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을 키우는 아이들 : 가미야마 학교 이야기

마을을 키우는 아이들 : 가미야마 학교 이야기

$16.80
Description
‘아이를 키우는데 마을 하나가 필요하다’는 말은
‘아이들이 키우는 마을의 시대가 되었다’는 말로 바뀌어야 한다

미래 세대라는 말로 아이들을 밀어내지 말고
시대를 만드는 동료로 아이들을 품고 함께 가야 한다
『마을의 진화』 로 유명한 가미야마에서 마을을 만든 아이들의 이야기

마을 창조학, 도토리 프로젝트, 손자 손 프로젝트, 푸드 허브 프로젝트를 아이들과 함께 진행한다. ‘지금’을 교재로 (마을 ‘만들기’가 아닌) ‘자라는’ 마을이 된다. 마을의 누구나 가능성이 있다고 느끼는 상태가 되면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구체적인 기대와 꾸준한 노력.
로컬 담론 과잉의 시대에 진정한 지역살이의 의미를 생각하다.
저자

모리야마마도카

森山円香
일반사단법인가미야마연대공사이사이자사람만들기담당부서에서일했다(2016년4월-2022년5월).1988년후쿠야마시에서태어나규슈대학법학부를졸업했다.대학을휴학했을때시마네현아마정교육위원회와공영쥬쿠에서인턴을했다.복학후후쿠오카에서비영리법인티치포재팬지부를설립하여활동했고,그후에는지역개발컨설팅회사에서근무하면서가미야마의지방재생전략책정지원업무에참여했다.2016년부터가미야마에이주하여가미야마연대공사의사람만들기담당으로교육분야에서활동했다.

목차

머리말
1.미래세대에마을물려주기
2.경험축적
3.함께키운다는것은?

제1장|고등학교에서시작하기
1.적막한마을의기억
2.닥쳐올미래
3.지방쇠퇴에서시작되는교육환경쇠퇴
4.고등학교에서시작하기
5.생각이일치하는부분부터

제2장|지역과학교가진행한네개의실험
1.교실에서의배움이사회로연결되지않는다
2.시도①현장기반지역학습‘가미야마창조학’
3.시도②씨앗으로경관을만들다,‘도토리프로젝트’
4.시도③학교에서익힌기술을살려일하다,‘손자손프로젝트’
5.시도④미래의식·농·환경을생각하는‘콩깍지프로젝트’
6.경험하지못한일을함께하다

제3장|시도를가능하게하는실험
1.지역다움이라는기반위에서
2.상황만들기①학교를넘어서이어지는‘선생님들과다함께식사’
3.상황만들기②학교를개편하다
4.상황만들기③연대공사라는톱니바퀴
5.코디네이터라는업무

제4장|입구와출구를바꾸다
1.마을에서의3년경험이어떻게미래로이어질까
2.삶을만들자‘아유하우스’
3.이벤트리포트①생활인으로서10대를지낼장소를정하다
4.이벤트리포트②시골에서보낸3년이진짜경험이되었다
5.자신을열고상대를받아들이는신입생합숙
6.판단력을키우는인턴십
7.질문을바꾸자

제5장|성과
1.‘마을만들기’가아니라‘마을이자라난다’
2.제빵사와빵덕후,교사의공개수업,그리고
3.스승을찾아서뉴욕으로
4.끌리는어른의집에서살아보기
5.무리하지않고협력하는법

맺음말
역자후기

출판사 서평

가능성을느끼는마을이되기위한모두의노력,
‘지금’이교재다

이책은가미야마의중간지원조직인가미야마연대공사의직원인한여성이가미야마교라는공립농업고등학교에사회인강사이자코디네이터로활동하면서교육과지역이어떻게연결될수있는가를소개한책이다.

『마을의진화』에서는지역전체의30년간의노력을큰틀에서소개하는데중점을두었다면,이책은그일부혹은그후6년동안진행된교육부문의노력을소개하는것이차이점이다.
그렇다고교육학이나농업교육의중요성을강조한책은아니다.오히려교육을매개로중간지원조직의역할,미래세대의삶에대한관점,지역재생노력의방법을돌아본책이라고보는것이더정확할것이다.

최근들어특히인구감소의압박과지역재생의필요가동시에고조되는우리나라의상황에서어떻게하면실속있는경험을축적하고,어떻게하면쓸만한중간지원조직의역할을만들수있고,어떻게하면가능성을느끼는삶을만들수있는가에대한시사점을제시한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