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시집을 다 읽고도 고개를 들 수 없다. 작은 틈이라도 내어달라, 우리가 들어갈 수 있도록. 들숨과 날숨 사이가 너무 좁다. 여느 시와 같이 편안하게 시를 읽을 수 없다.
극적인 순간을 포착해 묘사와 이미지로 현재화(現在化)한 이윤학 시인의 열한 번째 시집 『곁에 머무는 느낌』이 간드레 시 03번으로 출간되었다. 풍경이 말하는 시, 풍경의 연구가, 풍경의 투시자, 숙명적인 상실의 독을 말갛게 걸러낸 치유의 시집. (박형준 시인) 그의 시는 카메라 렌즈를 갖다 댄다. 조리개를 돌린다. 낱낱의 잠자고 있던 사물이 언어에 의해 되살아난다. 단어 하나, 한 문장도 함부로 쓰이지 않고, 그냥 스쳐 가는 법이 없다. 마치 시인의 치밀한 계산에 의해 쓰인 듯한 시는 정체불명의 뜬금없는 어휘나 문장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의 언어와의 고군분투는 오직 언어와 결탁하고, 언어와의 대면 속에서 시어의 조탁이 이루어진다. 그러니 그의 시를 읽기 위해서는 집중하고, 문장의 결을 따라가야 한다. 묘사의 힘이 이런 것인가. 시인은 굳이 의미를 드러내지 않는다. 다만 시인이 눈으로 본 것만 치밀하게 묘사할 뿐이다. 묘사로서 이미지를 그려낸다. 그럴 때 시는 그림이 되고, 사진이 되고, 풍경이 되고, 한 사람의 처절한 삶의 장면으로 프린팅된다. 거기 시가 존재하고, 시가 완성되기까지 그는 시인으로서 존재한다.
“본다는 것은 거리를 전제로 한다……. 보고자 하는 그것이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감촉으로 당신을 건드리는 듯할 때, 또한 보는 방식 그 자체가 일종의 감각적인 접촉일 때, 그리고 보는 것이 거리를 둔 접촉일 때, 그때는 어떻게 되는가……. 거리를 둔 접촉에 의해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은 이미지며, 매혹은 이미지에 대한 정열이다. 우리를 매혹하는 것은 우리에게서 의미를 부여하는 능력을 앗아가 버린다...... 세계의 내면으로 은둔해 우리를 그곳으로 끌어당기고...... 이 공간은 말하자면 절대적인 공간인데...... 그것은 이미지의 배후에 있는 무제한적인 깊이이다...... 물체들이 의미에서 멀어져 이미지 속으로 무너져내릴 때, 물체들은 바로 이 깊이 속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이 매혹의 장소에서 우리가 보는 것, 그것은 시선을 붙들고 그 시선을 끊임없는 것으로 만든다.” -모리스 블랑쇼
이윤학 시인의 시가 위의 문장에 부합하는 것이 아닐까.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이미지 글쓰기. 이미지로서 의미를 숨겨두는 방식, 그리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그 이미지 속으로 걸어 들어가 의미가 되는 방식. 그러므로 그의 시는 자세히 관찰하듯 집중해서 읽어야 이미지의 놀라운 힘을 느낄 수 있다.
극적인 순간을 포착해 묘사와 이미지로 현재화(現在化)한 이윤학 시인의 열한 번째 시집 『곁에 머무는 느낌』이 간드레 시 03번으로 출간되었다. 풍경이 말하는 시, 풍경의 연구가, 풍경의 투시자, 숙명적인 상실의 독을 말갛게 걸러낸 치유의 시집. (박형준 시인) 그의 시는 카메라 렌즈를 갖다 댄다. 조리개를 돌린다. 낱낱의 잠자고 있던 사물이 언어에 의해 되살아난다. 단어 하나, 한 문장도 함부로 쓰이지 않고, 그냥 스쳐 가는 법이 없다. 마치 시인의 치밀한 계산에 의해 쓰인 듯한 시는 정체불명의 뜬금없는 어휘나 문장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의 언어와의 고군분투는 오직 언어와 결탁하고, 언어와의 대면 속에서 시어의 조탁이 이루어진다. 그러니 그의 시를 읽기 위해서는 집중하고, 문장의 결을 따라가야 한다. 묘사의 힘이 이런 것인가. 시인은 굳이 의미를 드러내지 않는다. 다만 시인이 눈으로 본 것만 치밀하게 묘사할 뿐이다. 묘사로서 이미지를 그려낸다. 그럴 때 시는 그림이 되고, 사진이 되고, 풍경이 되고, 한 사람의 처절한 삶의 장면으로 프린팅된다. 거기 시가 존재하고, 시가 완성되기까지 그는 시인으로서 존재한다.
“본다는 것은 거리를 전제로 한다……. 보고자 하는 그것이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감촉으로 당신을 건드리는 듯할 때, 또한 보는 방식 그 자체가 일종의 감각적인 접촉일 때, 그리고 보는 것이 거리를 둔 접촉일 때, 그때는 어떻게 되는가……. 거리를 둔 접촉에 의해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은 이미지며, 매혹은 이미지에 대한 정열이다. 우리를 매혹하는 것은 우리에게서 의미를 부여하는 능력을 앗아가 버린다...... 세계의 내면으로 은둔해 우리를 그곳으로 끌어당기고...... 이 공간은 말하자면 절대적인 공간인데...... 그것은 이미지의 배후에 있는 무제한적인 깊이이다...... 물체들이 의미에서 멀어져 이미지 속으로 무너져내릴 때, 물체들은 바로 이 깊이 속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이 매혹의 장소에서 우리가 보는 것, 그것은 시선을 붙들고 그 시선을 끊임없는 것으로 만든다.” -모리스 블랑쇼
이윤학 시인의 시가 위의 문장에 부합하는 것이 아닐까.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이미지 글쓰기. 이미지로서 의미를 숨겨두는 방식, 그리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그 이미지 속으로 걸어 들어가 의미가 되는 방식. 그러므로 그의 시는 자세히 관찰하듯 집중해서 읽어야 이미지의 놀라운 힘을 느낄 수 있다.
곁에 머무는 느낌 - 간드레 시 3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