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이 책은 조선불교의 호국불교가 지닌 본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임진왜란과 그 이후 불교계의 호국(護國)과 호법(護法)의 실상을 이해하고 불교의 국가와 대사회적 기여의 실상을 알려줄 것이다. 호국은 일찍이 조선불교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였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이 땅에 정착된 양극의 이데올로기는 호국의 기치 아래 반공을 내세웠고, 호국불교 역시 정권의 선전 구호로 어울렸다. 그러나 호국불교가 지닌 본질이라든가 호국을 위한 승가의 노고는 보이지 않았다. 때문에 청허 휴정과 사명 유정 연구는 왜적을 무찌르는 것만을 세상에 내보냈다. 덕분에 조선불교는 두 인물의 행적과 공적이 전부였다.

조선시대 불교의 호국과 호법 - 문현인문학총서 7 (양장)
$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