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불교의 호국과 호법 - 문현인문학총서 7 (양장)

조선시대 불교의 호국과 호법 - 문현인문학총서 7 (양장)

$32.00
Description
이 책은 조선불교의 호국불교가 지닌 본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임진왜란과 그 이후 불교계의 호국(護國)과 호법(護法)의 실상을 이해하고 불교의 국가와 대사회적 기여의 실상을 알려줄 것이다. 호국은 일찍이 조선불교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였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이 땅에 정착된 양극의 이데올로기는 호국의 기치 아래 반공을 내세웠고, 호국불교 역시 정권의 선전 구호로 어울렸다. 그러나 호국불교가 지닌 본질이라든가 호국을 위한 승가의 노고는 보이지 않았다. 때문에 청허 휴정과 사명 유정 연구는 왜적을 무찌르는 것만을 세상에 내보냈다. 덕분에 조선불교는 두 인물의 행적과 공적이 전부였다.

저자

오경후

저자:오경후
동국대학교불교학술원교수
동국대학교에서조선시대불교사를전공했다.2015년에는조선의불교가탄압과소외속에서불교정책이나사원경제를통해조선불교의성격을규명한『조선후기불교동향사연구』를펴낸바있다.2018년에는조선시대사지(寺誌)와승전(僧傳)을주제로『사지와승전을통해본조선후기불교사학사』를펴냈다.2020년에는『한국근대불교사론』을펴낸바있다.

목차

저자서문/5

1장조선후기불교계의정체성확립과선교겸수
1.양란이후불교계의정체성확립의배경_13
2.양란이후불교계의법통확립과편양언기_22
3.청허휴정의삼문정립과편양언기의불교계유포_28
1)선교학의정립_28
2)염불관의전환_34

2장청허휴정의불교사적가치
1.호국·호법활동의배경_43
2.호국운동과역사적가치_51
3.호법운동과역사적가치_64

3장조선중후기사명대사인식과평가
1.머리말_79
2.사명당에대한실록의양면성_81
3.유학자의인식과평가_87
4.자술-수행과구국사이에서_93

4장사명당유정의충의가지닌불교적의미
1.「골계도」와「분충서난록」의간극_101
2.유교적의미에서본사명당의충의_110
3.충의의불교적의미_119

5장사명유정의교학관
1.조선중기불교계의동향과선교학_129
2.조선중기불교계의동향과선교학_131
3.사명유정의선교수학과인식_138
4.사명대사집에나타난교학관_146

6장벽암각성의불교중흥
1.산성축조와수호_159
2.사찰중건_168
3.불서간행_178

7장간폐석교소에나타난호법과호국의상즉성
1.백곡처능의생애_187
2.불교탄압과호법_198
3.불교의사회적기여와호국_207

8장조선후기송광사중흥과백암성총
1.왜란이후부휴선수·벽암각성의송광사중건_223
2.백암성총의보조가풍중흥_231
3.백암문도의보조가풍선양_242

9장19세기조선불교의동향과특성
1.영정조이후19세기불교정책_251
2.선교학의동향_260
3.불교계의위상강화_267

10장호국의승군의역사문화적가치-대흥사를중심으로
1.호국의가치_279
2.호법의가치_286
3.국가재조의가치_293
4.사회경제적가치_297
5.선양의가치_299

출판사 서평

조선시대불교는한국불교사에서독특한지위를차지하고있다.첫째,조선의건국과함께국가통치이념의전환이계기가되어지배층의불교에대한사상적탄압과함께독선적인성리학적가치체계에기초한통제로불교계가사회경제적위축을가져왔다.둘째,지배층의불교탄압은불교수용이후고려시대까지융성했던선교학을중심으로한불교사상과수행이쇠퇴했고,그성숙이나발전을기대할수없었다.셋째,승가의불교사상과수행은쇠퇴했지만,신앙은백성들이쉽게다가갈수있도록저변화되었다.전통민간신앙과융합된불교신앙이수탈과착취가연속되었던조선의백성들을위로해주었다.더욱이청허휴정의염불(念佛)·송주(誦呪)와같은수행법의인정은승속을초월하여불교가민간으로다가가는계기가되기도하였다.넷째,조선불교계는탄압과수탈에도불구하고‘복국우세(福國祐世)’라는불교본연의정신을현실속에서발휘하였다.이른바임진왜란과병자호란속에서국가적위기를극복하기위한승가의본분을다하고자하였다.불살생(不殺生)이라는승가본연의계율에얽매이지않고왕조의안위를지키기위해진력했고,도탄에빠진백성을위로하기위해동분서주했다.

조선불교가이전시대와는달리그사상과수행이뒤처진것은사실이고,원효나지눌과같은인물이출현할수없었던환경이었던점은확실하다.그러나조선의불교는조선의흙과바람에적응하고곤궁을극복할수있는역량을지니고있었다.불교계의물러서지않는불심(佛心)과수행력은조정과지배층의오랜탄압과수탈,착취를극복할수있는원동력이었으며,도탄에빠진백성들을구제할수있었다.더욱이폐허가된불교사상과신앙이청허휴정과그후손들의지속적인노력에의해서재건되고중흥되었다.때문에조선시대불교사는이전시대의불교가지닌개성과는뚜렷한차이가있다.법고창신(法古創新)을통해조선불교의정체성을확립한것이다.

이책이조선불교사의공백을채울수있고,그본질과정체성을규명하는데도움이되기를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