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와 20세기 초기 영국·미국의 철학 - 코플스턴 철학사 8 (양장)

19세기와 20세기 초기 영국·미국의 철학 - 코플스턴 철학사 8 (양장)

$36.97
Description
철학사를 처음 접하는 이들을 위하여,
공리주의와 실용주의 등, 영국과 미국의 철학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위하여
코플스턴 철학사 제8권은 19세기와 20세기 초기의 영국과 미국의 철학을 소개하고 있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전반에 활동한 벤담을 비롯해 존 스튜어트 밀, 스펜서, 브래들리부터 퍼스, 듀이, 무어, 러셀 등의 인물들이 관념론적 관점에 따라 다루어지고 있다.
철학사 제8권은 전체 5부로 구성된다.
제1부에서는 「영국의 경험론」이란 제목 아래에 벤담, 제임스 밀,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의 논리학과 경험론, 연합주의 심리학, 영국의 실증주의 철학, 진화 철학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영국 경험론은 대개 로크에서 시작하여 버클리를 거쳐 흄에 이르는 영국의 철학을 의미한다.
제2부는 「영국의 관념론 운동」을 다루고 있다. 영국의 관념론은 독일의 사상, 특히 칸트와 헤겔로 이어지는 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영국의 관념론 성향은 몇 가지 갈래를 거쳐 브래들리와 보전켓의 절대적 관념론과 이에 대한 반동으로 인격적 관념론이 탄생했다. 인격적 관념론의 대표적인 인물은 맥타가르트였다.
제3부는 「미국에서의 관념론」을 다룬다. 초기 미국의 철학은 계몽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나, 대륙의 여러 철학에 영향을 입은 가운데 점차 독자적인 길을 개척하여 소위 ‘미국 철학’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그 효시가 미국의 관념론 철학이었다. 에머슨, 해리스 등의 사변 철학을 거쳐 로이스의 관념론 철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로이스 관념론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서 인격적 관념론을 비롯하여 여러 갈래의 관념론이 나타났으며, 관념론과 실재론의 대립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제4부는 「실용주의 운동」을 다루고 있다. 미국 실용주의 운동의 창시자는 찰스 샌더스 퍼스였다. 그의 실용주의는 논리학의 성격을 강하게 갖는다. 이로써 퍼스의 기호학이 탄생했다. 그는 기호의 분석을 통해 어떤 지적 개념의 진리성에서 어떤 실제적인 결과가 나올 것인가를 고려해야 하며, 이런 결과들의 총계가 그 개념의 전체 의미를 이룰 것이라고 주장한다.
제5부는 영국과 미국의 실재론, 특히 영국의 실재론을 다루고 있다.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의 지배적인 움직임은 관념론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발로 실재론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인물이 옥스퍼드 대학교의 논리학 교수를 역임했던 존 쿡 윌슨이었다. 그는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라는 버클리의 주장을 부정하고, 실재론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런 입장에 프리처드와 조셉 등이 참여했다.

저자

프레드릭코플스턴

저자:프레드릭코플스턴
말보로(Marlborough)대학과옥스퍼드대학교의성요한대학(St.John’sCollege)을졸업하고,1929년로마에있는교황청직속신학교그레고리오(Gregorian)대학교에서철학박사학위를받았다.1925년그리스도교에입문하여,1930년예수회회원이되었고,1937년신부서품을받았다.1939년부터1969년까지런던대학교철학과교수로재직했으며,1970년에서1974년까지헤이드롭(Heythrop)대학교의학장을지내고,런던대학교의명예교수로있다가1994년2월영국런던에서별세했다.

역자:이남원
경북대학교에서『칸트의선험적논증』으로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부산대학교사범대학윤리교육과명예교수로있다.칸트의『실용적관점에서본인간학』,『칸트의형이상학강의』와칸트전집번역(전15권,한길사)중1,2,10권의공동번역에참여하였다.코플스턴『철학사전집』의제3권『후기스콜라철학과르네상스철학』,제6권『프랑스·독일의계몽주의와칸트』의공동번역자이다.

역자:정용수
부산대학교철학과박사과정을수료하고,경성대학교교육학과에서『칸트교육론의비교연구』로교육학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신라대학교교양과정대학조교수(교육전담)로재직중이다.코플스턴『철학사전집』의제3권『후기스콜라철학과르네상스철학』,제6권『프랑스·독일의계몽주의와칸트』의공동번역자이다.

목차


저자서문
감사의말씀

제1부영국의경험론

제1장공리주의운동(1)
1.개관
2.벤담의생애와저작
3.벤담주의의원리들과몇가지비판적의견
4.제임스밀의생애와저작
5.이타주의와연합주의심리학:밀의매킨토시반박
6.제임스밀의마음에관한이론
7.벤담주의경제학에대한논평

제2장공리주의운동(2)
1.존스튜어트밀의생애와저작
2.밀의공리주의윤리학의전개
3.밀:시민의자유와정부
4.심리적자유

제3장존스튜어트밀:논리학과경험론
1.개관
2.명사그리고사실명제와언어명제
3.수학의본성
4.삼단논법적추론
5.귀납과자연의제일성원리
6.인과법칙
7.실험적탐구와연역
8.도덕과학의방법
9.감각의영구적가능성으로서의물질
10.마음의분석과유아론의망령
11.밀의종교론과자연신학

제4장경험론자,불가지론자,실증주의자
1.알렉산더베인과연합주의심리학
2.공리주의자베인
3.시즈윅:공리주의와직관주의의결합
4.찰스다윈과진화철학
5.헉슬리:진화,윤리학,불가지론
6.과학적유물론과불가지론:존틴달과레슬리스티븐
7.로마네스와종교
8.실증주의:콩트주의자들,루스,클리포드,퍼슨
9.키드:결론적고찰

제5장허버트스펜서의철학
1.생애와저작
2.철학의본성,철학의기본개념과원리
3.진화의일반법칙:진화와소멸의변화
4.사회학과정치학
5.상대윤리학과절대윤리학
6.종교와과학에서불가지자
7.결론적고찰

제2부영국의관념론운동

제6장관념론운동의시작
1.예비적인역사적개관
2.문헌적선구자들:콜리지와칼라일
3.페리어와주관-객관의관계
4.현상론과쾌락주의에대한존그로테의공격
5.그리스철학과헤겔에관한관심의부상:조ㅤㅇㅞㅅ과스털링

제7장관념론의발전
1.영국경험론과독일사상에대한그린의태도
2.영원한주관에관한그린의이론과몇가지비판적논평
3.그린의윤리이론과정치이론
4.에드워드케어드와주관-객관구별의토대가되는통일
5.존케어드와종교철학
6.월리스와리치

제8장절대적관념론:브래들리
1.개관
2.비판적역사의전제들
3.도덕그리고종교에서도덕의자기초월
4.논리학과형이상학의연관성
5.형이상학의기본전제
6.현상:사물과그것의성질들,관계들과항들,공간과시간,자아
7.실재:절대자의본성
8.진리와실재의등급
9.오류와악
10.절대자,신,종교
11.브래들리의형이상학에대한비판적논의

제9장절대적관념론:보전켓
1.생애와저작
2.논리학:판단과실재
3.개별성의형이상학
4.보전켓의국가철학
5.보전켓에대한홉하우스의비판
6.홀데인의헤겔주의와상대성
7.요아킴과정합적진리론

제10장인격적관념론으로의전환
1.프링글-패티슨과인간인격의가치
2.맥타가르트의다원론적관념론
3.워드의다원론적정신론
4.일반적논평

제3부미국에서의관념론

제11장서론
1.미국철학의시작:존슨과에드워즈
2.미국의계몽주의:프랭클린,제퍼슨
3.스코틀랜드철학의영향
4.에머슨과선험론
5.해리스와사변철학의계획

제12장로이스의철학
1.로이스의기포드강연이전에쓰인그의저작들
2.존재의의미와관념의의미
3.존재에관한세가지적합하지않은이론
4.존재에관한네번째개념
5.유한한자아와절대자:도덕적자유
6.도덕의사회적측면
7.불멸성
8.무한계열과자아표상체계의관념
9.몇가지비판적논평

제13장인격적관념론및다른경향들
1.윤리적다원론의입장에서로이스를비판한호위슨
2.르콩트의진화적관념론
3.보우네의인격적관념론
4.크레이턴의객관적관념론
5.실베스터모리스와역동적관념론
6.20세기까지연장된관념론
7.관념론과실재론의대립을넘어서려는시도

제4부실용주의운동

제14장퍼스의철학
1.퍼스의생애
2.진리의객관성
3.보편적의심방법의거부
4.논리학,관념,실용주의적의미분석
5.실용주의와실재론
6.실용주의적의미분석과실증주의
7.순수윤리와실천윤리
8.퍼스의형이상학과세계관
9.퍼스사상에대한몇가지논평

제15장제임스와쉴러의실용주의
1.윌리엄제임스의생애와저작
2.제임스의근본적경험론과순수경험의개념
3.의미론으로서의실용주의와진리론으로서의실용주의
4.제임스의철학에서근본적경험론,실용주의,휴머니즘간의관계
5.실용주의와신에대한신앙
6.미국과영국에서의실용주의
7.실러의휴머니즘

제16장존듀이의실험주의
1.생애와저작
2.자연주의적경험론:사고,경험,인식
3.철학의기능
4.도구주의:논리와진리
5.도덕이론
6.사회이론과교육이론의몇가지함의
7.자연주의철학에서의종교
8.듀이철학에대한몇가지비판적논평

제5부관념론에대한반발

제17장영국과미국의실재론
1.개관
2.옥스퍼드실재론자들
3.옥스퍼드에서의윤리적논의들
4.미국에서의신실재론
5.미국에서의비판적실재론
6.사무엘알렉산더의세계관
7.화이트헤드

제18장무어와분석
1.생애와저작
2.상식적실재론
3.무어의윤리적관념들
4.무어의분석
5.무어의분석실행의예시로서의감각소여이론

제19장버트런드러셀(1)
1.개관
2.『수학의원리』출판까지의생애와저작:러셀의관념론적단계와관념론에대한그의반대,유형이론,기술(記述)이론,수학의논리학으로의환원
3.오컴의면도날및물리적대상과정신에적용되는환원적분석
4.논리적원자론과비트겐슈타인의영향
5.중립적일원론
6.유아론의문제

제20장버트런드러셀(2)
1.비증명적추론의요청과경험론의한계
2.언어:언어의복합성과언어계층구조관념,의미와의의,진리와거짓
3.세계구조의안내자로서의언어

제21장버트런드러셀(3)
1.개관
2.러셀의초기도덕철학과무어의영향
3.본능,마음,정신
4.가치판단과욕망의관계
5.사회과학과권력
6.러셀의종교관
7.러셀의철학관
8.논평

에필로그
부록:존헨리뉴먼
1.개관
2.대학교설교에서종교적믿음의문제에관한뉴먼의접근
3.『동의의문법』
4.양심과신
5.개연성의수렴과추론적감각
6.마무리
참고문헌
이름찾기
내용찾기
역자후기

출판사 서평

철학사를처음접하는이들을위하여,
공리주의와실용주의등,영국과미국의철학에보다많은
관심을가지고있는학생들을위하여
코플스턴철학사제8권은19세기와20세기초기의영국과미국의철학을소개하고있다.18세기후반과19세기전반에활동한벤담을비롯해존스튜어트밀,스펜서,브래들리부터퍼스,듀이,무어,러셀등의인물들이관념론적관점에따라다루어지고있다.
철학사제8권은전체5부로구성된다.
제1부에서는「영국의경험론」이란제목아래에벤담,제임스밀,존스튜어트밀의공리주의,존스튜어트밀의논리학과경험론,연합주의심리학,영국의실증주의철학,진화철학등이다루어지고있다.영국경험론은대개로크에서시작하여버클리를거쳐흄에이르는영국의철학을의미한다.
제2부는「영국의관념론운동」을다루고있다.영국의관념론은독일의사상,특히칸트와헤겔로이어지는사상의영향을강하게받았다.영국의관념론성향은몇가지갈래를거쳐브래들리와보전켓의절대적관념론과이에대한반동으로인격적관념론이탄생했다.인격적관념론의대표적인인물은맥타가르트였다.
제3부는「미국에서의관념론」을다룬다.초기미국의철학은계몽적수준에머물러있었으나,대륙의여러철학에영향을입은가운데점차독자적인길을개척하여소위‘미국철학’을만들어내기시작했다.그효시가미국의관념론철학이었다.에머슨,해리스등의사변철학을거쳐로이스의관념론철학이탄생하게되었다.로이스관념론에대한비판적대안으로서인격적관념론을비롯하여여러갈래의관념론이나타났으며,관념론과실재론의대립을극복하려는시도가이루어졌다.
제4부는「실용주의운동」을다루고있다.미국실용주의운동의창시자는찰스샌더스퍼스였다.그의실용주의는논리학의성격을강하게갖는다.이로써퍼스의기호학이탄생했다.그는기호의분석을통해어떤지적개념의진리성에서어떤실제적인결과가나올것인가를고려해야하며,이런결과들의총계가그개념의전체의미를이룰것이라고주장한다.
제5부는영국과미국의실재론,특히영국의실재론을다루고있다.영국의옥스퍼드대학교의지배적인움직임은관념론이었다.그러나이에대한반발로실재론이성장하기시작했다.대표적인인물이옥스퍼드대학교의논리학교수를역임했던존쿡윌슨이었다.그는존재하는것은지각되는것이라는버클리의주장을부정하고,실재론을인정할필요가있다고생각했다.이런입장에프리처드와조셉등이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