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읽는 월인석보 13

쉽게 읽는 월인석보 13

$30.80
Description
≪쉽게 읽는 월인석보≫는 중세 국어 학습자들이 ≪월인석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을 편찬하겠다는 원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책의 내용과 형식을 구성하였다.
첫째, 현재 남아 있는 ≪월인석보≫의 권 수에 따라서 이들 문헌을 현대어로 옮겼다. 이에 따라서 ≪월인석보≫의 1, 2, 4, 7, 8, 9, 10, 11, 12, 13 등의 순서로 현대어 번역 작업이 이루진다. 둘째, ≪월인석보≫의 원문의 영인을 페이지별로 수록하고, 그 영인 바로 아래에 현대어 번역문을 첨부했다. 셋째, 그리고 중세 국어의 문법을 익히는 이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문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어휘를 현대어로 풀이하고 각 어휘에 실현된 문법 형태소를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다. 넷째, 원문 텍스트에 나타나는 불교 용어를 쉽게 풀이함으로써, 불교의 교리를 모르는 일반 국어학자도 ≪월인석보≫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책의 말미에 [부록]의 형식으로 [원문과 번역문의 벼리]를 실었다. 여기서는 ≪월인석보≫의 텍스트에서 주문장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협주문(夾註文)을 생략하여 본문 내용의 맥락이 끊기지 않게 하였다. 여섯째, 책에 쓰인 문법 용어와 약어(略語)의 정의와 예시를 책머리의 ‘일러두기’와 [부록]에 수록하여서, 책을 통하여 중세 국어를 익히려는 독자에게 도움을 주었다.

저자

나찬연

저자:나찬연
지은이나찬연은1960년에부산에서태어났다.부산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나오고(1986),같은학교대학원에서문학석사(1993)와문학박사(1997)학위를받았다.지금은경성대학교국어국문학과에서교수로재직하고있으면서국어학,국어교육,한국어교육분야의강의를맡고있다.특히‘학교문법교실’의교육용홈페이지를운영하면서고등학교문법의이론을널리보급하는데에힘쓰고있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월인석보≫의해제
≪월인석보제십삼≫의해제
현대어번역과형태소분석
[부록]‘원문과번역문의벼리’와‘문법용어풀이’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쉽게읽는월인석보

≪쉽게읽는월인석보≫는중세국어학습자들이≪월인석보≫를쉽게이해할수있는책을편찬하겠다는원래의취지를살리기위하여,다음과같은방법으로책의내용과형식을구성하였다.
첫째,현재남아있는≪월인석보≫의권수에따라서이들문헌을현대어로옮겼다.이에따라서≪월인석보≫의1,2,4,7,8,9,10,11,12,13등의순서로현대어번역작업이이루진다.둘째,≪월인석보≫의원문의영인을페이지별로수록하고,그영인바로아래에현대어번역문을첨부했다.셋째,그리고중세국어의문법을익히는이들에게편의를제공하기위하여,원문의텍스트에나타나는어휘를현대어로풀이하고각어휘에실현된문법형태소를형태소단위로분석하였다.넷째,원문텍스트에나타나는불교용어를쉽게풀이함으로써,불교의교리를모르는일반국어학자도≪월인석보≫의내용을이해할수있도록하였다.다섯째,책의말미에[부록]의형식으로[원문과번역문의벼리]를실었다.여기서는≪월인석보≫의텍스트에서주문장의사이에삽입되어있는협주문(夾註文)을생략하여본문내용의맥락이끊기지않게하였다.여섯째,책에쓰인문법용어와약어(略語)의정의와예시를책머리의‘일러두기’와[부록]에수록하여서,책을통하여중세국어를익히려는독자에게도움을주었다.

≪월인석보≫권13의저경이되는≪묘법연화경≫을내용을이해하는데도움

이책은15세기의중세국어로간행된≪월인석보≫권13의내용을현대국어로번역하고,중세국어의문장을형태소단위로분석한강독책이다.독자들은이책을강독함으로써중세국어의모습과함께≪월인석보≫권13의저경이되는≪묘법연화경≫을내용을이해하는데에도움이될것이다.
이책에서번역한≪월인석보≫권13은세조5년(1459)에간행된초간본으로서,권14와합본되어있다.권13에는운문으로된≪월인천강지곡≫의제281장하부에서제282장까지가실려있으며,≪월인천강지곡≫의내용에맞추어서산문으로된≪석보상절≫의내용이실려있다.≪월인석보≫권13의내용은≪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제2권제사(第四)의<신해품(信解品)>과제3권제오(第五)의<약초유품(藥草喩品)>,제3권제육(第六)의<수기품(授記品)>을훈민정음으로언해한것이다.
≪월인석보≫권13의내용은후진(後秦)구자국의구마라집(鳩摩羅什)이한문으로번역한≪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저본(底本)으로하고있다.(전7권28품)≪묘법연화경≫은석가모니부처가가야성(迦耶城)에서도를이루고난뒤에,영산회(靈山會)를열어서자신이세상에나온본뜻을말한경전이다.≪묘법연화경≫은옛날로부터모든경전들중의왕으로인정받았고,초기대승경전(大乘經典)중에서도가장중요한불경으로인정받았다.우리나라에서는≪화엄경≫(華嚴經)과함께한국불교사상을확립하는데에가장크게영향을미친경전이되었다.

제2권제4품<신해품>
<신해품(信解品)>은≪묘법연화경≫의제2권의제4에해당하는품(品)인데,불법(佛法)을바르게이해했을때에바른믿음이일어나는이치를설법한내용이다.
부처님께서는중생의근기(根機)에알맞게법을설하시는데,어리석은수행자는그법을이해하지못하지만지혜있는수행자는그를알고이해하며믿고받아서지닌다.<신해품>에서는이와같은사실을‘아버지(長者)를떠난아들(窮子)’에비유하여설하였다.곧,‘장자와궁자의비유(장자궁자유,長者窮子喩)’는부자인아버지가잃어버린가난한아들을만나서그에게천천히단계를밟아서자신의전재산을상속한다는내용이다.

제3권제5품<약초유품>
<약초유품(藥草喩品)>에서는삼승(三乘)의근성(根性)을초목(草木)에비유하고,부처님이도리로써중생을교화하신것을한(줄기의)비(雨)에비유하였다.비가비록한맛(味)이나그씨(種)가제각각이므로,뿌리와줄기가크며작은것이같지아니하다.이와마찬가지로법(法)이비록한상(相)이지만,중생들이근기(根機)가날카로운이와무딘이가있으므로그들이도과(道果)를깨닫는것이각각다르다는것이다.

제3권제6품<수기품>
석가모니부처님께서는<방편품>,<비유품>,<신해품>,<약초유품>을통해서모든사람들에게불법의뜻을자세히설법하였다.이에석가모니부처의4대제자인‘마하가섭(摩訶迦葉),수보리(須菩提),가전연,목건련’등은그전에소승(小乘)에집착하던태도를버리고대승(大乘)에들게되었고,원만한원인이갖춰져서그과(果)를초래(招來)하였다.이에따라서부처님께서는이들제자에게기별(記別)을주면서그들이앞으로성불(成佛)할것이라고수기(授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