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꽃 : 말글마음을 돌보며 온누리를 품다

우리말꽃 : 말글마음을 돌보며 온누리를 품다

$19.00
Description
서른세 해에 걸쳐 우리말사전을 돌봐온 최종규가 쓴 《우리말꽃》이 세상에 나왔다. 최종규에게 우리말사전 쓰기는 말과 글과 마음을 돌보는 일이기에 그간 하루로 거르지 않고 우리말을 모으고 살피며 가꿔왔다. 우리말사전을 쓰고 엮으면서 배우고 익힌 삶, 살림, 사랑으로 빚은 55가지 이야기를 《우리말꽃》에 고스란히 담았다.

《우리말꽃》은 ‘우리말을 꽃피우자’는 뜻이자 ‘우리말 꽃씨를 심자’는 뜻이며,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누리자’는 뜻을 품은 책이다. 삶을 이루는 밑바탕을 그리는 말부터 살려 나누고 누릴 때라야, 모든 길을 새롭게 열고 가꿀 수 있다. 숲에서 부는 바람에 몸을 맡기고, 흐르는 냇물에 발을 담그듯 우리말과 글을 누리고픈 이들 곁에 《우리말꽃》을 놓아둔다.
저자

최종규

저자:최종규

‘우리말꽃(한국말사전)’을짓는길을걷는다.〈말꽃짓는책숲,숲노래〉라는서재도서관을꾸리고숲살림을짓는다.‘보리국어사전’편집장을맡았고,이오덕어른이쓰고남긴글을갈무리했고,공문서·공공기관누리집을쉬운말로고치는일을했다.《쉬운말이평화》,《새로쓰는우리말꾸러미사전》,《새로쓰는비슷한말꾸러미사전》,《새로쓰는겹말꾸러미사전》,《이오덕마음읽기》,《우리말동시사전》,《우리말수수께끼동시》,《마을에서살려낸우리말》,《숲에서살려낸우리말》,《읽는우리말사전1·2·3》,《우리말글쓰기사전》,《시골에서살림짓는즐거움》,《시골에서도서관하는즐거움》,《시골에서책읽는즐거움》,《10대와통하는새롭게살려낸우리말》,《10대와통하는우리말바로쓰기》,《내가사랑한사진책》,《골목빛》,《자전거와함께살기》,《사진책과함께살기》같은책을썼다.

목차

여는꽃:마음,말,꽃

1.생각꽃:생각씨앗을틔워삶을가꾸다
나란꽃함꽃여러꽃
억지로‘만들’수없는말
엄마쉼아빠쉼
순순순순
순이돌이
막말잔치
가을에기쁘게짓는말

2.마음꽃:우리가부르는이름이우리마음
수수밥
길벗
꽃바르다
햇사랑
집옷밥밥옷집옷밥집
책숲마실
봄내음피어나는말

3.살림꽃:살리며살아가는살림누리

작은이로서나사랑
손수짓는살림을잃으면
다람쥐를다람쥐라못하다
‘가정주부’가아닙니다
달콤멋으로‘한말날’을
실컷

4.노래꽃:숲에서어깨동무하며부르는노래
도꼬마리와‘이름없는풀꽃’
모두
봄샘
낱말책
도무지
고운말미운말
한모금
부딪히는말

5.푸른꽃:쉬운말이사랑,작은말이살림


묻다

꿍꿍쟁이
구체적
자유

6.말글꽃:새마음으로가는길,새넋으로스스로피어나는꽃
파랗다푸르다
‘쉬운말’이있을까
우리말을어떻게배울까
나의내내자
‘호스피스’와‘플리마켓’
작은소리
한글·훈민정음·우리말

7.지음꽃:우리말을우리글로담는하루,사투리
다른다양성
전쟁용어씨앗
탈가부장
밥꽃에잘먹이는
이해,발달장애,부모,폭력
이루는보람
첫밗첫꽃첫씨첫발

8.덧꽃:풀꽃나무를토닥이며,들숲바다를품으며
못알아듣겠소만
말은마음을가꾸고
쉬운말로푸르게
지지배배한글날보금숲
‘문해력’이뭐예요?

닫는꽃:‘-의’안쓰려애쓰다보면

군꽃
낱말꽃

출판사 서평

‘우리말’이라는징검다리로글과마음과생각을잇다.
사람과사람을사랑으로이으며어린이와어른을잇고,
풀꽃나무와어깨동무하며온누리를품다.

우리가쓰는말안엔우리가바라거나누리는삶이고스란히들어있다.슬기롭게가다듬은말은주변을돌보고가꾸며사랑을꾸리는힘을품는다.삶이고스란히말이된다.그렇기에말에는힘이있다.우리말(한글)은소리뿐만아니라뜻(마음)도함께담는다.가령,우리말‘말’과‘마음’,‘맑다’와‘물’은말밑이같다.우리말‘이야기’와‘잇다’,‘있다’와‘이다’,‘이제·이곳’은말밑이같다.‘바라보다’와‘바라다’,‘바람·바다’,‘밭·바탕·밖’,‘밝다·밤’도말밑이같다.마음을물처럼맑게나타내기에‘말’이며서로말을이어서이제이곳에서함께있는사람인말이기에‘이야기’인것이다.

서른세해에걸쳐우리말사전을돌봐온최종규는하루도거르지않고우리말을모으고보살피며가꿔왔다.훈민정음(세종대왕)부터한글(주시경)에이르기까지배움말(학술)얼거리뿐아니라나고자란인천에서익히들은바닷말,전남고흥으로삶터를옮긴후부터늘아이와함께누리는숲말,이나라곳곳을누비며거의모든헌책방에들러묻히거나잊힐뻔한헌책에서캐낸말과글에이르기까지.뒤에도드물었고앞으로도드물것이분명한우리말돌봄이이자말꽃지기(사전편찬자)인최종규는오늘도매만지며돌본말과글에하나둘갈래를나누고세우는일을이으며사람들살림에밑거름이되기를바란다.

《우리말꽃》은우리말과외국어를구분짓고잘못쓰거나틀린말을바로잡는데열을올리기보단삶을가꾸는말,생각을가꾸면서마음을북돋우는말과글이가진힘을두루알리는데힘쓴다.우리말이생각과생각을잇고,삶과삶을잇고,사람과사람을사랑으로잇는징검다리라여긴다.우리말바탕이어깨동무임을알아낸것또한이런뜻을바탕으로한다.섬기거나아끼는마음은있되,위아래가아닌어깨동무로나아가려는게말―글―마음을담은한글이나아간발자취라는것이다.어린이도알아들을수있는쉬운우리말과글을쓰는게평등과평화,민주와맞물리는것또한이때문이다.

《우리말꽃》은재미나게말을익히고헤아리면서,슬기롭게말과글을가꾸는데이바지하려한다.어른뿐만아니라이제막우리말을배우는어린이들도함께어깨동무를하면서우리말뿌리와결과너비를살펴볼수있다.삶을이루는밑바탕을그리는말부터살리고살찌우고사랑하면서나누고누릴때라야,모든길을새롭게열고가꾸고짓게마련이다.그래서《우리말꽃》은“우리말은꽃이다”라는이야기를펴고,“말글마음을돌보며온누리를품다”라는줄거리를풀어놓는다.‘우리말꽃’이란“우리말을꽃피우자”는뜻이자“우리말꽃씨를심자”는바람이며,“우리스스로말꽃을누리자”는뜻을품은책이다.

“사투리는,스스로지은말입니다.사투리는,삶·살림·사랑을스스로지은사람들이삶·살림·사랑을고스란히담아스스로지은말입니다.사투리는,어버이가아이한테물려주는삶·살림·사랑을스스로짓도록북돋우는마음이빛나는말입니다.사투리는,바로우리말입니다.시골사람이지어서쓰고흙사람이지어서쓴사투리는,두고두고삶·살림·사랑을밝힐‘즐거우면서아름답고사랑스러운’숲말입니다.”(<탈가부장―갇힌말을깨우다>,288쪽)

말더듬이로놀림받았지만
한자말이아닌우리말은더듬지않고소리낼수있다는걸알게되어
누구나쉽게말하고쓸수있는우리말사전쓰기길을걷다.

《우리말꽃》은우리말사전을쓰고엮으면서배우고익힌삶,살림,사랑으로빚은55가지이야기로빼곡하다.최종규는말더듬이에혀짤배기인몸으로태어나,어릴적에늘놀림받았다.이러다열살에마을할아버지한테서천자문을배우는데,어린이가소리를잘내지못하면서더듬거나새는낱말이모두한자말인줄알아차린다.열살때부터옥편과사전을샅샅이뒤져서“소리내기쉬우면서더듬지않을만한낱말”을하나하나찾아보니모두‘그냥흔한우리말’이었다.흔하게쓰는쉬운우리말은말더듬이어린이도수월하게소리를낼수있는데,어른들이으레쓰는한자말은소리를내기부터어려운줄깨닫고는,‘뜻만좋으면되는말’이아닌,‘뜻과소리가하나를이루면서어린이한테쉽게스밀말’이어야한다고느꼈다.열살부터열일곱살까지는따로“국어사전을새로쓴다”는생각은못했지만,국어사전을샅샅이읽으면서말소리와말뜻이어우러지는길을찾아나섰고,열일곱살부터는“이런엉터리국어사전을뒤적이느라애먹지말고,스스로새국어사전을쓰자”는꿈을품고서이길을걸었다.《우리말꽃》은“누구나말꽃을누리는꽃길”을맑고밝게나누는실마리를헤아리는이야기꾸러미라고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