印布)의특징
4.역술문화상(譯述文化上)으로본이기(1908)의‘가정학설’
5.결론

제8장근대지식형성에따른여성인물발굴의의의와한계
1.서론
2.근대적여성관의형성과여성인물의역할
3.≪여자독본≫과≪일사유사≫의여성인물분포및유형
4.결론

[부록]여자교육사관련기초데이터
1.문헌중심여성교육자료
2.여성사연구관련주요문헌목록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조선시대지식사회에서여성의역할과
근대여자교육에대한
새로운해석

이책은조선시대지식사회에서여성의역할과근대여자교육담론의특징을연구하는데목표를두고있다.우리나라에서여성지식인과여자교육의역사에관한연구가시작된것은1927년이능화의≪조선여속고≫,≪조선해어화사≫로볼수있다.이두연구서는근대이후형성된남녀동등권이나여자교육담론을반영한것이지만,제목자체가시사하는바와같이여성학의관점이아니라자료중심의풍속사를중심으로한것이라고볼수있다.그럼에도≪조선여속고≫에서언급한혼구,산육(産育),복식(服飾),여자교육등은초기연구로서중요한의미를갖는다.이처럼일제강점기까지의여성사관련연구는대부분‘여속(女俗)’과관련이있거나,그당시의‘여성해방운동’,‘신여성’등의용어와밀접한관련을맺고있다.통시적관점에서여성지식인문제나근대의여자교육담론에관한다양한분석은미흡한측면이있다.특히여성지식인문제는≪조선해어화사≫등에서거론된기녀(妓女)또는사대부부인과같은제한적인물중심의연구가대부분이었다.그렇지만어느시대,어떤사회든지성역할은구분될수밖에없고,그속에서남녀를분별하는특수한형태의교육이존재하는것은보편적현상이다.
이책은저자가지금까지수행해온여자교육연구와한국연구재단의중견연구자지원사업‘조선시대지식사회에서여성의역할과근대의여자교육에대한인문학적연구’(NRF-2019S1A5A01041679)의성과물을담고있다.따라서제2장‘조선시대여자교육과여성지식인’에서는조선시대여자교육의특징을정리하는데중점을두었다.‘조선시대여자교훈서의유형과의미’를다룬3장에서는전통적인여자교육의특징을교재중심으로분석하고자했으며,제4장‘여훈서편찬전승양상과여성의문자생활’은여훈서의전승및수용과정을분석하는데초점을맞추었다.제5장‘근대적여성관으로의변화’에서는근대의여성관형성과정과특징을분석하되,담론의내용과현실의괴리가갖는의미가무엇인지를규명하는데중점을두었다.제6장은근대식학제도입이후여성관의변화와여성운동,여자교육과관련된담론분석에천착하고자했다.제7장‘근대의가정학과여자교육’은역술문화가일반화된근대시기에가장강조되었던가정교육담론및교재분석을목표로한글이다.이와함께제8장에서는‘근대지식형성에따른여성인물발굴의의의와한계’를다루고자하였다.연구를진행하면서작성한‘여자교육사관련기초데이터’를부록으로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