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오래도록 바라본 사물들은 이전의 그것과는
조금 다르다 싶은 그 무엇이 되어
가장 적당한 무게로 바로 거기에 ‘있다’.
가볍지 않고, 무겁지 않다.
조금 다르다 싶은 그 무엇이 되어
가장 적당한 무게로 바로 거기에 ‘있다’.
가볍지 않고, 무겁지 않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회화를, 뉴욕의 프랫 인스티튜트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한 사진작가 김수강의 작품집 『그것다운』이 출판사 난다에서 출간되었다. 국내외에서 23회의 개인전을 열었고 여러 번의 단체전에 참여하며 1997년부터 2024년까지 그가 작업해온 ‘시간’의 모음집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들을 잴 수 있겠는가 하면, 가늠이 되겠는가 하면, 애초에 그의 사진에 있어 가리키는 방향에 수(數)는 없었다. 하여 시대별로 나란하게 놓지 않고, 주제별로 가름하여 나누지 않았다. 대신 우연인 듯 필연처럼 그와 마주해온 ‘사물’, 그들 고유의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보았다. 부르니까 차례가 생겼다.
‘깊고 조용한 아우라를 가지고 그저 거기에 있는 사물들을 오래 느리게 가만히 보는 일’ 그리하여 ‘고요 속 그것들이 마침내 가장 그것다운 모습으로 보이는 순간’을 사진 작업으로 담아온 그다. 그의 작품 속에서 사물들은 ‘깊은 호흡이 주는 몸과 마음의 충만한 현존감’(작업 노트)을 닮아 있기에 시인들, 문인들의 책에 맞춤한 표지로 옷이 되어주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따라서 이 작품집에는 그와 호흡을 맞추었거나 작품의 결과 닮은 시인들과 문인들 열일곱 명의 글을 갈피 갈피에 싣고 사진 세계를 보다 풍요롭게 이해하도록 도와줄 박영택 미술평론가, 현혜연 사진학과 교수, 김민정 시인의 리뷰를 실었다.
김수강 작가는 난다 출판사에서 2024년 론칭한 시인들의 에세이, 시의적절 시리즈 열두 달의 얼굴이 되어 독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김수강 작가의 작품들은 매일 반복되는 듯한 하루에서 작은 새로움을 발견하게 하는 미덕이 있다. 그것은 그가 택한 작업이 갖는 고도의 집중력과 수고로움이 빚어낸 아우라가 아닐까. 박영택, 현혜연에 따르면 김수강 작가는 디지털 프로세스를 마다하고 물감이 섞인 유제를 바르고 마르기를 몇 번씩 반복한 후에야 비로소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얻는 19세기 프린트 기법 검 바이크로메이트(Gum Bichromate)를 택해 사물을 형상화한다. 검 프린트는 사진과 판화, 회화의 속성을 두루 가진 매체로 고전적이면서도 수공예적인, 복잡하고 지난한 인내의 과정을 거친 후에 작가가 새롭게 해석하고 표현한 이미지를 탄생시킨다.
그러한 그의 작업에 맞춤하도록 FSC® 인증을 받은 친환경 종이를 고르는 데에도 고심이 컸다. 본문은 스웨덴의 감성을 담은 두성종이의 문켄폴라를 사용해 자연스러운 질감과 함께 풍부한 볼륨에 작품의 빛깔이 은근히 배어나게 했다. 또한 표지에는 그의 사진이 지닌 독특한 질감을 구현해내고자 삼원 특수지 모던 시티를 사용했다. 돌, 콘크리트, 철강 건축의 3요소를 활용해 현대 도시건축물의 감성을 표현하고자 한 이 종이는 오래된 도시들이 풍화하고 변화하면서 만들어낸 차분하고 세밀한 텍스쳐를 담고 있어 종이 표면을 손으로 쓸어보면 그 건축물의 아름다운 숨결이 이 한 장에 스민 듯한 감동을 준다.
김수강의 사물은 정물의 방향을 가리키지도, 생물의 방향을 가리키지도 않는다. 정물도 생물도 아니다. 사물이다! ‘있음’을 사물이라고 할 때, 오로지 사물, 다만 사물, 아니 그 어떤 부사도 형용사도 거느리지 않는, ‘있음’, 곡선만으로 이루어지는 ‘사물’이다.
김수강의 사물은 열려 있다. 존재하지 않으려는 방향으로. 이 방향은 그가 포착한 사물이 모두 우리의 삶에서 일어났던 사건이라는 반증이다.
_이원, 「돌은 열려 있다 존재하지 않으려는 방향으로」 부분
‘깊고 조용한 아우라를 가지고 그저 거기에 있는 사물들을 오래 느리게 가만히 보는 일’ 그리하여 ‘고요 속 그것들이 마침내 가장 그것다운 모습으로 보이는 순간’을 사진 작업으로 담아온 그다. 그의 작품 속에서 사물들은 ‘깊은 호흡이 주는 몸과 마음의 충만한 현존감’(작업 노트)을 닮아 있기에 시인들, 문인들의 책에 맞춤한 표지로 옷이 되어주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따라서 이 작품집에는 그와 호흡을 맞추었거나 작품의 결과 닮은 시인들과 문인들 열일곱 명의 글을 갈피 갈피에 싣고 사진 세계를 보다 풍요롭게 이해하도록 도와줄 박영택 미술평론가, 현혜연 사진학과 교수, 김민정 시인의 리뷰를 실었다.
김수강 작가는 난다 출판사에서 2024년 론칭한 시인들의 에세이, 시의적절 시리즈 열두 달의 얼굴이 되어 독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김수강 작가의 작품들은 매일 반복되는 듯한 하루에서 작은 새로움을 발견하게 하는 미덕이 있다. 그것은 그가 택한 작업이 갖는 고도의 집중력과 수고로움이 빚어낸 아우라가 아닐까. 박영택, 현혜연에 따르면 김수강 작가는 디지털 프로세스를 마다하고 물감이 섞인 유제를 바르고 마르기를 몇 번씩 반복한 후에야 비로소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얻는 19세기 프린트 기법 검 바이크로메이트(Gum Bichromate)를 택해 사물을 형상화한다. 검 프린트는 사진과 판화, 회화의 속성을 두루 가진 매체로 고전적이면서도 수공예적인, 복잡하고 지난한 인내의 과정을 거친 후에 작가가 새롭게 해석하고 표현한 이미지를 탄생시킨다.
그러한 그의 작업에 맞춤하도록 FSC® 인증을 받은 친환경 종이를 고르는 데에도 고심이 컸다. 본문은 스웨덴의 감성을 담은 두성종이의 문켄폴라를 사용해 자연스러운 질감과 함께 풍부한 볼륨에 작품의 빛깔이 은근히 배어나게 했다. 또한 표지에는 그의 사진이 지닌 독특한 질감을 구현해내고자 삼원 특수지 모던 시티를 사용했다. 돌, 콘크리트, 철강 건축의 3요소를 활용해 현대 도시건축물의 감성을 표현하고자 한 이 종이는 오래된 도시들이 풍화하고 변화하면서 만들어낸 차분하고 세밀한 텍스쳐를 담고 있어 종이 표면을 손으로 쓸어보면 그 건축물의 아름다운 숨결이 이 한 장에 스민 듯한 감동을 준다.
김수강의 사물은 정물의 방향을 가리키지도, 생물의 방향을 가리키지도 않는다. 정물도 생물도 아니다. 사물이다! ‘있음’을 사물이라고 할 때, 오로지 사물, 다만 사물, 아니 그 어떤 부사도 형용사도 거느리지 않는, ‘있음’, 곡선만으로 이루어지는 ‘사물’이다.
김수강의 사물은 열려 있다. 존재하지 않으려는 방향으로. 이 방향은 그가 포착한 사물이 모두 우리의 삶에서 일어났던 사건이라는 반증이다.
_이원, 「돌은 열려 있다 존재하지 않으려는 방향으로」 부분
그것다운 : 김수강 사진집 (양장)
$4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