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짚어본 형평운동 : 형평사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며 (양장)

되짚어본 형평운동 : 형평사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며 (양장)

$28.53
Description
형평사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며
국내외 형평운동 연구 성과와 동향을 총망라해
신분제는 5백 년 조선 사회를 지탱한 제도였다. 1894년 신분제가 철폐되었지만, 신분 차별 관습은 20세기에도 계속되었다. 신분제에서 최하층 천민으로 온갖 차별과 억압을 받아온 백정이 1923년 차별 철폐와 평등 대우를 주장하기 위하여 형평사를 창립하고 형평운동을 벌였다. 1935년 대동사로 바뀔 때까지 평등 사회를 지향하며 활동한 형평운동은 일제강점기에 가장 오랫동안 지속한 사회운동으로 기록된다.

저자

김중섭

저자:김중섭
경상국립대학교사회학과교수로정년퇴직한뒤명예교수로있다.
형평운동에관하여『형평운동연구:일제침략기백정의사회사』(1994),『형평운동』(2001,일본어번역본『衡平運動:朝鮮の被差別民·白丁,その歷史とたたかい』,高貞子옮김,大阪:解放出版社,2003),TheKoreanPaekjongunderJapaneseRule:TheQuestforEqualityandHumanRights(London:RoutledgeCurzon,2003),『평등사회를향하여:한국형평사와일본수평사의비교』(2015),『형평운동과인권의시대』(공편,2023)등의저서와여러논문을발표하였다.
인권분야에관하여『인권의지역화:일상생활의인권증진을위하여』(2016),『인권제도와기구:국제사회,국가,지역사회』(공저,2018)등의저서와『한국지역사회의인권:2001진주지역사례연구』(2001),『한국어린이·청소년의인권:진주지역사례연구』(2002),『세계화와인권발전』(공편,2004,일본어번역본『グロバル時代の人權を展望する』大阪:解放出版社,2004)등을엮어냈고,여러논문을발표하였다.
그리고진주지역역사에관하여『사회운동의시대:일제침략기지역공동체의역사사회학』(2012),『진주3.1운동과근대사회발전』(공저,2020)등의저서와여러논문을발표하였다.

목차

책을펴내며

제I부역사와유산

1장.형평운동의역사적과정과의의
1.머리글
2.신분제의폐습타파
3.3.1운동의성과
4.인권회복과증진
5.백정전통산업에대한관의통제와자본침투
6.공동체복원
7.사회적연대강화
8.시류에좌절
9.맺음말

2장.형평운동연구의성과와동향
1.머리글
2.형평운동연구의성과
3.외국에서의형평운동연구성과
4.형평운동연구방법과경향
5.맺음말:형평운동연구활성화를위한제안

3장.형평운동의역사사회학적탐구되짚어보기
1.머리글
2.형평운동연구방법의유산
3.형평운동의역사사회학적분석
4.맺음말

4장.백정의소멸(시론에세이)
1.오늘날의백정잔재
2.백정차별관습
3.형평운동의흔적

5장.형평운동기념사업의발전
1.머리글
2.형평운동70주년기념사업회창립
3.형평운동70주년기념행사
4.형평운동기념탑건립을향하여
5.형평운동기념탑준공:“인간존엄과평등사회를여는날”
6.형평운동80주년기념행사
7.맺음말:형평운동100주년을기리며

제II부인권과연대

6장.형평운동과인권,그리고사회적연대
1.머리글
2.인권인식의변화
3.사회적연대의변화
4.형평사의쇠퇴와활동성격변질
5.맺음말

7장.형평사창립과진주지역형평운동
1.머리글
2.형평사의창립과정
3.형평사창립배경의재검토
4.형평사창립배경의종합적이해
5.창립이후진주지역의형평사활동
6.파벌대립과진주형평사
7.1926년이후의진주형평사
8.맺음말

8장.사회운동가강상호와형평운동
1.머리글
2.출생과교육,그리고사회운동입문
3.진주지역3.1운동과사회운동
4.형평사창립주도
5.형평사지도부의파벌대립
6.진주지역의사회운동참여
7.계속되는형평사파벌대립
8.진주지역현안문제참여
9.대동사참여와일제부역활동
10.맺음말

9장.백정해방운동가장지필
1.머리글
2.출생과성장
3.형평사창립과반형평운동대응
4.형평사혁신활동주도
5.형평사총본부의서울이전
6.고려혁명당사건과형평사지도부의변화
7.해소론과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
8.대동사개칭과일제부역
9.해방이후
10.맺음말

마무리하며:형평운동탐구과정되돌아보기
1.형평운동과의만남
2.차별없는사회,인권의지역화로
3.형평운동연구확장:일본사회와의비교연구
4.진주학을강조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형평사창립100주년을기념하며
국내외형평운동연구성과와동향을총망라해

신분제는5백년조선사회를지탱한제도였다.1894년신분제가철폐되었지만,신분차별관습은20세기에도계속되었다.신분제에서최하층천민으로온갖차별과억압을받아온백정이1923년차별철폐와평등대우를주장하기위하여형평사를창립하고형평운동을벌였다.1935년대동사로바뀔때까지평등사회를지향하며활동한형평운동은일제강점기에가장오랫동안지속한사회운동으로기록된다.
저자는형평사창립지진주에소재한경상국립대학교에서재직하며40여년동안형평운동을연구하였다.이책은저자가2023년형평사창립100주년을맞이하여기획한저술결과이다.
이책은형평운동의역사적과정과의의를논의한뒤,국내외연구성과와동향을총망라하고,형평운동을탐구한저자의연구방법과과정을되짚어보고있다.그리고근대인권운동의금자탑으로평가되는형평운동이1920년대당시로는선구적인인권개념을도입하고인권인식의지평을확장하고이를성취하기위하여다른사회운동단체와협력한연대활동을논의하고있다.
이책의주요성과가운데하나는형평사창립과형평운동을이끈양대지도자인강상호와장지필의활동이력을소상하게규명한것이다.3.1운동을비롯하여진주지역의여러사회운동에참여한직업적사회운동가강상호는비백정출신이지만,백정지도자들과협력하여형평사창립을이끌었다.그러나강상호는창립초기에본사를진주에두자는진주파와서울로이전하자는중부권의서울파가벌인파벌대립의중심에있었다.형평사총본부가서울로이전하여전국적인사회운동으로발전하는상황에서경남지역활동가들은1920년대후반이후에도빈번하게서울의형평사총본부와갈등을벌여형평운동발전을가로막았다.이글은형평사내부의파벌대립중심에있던강상호가진주지역의사회개혁활동에적극적으로참여하였고,또한1935년이익단체로전락하며친일활동을벌인대동사지도자로서보인다면적인모습을밝히고있다.
백정출신인장지필은진주인근의백정을이끌고관찰사에게차별철폐를탄원하는부친의활동을목격하였다.그는1910년일본메이지대학에유학하다가3년만에가정사정으로중도퇴학하고귀국한뒤1923년진주의형평사창립에참여하였다.이후평생에걸쳐백정권익증진을위하여활동한형평운동의핵심지도자였다.형평사를전국조직으로발전시키고형평사원의인권증진과사회적연대를이끈지도자장지필은고려혁명당사건에연루되어투옥되기도하고젊은활동가들의형평사해체시도를막으며갈등을빚기도하였다.형평사의전업활동가장지필은열성적으로형평운동을벌였지만,1930년대초형평사안팎의압박아래형평운동의퇴조를막지못하였다.대동사로개칭한이후활동을중지한장지필은1930년대후반일제가전쟁을벌이며국민총동원과통제를강화하는상황에서다시총본부에참여하며친일활동을벌였다.해방이후장지필은조봉암의진보당에참여한이력을남겼다.이책은지금까지알려지지않은장지필의활동을신문보도,일제관헌자료,제적부등을통하여밝히고있다.
이책은진주지역의형평사창립과정을규명하는한편,지역형평운동사례로서진주형평사를심층적으로탐구하고있다.형평운동확산에이바지한전국본사의역할과지역형평사원들의권익을증진하는지역형평사활동,그리고전국의형평운동발전과정에서소외된변화모습을밝히고있다.이장과함께,또하나의진주지역역사를기록한장이있다.이것은해방이후거의잊힌형평운동역사를되살리며기억하려는진주주민들의기념사업성립과정을소상하게밝히며,형평운동역사와정신을기리는지역주민활동을기록하였다.
이책은그동안저자의저서,『형평운동연구:일제침략기백정의사회사』,『평등사회를향하여:한국형평사와일본수평사의비교』에이은또하나의괄목할만한형평운동연구성과로평가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