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번의 금요일 :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2014~2023년의 기록 (양장)

520번의 금요일 :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2014~2023년의 기록 (양장)

$23.00
Description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10주기 공식 기록집
2년간 피해자 가족 62명 등 총 117명을 인터뷰한 ‘세월호 10년의 총결산’
세월호참사 10주기 공식 기록집이 출간되었다. 4ㆍ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이 2022년 봄부터 2년 여간 단원고 피해자 가족 62명과 시민 55명을 총 148회 인터뷰하고 참사 관련 기록들을 검토하여 종합해낸 책이다. 총 117명의 인터뷰이들은 작가들이 던지는 첨예한 질문을 피하지 않고 지난 10년간 삶의 빛과 어둠을 조심스럽지만 당당하게 보여주었다. 자식의 얼굴을 거울삼아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려고 애쓴 이들은 이 가망 없어 보이는 세계를 어떻게 바꿔왔을까. 이제 그 길을 우리가 천천히 되짚어볼 차례다. 이 책을 펼쳐 세월호참사 이후 10년간의 이야기들을 되짚는 와중에, 우리는 어쩌면 우리 모두가 ‘세월호 가족’으로 살아온 것은 아닐까 고개를 갸우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전히 그 장면들이 생생하게 기억되고 있으며, 그 어느 하나도 제대로 규명된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

416세월호참사작가기록단

저자:416세월호참사작가기록단

세월호참사이후다른세상을어떻게만들어갈수있을지고민하는인권활동가들이모여있다.피해자의시선으로고통의의미를이해하고자애쓰며,그것을사회적기억으로만들길을찾아세월호가족과시민의목소리를듣고기록해왔다.『금요일엔돌아오렴』『다시봄이올거예요』『그날이우리의창을두드렸다』『재난을묻다』를펴냈으며,이번책에는박민진(한낱),박지연,박희정,배경내,어쓰,이호연,홍세미등이취재및집필에참여했다.



기획:사단법인4.16세월호참사진상규명및안전사회건설을위한피해자가족협의회

세월호참사직후‘세월호단원고유가족대책위’로활동을시작한이래2015년1월단원고희생자,생존자일반인희생자,생존자그리고생존화물기사까지아우르는‘세월호참사진상규명및안전사회건설을위한피해자가족협의회’로명칭을변경하고사단법인조직체계로개편했다.지난10년간세월호참사의진실을밝히고,피해자의명예회복과사회적기억및추모조성을위해앞장서왔다.국가폭력및다양한재난참사피해자들과의연대활동등도활발히벌여왔다.가족협의회활동은재난참사에대한사회적인식변화및재난피해자권리증진의큰마중물이되었다.

목차

서문아이들이돌아오지못한금요일,520번째

그섬│인양│조직│갈등│국가│기억│각성│차이│가족│몸짓│편견│합창

미주

출판사 서평

우리가알고있는‘세월호참사’,그후10년

많은이들이스스로가세월호참사를‘잘알고있다’고생각한다.2014년4월16일오전9시19분,“진도부근해상500명탄여객선조난사고”라는첫속보가뜬이후우리는팽목항에서,광화문에서,청운동에서,안산정부합동분향소를비롯한전국각지에서‘세월호운동’을만나왔다.하지만우리가‘잘안다’고생각하며‘세월호운동’을하나의정형화된틀로규정해온것과는별개로,단원고피해자가족들과그곁의시민들은그들개개인의삶을살아왔다.참사직후뜨거웠던추모의열기가사그라든뒤에그들곁에남은것은무엇이었을까.

작가들은수백명각각의신산한삶들을그들각자의관점으로듣는동안,가족들의갈등을있는그대로풀어놓고그것을‘제3자의시선’으로일별하고자했다(그내용은이책의「조직」과「갈등」편에집약되어있다).또한세월호참사가그저‘국가적재난’이라는수사로치장되는대형재난이아니라,한국의재난피해자운동의시발점이자주요분기점이라는점을명확히하고자했다.단원고피해자가족들과연대시민들은참사의진상을규명하는과정에서참사의피해자가그배에탔다가죽거나실종된304명만이아님을끊임없이우리사회에호소했다.그들의이같은노력은희생자와생존자에서부터민간의조력자(잠수사,자원봉사자)까지,피해자가족의틀을넘어피해지역공동체에이르기까지,참사를겪은모두가피해자가될수있다는공감대를전국민적으로확산했다.국가가해내지못한일을일군의‘부모들’과‘시민들’이해낸것이다(이에대해서는「국가」와「기억」,「편견」편이주로다루고있다).

지난10년간의이같은변화는단원고피해자가족들이아니었다면애초에상상하기어려운일이었다.그들은참사이전에는그저평범한시민이었고얼떨결에연단에올랐다가지금까지진상규명활동에매진하고있다.그리하여10년전『금요일엔돌아오렴』이‘부모의애타는그리움과고통’을절절히드러내주며참사피해자육성기록집의전범으로평가받았다면,지금의『520번의금요일』은재난참사를10년간추적하여기록한최초의작업이라는점에서,세월호가족들이참사이후의자기변화를스스로냉정히평가하고자했다는점에서,또한‘세월호참사’를단하나의고유명사로만들기보다는제2,제3의참사를막기위해‘한국재난피해자운동’이거울삼아야할사례로규정했다는점에서기념비적기록으로서평가받을만하다.

이것이세월호가족의삶이고‘세월호운동’이다

독자들이책을펼치면가장먼저만나는장면은동거차도(「그섬」편)와팽목항(「인양」편)의풍경이다.동거차도와팽목항은참사장소에서가장가까운지역이었다는점에서,단원고희생자부모들이얼마나간절히자신의아이를다시만나고자했는지를보여주는공간이다.이장소들에서부모들이고군분투했던이야기는참사직후의현장감을생생히전달해준다.특히팽목항곳곳에서가족들의안위를살폈던진도주민들,맹골수도의거친바닷속에서피해자들을끌어올린민간잠수사들의이야기는깊은울림을준다.“바닷물은정말차요.목욕탕냉탕이18도정도잖아요.당시수온이11도정도였어요.서로껴안고있는아이들이많았어요.올라가는통로가좁아서한사람씩올려야했어요.저희는시신이상할까봐잡아당기지못해요.굽어있는팔을주무르면서‘엄마한테가자’라고달래요.그말을하면신기하게도엉켜있던데서시신이빠졌어요.그건어떻게해서그렇게된건지모르겠어…정말신기했어요.”(이책44면)

이어지는「조직」과「갈등」편은단원고피해자가족들의기록에서빼놓아서는안되는,그들의솔직한고민이담긴글이다.2014년4월16일이후세월호가족들이‘유가족대책위’‘가족대책위’라는이름을거쳐현재의‘가족협의회’로각각활동하면서어떻게자신들의집단을유지해왔는지,어떤사건앞에서좌절하고또다른사건앞에서다시일어섰는지를담담한어조로이야기한다.“대리기사폭행사건이물론어려움을가져다줬지만가족들이좀더단단해지기도했어요.다시는이런일을되풀이해서는안된다,우리가족들은남한테틈을보이거나약해보이면안되고,또도덕성에대해경각심을가져야한다는것을깨우쳤어요.가족들이여러모로성숙해진계기가됐어요.”(96면)

「조직」과「갈등」편이단원고피해자가족들의내부를드러내는현미경의역할을했다면,이어지는「국가」「기억」「각성」편은그들을최대한멀리서넓게조망하는광각렌즈의역할을한다.「국가」편은세월호참사이후의한국사회의변화를한눈에일별할수있는시야를제공하고그변화의와중에국가가과연시민의권리를어떻게지키려했는지(혹은지키지않으려했는지)를날카롭게파헤친다.「기억」편은‘단원고교실존치’와‘4?16생명안전공원설립’이라는논란의주제들속에서우리시민들각자가어떤입장이었는지를되묻는‘질문의장’이다.“단원고교실은안산에남은부모들에게‘눈에보이는뼈아픈실패의기억’이다.그아픔을끌어안고부모들은또다시해야할일을찾아걷기를멈추지않았다.‘단원고4·16기억교실’은가족들과시민들의노력에힘입어2021년12월27일국가지정기록물제14호로지정되었다.”(199~200면)

「각성」편은세월호가족들이본래는‘빨갱이’라고만생각했던시민단체활동가들을만나면서그들이자신의편견을부수는모습을다룬다.누구나겪을수있는가치관의변화과정이이채롭기도하고안쓰럽기도하다.“‘유가족입니다’한마디만해도목이메고눈물부터나와서‘서명해주세요’라는말까지가지도못했어요.젊었을때이런활동을해본적이있는데도막상내가피해자의자리에서보니까입이안떨어지더라고요.조금하다가힘들어서뒤에가서한참서있곤했어요.”(234면)여러진상규명활동을거치면서그들은점차정치에대한근본적인고민을품기시작했다.“내가족,내아이만바라보며세속적가치를좇느라정치와국가에무지하고무관심했던태도가이참사의원인이라는성찰과자책도더불어품게되었다”.(239면)

제2의세월호참사,제2의이태원참사를막을수있는길

이같은각성은‘나만이피해자’라는생각을버리는데에도일조했다.「차이」,「가족」편은단원고생존학생과형제자매,생존학생의부모등단원고피해자가족의안과밖그경계를유심히들여다보는글이다.참사이후10년간유가족(그중에서도부모)이세월호피해자를대표한다는인식이워낙강하다보니,단원고생존학생,유가족중에서도형제자매,그리고생존학생의부모이야기는상대적으로덜드러날수밖에없었다.「차이」,「가족」편에서는그들이겪어온다양한차별적경험들이소개된다.“이사회는슬픔의줄세우기가있어요.‘유가족’이라고하면사람들은부모를떠올리지,형제자매를떠올리진않거든요.하지만우리형제자매는국회,청운동,분향소,광화문,도보행진과집회어디에나있었어요.부모님곁에늘있었는데가려져서잘보이지않았던것뿐이죠.”(268면)

「몸짓」편은세월호가족들이지난10년간벌여온다양한연대활동을소개하는장이다.세월호가족들은수공예(4?16공방),연극(4?16가족극단노란리본),목공(4?16희망목공협동조합),압화(꽃누르미꽃마중),봉사(4?16가족나눔봉사단)등을통해자신의아픔을이겨내면서동시에이웃들의고통까지함께나누고자했다.“예진이가뮤지컬배우가되고싶어했으니까흉내라도낼수있지,다른거였으면흉내도못냈을텐데…이런생각을많이했죠.감독님이장난으로‘대학로도가겠어요’그랬는데진짜로그다음에대학로를간거예요.”(345면)

「편견」「합창」편은기록의시선을단원고피해자가족바깥으로돌려시민들을향한다.세월호참사피해자들이겪어야했던고통은비단가족을잃은슬픔에서만비롯되지않았다.오히려주변의사람들이던진혐오와비방등의말들을통해서였다.이같은‘피해자비난’은일베들의폭식투쟁같은노골적인혐오에서부터‘보상금이얼마냐’‘지겹다’는말을대수롭지않게입에올리는주변인들의일상대화까지다양하다.“피해자중에는누구에게도흠잡히지않을모범적시민이되어야할것같은부담을느끼는사람도있다.세월호참사를‘교통사고’로여기고진상규명활동을반대하는사람들만피해자다움을강요하는게아니다.때로는피해자의투쟁을지지하는시민들이피해자다운모습을요구하기도한다.‘투사’로서의모습만을바라는것이다.”(395면)

단원고피해자가족들은이같은2차가해를줄이고시민들이추모와위로로나설수있도록사회전체가변화해야함을힘주어말한다.시민들의추모는단지그들을향한위로에만머무르지않는다.앞으로일어날참사들에서피해자들이자신의권리를찾을수있도록,‘당신은혼자가아님’을말이아닌제도와체제로서보여줄수있는재난참사대응매뉴얼을제시하는데에까지이른다.이것이제2의세월호참사,제2의이태원참사를막을수있는길임을믿어의심치않는다.“‘피해자들이달라졌다.’이게가장큰변화라고생각해요.피해자들이수동적위치에머물지않고문제를해결할능동적주체로섰다는것.특히나자기문제해결에그치지않고다른참사의피해자들과서로독려하면서같이가고있다는건정말어마어마한변화라고생각하거든요.”(400면)

이소개자료에서‘단원고피해자가족’으로칭한‘사단법인4.16세월호참사진상규명및안전사회건설을위한피해자가족협의회’분들에게그10년의시간을잘버텨주고싸워준데에깊은존경을표한다.그들이진상규명을위해싸워준덕택에이사회의품이단한뼘이라도넓어졌음을부정할이는없으리라.그들덕택에10.29이태원참사가,오송지하차도참사가,대구지하철참사가,삼풍백화점참사가좀더많은시민들에게회자되고관련법령이제정될수있었다.생명안전사회를향한긴여정을앞둔가족모두의존엄과안녕을바란다.

끝으로,4,16세월호참사작가기록단의지난10년여정에대해서도이야기하지않을수없다.그들이2014년4월16일부터지금까지세월호가족들곁에서말벗이되어주었다는사실만으로도,단원고피해자가족들에대한수많은오해와비난속에서도그들의목소리를가다듬어세상에선보임으로써피해자의편에섰다는점만으로도,한사람의개별작가로서의정체성을내려놓고번거로운공동작업을마다하지않으며주요시기마다의미있는기록을내놓았다는이유만으로도우리는이작가들에게경의를표할계제가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