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독재정권의 희생양’ 재일 민주단체 ‘한통련’
민주 조국에서도 외면받는 억울한 이야기
민주 조국에서도 외면받는 억울한 이야기
한통련은 어떻게 반국가단체가 되었나? 그 과정을 톺아보는 실증적 기록
조국을 사랑했지만, 조국으로부터 반세기 넘도록 외면과 박대를 당하고 있는 한통련(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 사람들의 이야기가 『야만의 시간』으로 우리 앞에 섰다.
저자 김종철 전 기자는 현직(한겨레 신문)에 있을 때부터 한통련 회원들이 겪는 인권침해, 반국가단체 판시의 문제점, 국내 민주화운동과 한통련의 연대활동 등을 여러 차례 특집기사로 다뤄왔다. 2022년 정년 후 그는 한통련에 대해 보다 더 집중적으로 취재했다. 그가 생각하기에 한통련은 “우리 사회에서 마지막 남은 소외당한 사람들”이다. 국내와 일본을 넘나들며 한통련과 관련된 인사들을 심층취재하고, 재판자료, 문헌기록, 언론보도 등을 수도 없이 뒤지며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반국가단체 만들기에 희생된 한통련의 50년을 기록했다. 5년에 걸친 저자의 전방위적 취재는 탐사보도 그 이상의 것을 보여주며 『야만의 시간』은 독자들을 생생한 역사적 현장으로 빠져들게 한다.
김대중이 납치된 1973년 결성되어 올해로 50살이 된 한통련
올해 8월, 한통련(옛 이름 한민통)은 설립 50주년을 맞이했다. 반백 년 동안 조국의 민주화와 통일을 염원했으나, 박수와 축하보다는 여전히 반국가단체라는 족쇄에 갇혀있다. 수많은 재일동포가 재심에서 무죄판결을 받고 있지만, 한통련은 여전히 반국가단체다. 한통련 회원들은 반국가단체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온갖 차별과 박해를 받고 있다. 여권도 제대로 발급해주지 않는다. 반국가단체 회원이라는 이유로 사업상 불이익을 당하거나,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아 지급되던 보상금조차 박탈당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불온시하고, 일본에서는 차별한다.
민주화된 조국은 왜 아직도 이들을 불온과 기피의 대상으로 남겨두고 있나?
1973년 민단계 재일동포들이 일본에 망명 중이던 김대중과 함께 한민통 결성, 결성식을 앞두고 김대중 납치, 초대의장으로 김대중 추대, ‘김대중구출대책위원회’결성. 1977년 재일동포 유학생 김정사 사건 공소장에 ‘반국가단체’로 등장. 1978년 대법원은 “한민통은 반국가단체”라는 공소장 내용을 그대로 인정. 1989년 한통련으로 이름을 변경했으나 여전히 반국가단체로 규정... .
저자는 과거 군사독재 시절 조작을 일삼은 정보기관과 검찰, 그리고 공소장을 그대로 베낀 법원, 취재도 없이 받아쓰기식 보도를 한 언론, 반국가단체 여부를 판단하지 않은 1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 등을 하나하나 톺아보며 우리를 그 시대로 이끌고 간다. 그리고 “과연 이들만의 문제인가?”라는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저자의 시선은 민주정부 출범 후 벌어진 한통련에 대한 정부의 태도를 바라보며 훨씬 날카롭고 섬세해진다. 저자가 보기에, 한통련 사람들에게 들씌어진 반국가단체라는 오명을 벗길 기회는 여러 번 있었다. 2004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재심과 2011년 김정사 사건 재심에서 법원은 모두 무죄 선고를 하면서도 한통련에 대해서는 정면으로 다루지 않고 슬쩍 피해갔다. 2010년 1기 진실화해위원회에서는 한통련에 대한 반국가단체 규정은 잘못이었다는 최종 보고서가 나왔지만, 납득하기 어려운 논리로 폐기되고 말았다.
법원도, 진실화해위원회도 본질적 문제인 반국가단체 여부에 대해 판단하지 않고 비껴간 것이다. 저자는 민주정부가 들어선 후에도 아무런 변화가 없는 한통련의 처지, 그것이 바로 우리 민주주의의 현재라고 진단한다. 이‘야만의 시간’을 끊어내는 것은 일본에 사는 그들의 일이 아니라 한국에 있는 우리의 과제라고 저자가 강조하는 이유이다.
조국을 사랑했지만, 조국으로부터 반세기 넘도록 외면과 박대를 당하고 있는 한통련(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 사람들의 이야기가 『야만의 시간』으로 우리 앞에 섰다.
저자 김종철 전 기자는 현직(한겨레 신문)에 있을 때부터 한통련 회원들이 겪는 인권침해, 반국가단체 판시의 문제점, 국내 민주화운동과 한통련의 연대활동 등을 여러 차례 특집기사로 다뤄왔다. 2022년 정년 후 그는 한통련에 대해 보다 더 집중적으로 취재했다. 그가 생각하기에 한통련은 “우리 사회에서 마지막 남은 소외당한 사람들”이다. 국내와 일본을 넘나들며 한통련과 관련된 인사들을 심층취재하고, 재판자료, 문헌기록, 언론보도 등을 수도 없이 뒤지며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반국가단체 만들기에 희생된 한통련의 50년을 기록했다. 5년에 걸친 저자의 전방위적 취재는 탐사보도 그 이상의 것을 보여주며 『야만의 시간』은 독자들을 생생한 역사적 현장으로 빠져들게 한다.
김대중이 납치된 1973년 결성되어 올해로 50살이 된 한통련
올해 8월, 한통련(옛 이름 한민통)은 설립 50주년을 맞이했다. 반백 년 동안 조국의 민주화와 통일을 염원했으나, 박수와 축하보다는 여전히 반국가단체라는 족쇄에 갇혀있다. 수많은 재일동포가 재심에서 무죄판결을 받고 있지만, 한통련은 여전히 반국가단체다. 한통련 회원들은 반국가단체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온갖 차별과 박해를 받고 있다. 여권도 제대로 발급해주지 않는다. 반국가단체 회원이라는 이유로 사업상 불이익을 당하거나,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아 지급되던 보상금조차 박탈당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불온시하고, 일본에서는 차별한다.
민주화된 조국은 왜 아직도 이들을 불온과 기피의 대상으로 남겨두고 있나?
1973년 민단계 재일동포들이 일본에 망명 중이던 김대중과 함께 한민통 결성, 결성식을 앞두고 김대중 납치, 초대의장으로 김대중 추대, ‘김대중구출대책위원회’결성. 1977년 재일동포 유학생 김정사 사건 공소장에 ‘반국가단체’로 등장. 1978년 대법원은 “한민통은 반국가단체”라는 공소장 내용을 그대로 인정. 1989년 한통련으로 이름을 변경했으나 여전히 반국가단체로 규정... .
저자는 과거 군사독재 시절 조작을 일삼은 정보기관과 검찰, 그리고 공소장을 그대로 베낀 법원, 취재도 없이 받아쓰기식 보도를 한 언론, 반국가단체 여부를 판단하지 않은 1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 등을 하나하나 톺아보며 우리를 그 시대로 이끌고 간다. 그리고 “과연 이들만의 문제인가?”라는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저자의 시선은 민주정부 출범 후 벌어진 한통련에 대한 정부의 태도를 바라보며 훨씬 날카롭고 섬세해진다. 저자가 보기에, 한통련 사람들에게 들씌어진 반국가단체라는 오명을 벗길 기회는 여러 번 있었다. 2004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재심과 2011년 김정사 사건 재심에서 법원은 모두 무죄 선고를 하면서도 한통련에 대해서는 정면으로 다루지 않고 슬쩍 피해갔다. 2010년 1기 진실화해위원회에서는 한통련에 대한 반국가단체 규정은 잘못이었다는 최종 보고서가 나왔지만, 납득하기 어려운 논리로 폐기되고 말았다.
법원도, 진실화해위원회도 본질적 문제인 반국가단체 여부에 대해 판단하지 않고 비껴간 것이다. 저자는 민주정부가 들어선 후에도 아무런 변화가 없는 한통련의 처지, 그것이 바로 우리 민주주의의 현재라고 진단한다. 이‘야만의 시간’을 끊어내는 것은 일본에 사는 그들의 일이 아니라 한국에 있는 우리의 과제라고 저자가 강조하는 이유이다.
야만의 시간 : 반국가단체 만들기에 희생된 한통련의 50년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