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보통의 차별 : 취재 중에 만난 차별과 혐오의 얼굴들

가장 보통의 차별 : 취재 중에 만난 차별과 혐오의 얼굴들

$16.80
Description
오늘도 나는 차별하지 않았다?
당신은 오늘 혹시 누군가에게 차별을 당했는가? 혹, 당신은 누군가를 차별했는가? 아마 당신은 ‘차별’이라는 단어를 떠올릴 수 없는 하루를 보냈을 것이다. 차별과 혐오와는 상관없는 보통의 일상을 보냈을 것이다. 그런데 정말 당신은 혹은 우리는 그 어떤 차별도 하지 않고 하루를 보냈을까. 당신의 일상 속에 당연하게 스며든 차별을 그냥 모른 척하고 싶은 건 아닐까. 당신이 다닌 학교, 당신이 다니는 회사, 당신이 만난 거래처 사람들, 당신이 오늘 탔던 지하철, 당신과 오늘 대화한 친구, 당신이 오늘 먹은 음식에도 당신이 몰랐던 차별이 숨어 있다. 당신 이웃이 겪고 있는 차별 그리고 언젠가 당신도 마주하게 될 차별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일일이 지적하기도 애매한, 일상이 되어버린 가장 보통의 차별
“언제나 평등하지 않은 세상을 꿈꾸는 당신에게”라는 차별과 불평등, 배제를 내세우는 아파트 광고 문구가 어느 날 등장했다. 10년 전, 노키즈 존이 등장하더니 이제는 아이가 있는 부모들도 노키즈존에 일부 찬성한다. ‘어쩔 수 없’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한 번 허용된 차별은 누그러지기는커녕 기세를 더해간다. 아니다, 어쩌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것이 차별이 아니라고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차별은 다수결이 아니다. 차별하는지도 모르고 우리는 매일 ‘보통의 차별’을 하며 살아가는 중이다.
노숙인은 한국 사회에서 당연히 여기는 차별의 대상 중 하나이다. 숭례문 화재 발생 당시나 지하철 6호선 방화사건 때는 노숙인을 대상으로 수사를 벌이기도 했다. 국회 간담회에서는 모든 출입 절차를 밟았음에도 행색을 근거로 출입을 제지당한 노숙인도 있다. 중국 동포나 ‘외국인 노동자’로 싸잡히는 동남아 출신 이주민들 또한 우리 사회에서 냉혹하게 배재당하는 사람들이다. 난민은 또 어떠한가? 10년 동안 한국에 온 난민 신청자의 2%만이 난민 인정을 받는다. 이는 OECD 37개국 평균 난민 인정률의 10분의 1도 되지 않는 수치다. 휴전국인 우리가 훗날 위기에 처했을 때 난민으로 인정해 달라는 목소리는 과연 2% 정도의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까?
성소수자를 차별하는 이들은 “차별하지 않을 테니 티 내지 말고 조용히 살아라”고 말다. 저자는 언어 장애인을 낮잡아 부르는 말인 ‘꿀 먹은 벙어리’라는 표현을 쓴 국회의원의 발언을 지적하는 기사를 썼다가 오히려 항의 전화를 받기도 한다. 흑인 분장을 한 한국 고등학생들을 지적한 샘 오취리 역시 오히려 반격을 당한다. 고등학생들은 인종차별의 의도가 없었으므로 그의 태도가 지나치다고 항변한다. 아시아인이 외국에서 더 차별 받는다면서 역으로 그를 몰아세운다. 차별을 분명히 했지만 자신들은 차별한 적이 없다고, 그럴 의도가 없었다고 한다.
의도한 바가 아니었다는 한마디면 차별은 없었던 일이 되는 걸까? 차별이 아니라 오해라고 주장하는 이들, 억울하다고 주장하는 이들 속에서 차별한 사람은 사라져 버리고 만다.

오늘도 차별하지 않으려고 고군분투하는 보통의 당신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
차별과 혐오의 타성에 젖는 일은 쉽고 편리하다. 하지만 이에 저항하고 지적하려면 매사를 깐깐하게 바라봐야 한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모두가 자신의 촉수를 세워야 할 문제다. 그러나 모두가 말한다. 이런 차별은 나에게 해당하는 일이 아니니 나와 상관없는 일이라고 말한다. 차별이란 일부 사람들의 일이라고, 그저 특별한 일이라고 말한다. 그들은 노동자가 되지 않을 거라서 노동자 문제에 관심이 없고 전세에 살지 않을 거라서 부동산으로 갈라지는 계급 전쟁에서 나 몰라라한다. 또한 내 주변에 동성애자가 없으니 젠더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 적도 없다. 지방 출신이 아니라서 지역 차별 같은 건 2023년엔 아예 없다고 자기 편한 대로 생각해 버린다. 그렇게 쉽고 간단하게 ‘나는 차별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저자는 말한다. 당신의 안온한 일상이 곧 차별의 증표라고.
저자는 현실이 고달프고 팍팍해도 절망 속에서 희망을 택하고 차별에 맞서는 용기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이 책에 담고 싶었다고 말한다. 우리 사회에 일상적으로 퍼져 있는 차별을 곱씹어 보고 약자와 소수자들과 함께하는, 모난 돌이 아닌 두드릴수록 강해지는 쇳덩이가 되어 보자고 한다. ‘차별하지 말자’가 아니라 한 번이라도 자신이 아무렇지도 않게 차별한 순간들을 깨달을 수만 있다면 이 이야기의 효용은 거기에 있을 것이다.
‘언젠가 소수자가 될 나’를 위하는 마음으로, 다정을 행하려는 이들과 이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차별하지 않으려고 고군분투해도 때론 실패하고 또 좌절하기도 하는 우리 같은, 보통의 사람들이 이 책을 읽어주길 바라며.

저자

전혼잎

한국일보기자로2014년입사,정치부와정책사회부,디지털콘텐츠부를거쳐어젠다기획부마이너리티팀에서기사를쓴다.기자라는이유만으로자신에게곁을내어준이웃들을늘생각하며글을쓴다.스스로무뚝뚝한성격을제일단점이라여겼지만이제는'다정한것이살아남는다'는명제를마음에새기며일한다.
한국기자협회‘이달의기자상’,민주언론시민연합‘이달의좋은보도상’,장애인먼저운동실천본부‘좋은기사상’,한국여성기자협회‘2023년한국여성기자상’등을수상했다.공저로『우리시대의마이너리티』『중간착취의지옥도』를펴냈다.

목차

프롤로그_다정의노력

1부차별한적없는데요?
가장보통의차별
‘오빠취재’와‘흡연연대’
얼굴도안보고데려가는‘딸부잣집셋째딸’
춤파티37세女총리실각
좋은활동으로보답하기
‘늦게다니지마’라는2차가해
여성장관이잘되면여성의삶은변한다
쌈싸주면결혼까지생각하는
‘여자도군대가’면세상이바뀔까
교실속페미니즘
시간을달리는‘소년들’
신(新)모계사회에‘여성의낙원’은없다

2부마땅히혐오할만한존재들
전세라는이름의신분증
‘우리도’아이는낳지않기로했습니다
차별은다수결이아닙니다
영원히나이들지않을우리들
기자없는기자회견
마땅히혐오할만한존재들
‘선한’약자라는망상
대학가의‘청출어람’
‘누칼협’이라는시대정신
요양보호사가된‘아줌마’들
난민이그렇게좋으면
어른이되면

3부그렇게차별이하고싶으세요?
‘흑인인어공주’가필요해
‘정원외’존재들
‘전라디언’과사투리
‘우리’에게가는길
창문이라는혁명
저기압일땐고기앞으로
의원님,그렇게차별이하고싶으세요?
인종차별없는우리나라
불법체류라는죄
겨우서른에서‘서른,아홉’까지
이상한나라의휠체어
무언가를사랑하는일

에필로그_정맞는모난돌들을위하여

출판사 서평

일일이지적하기도애매한,일상이되어버린가장보통의차별
“언제나평등하지않은세상을꿈꾸는당신에게”라는차별과불평등,배제를내세우는아파트광고문구가어느날등장했다.10년전,노키즈존이등장하더니이제는아이가있는부모들도노키즈존에일부찬성한다.‘어쩔수없’다는분위기가지배적이다.한번허용된차별은누그러지기는커녕기세를더해간다.아니다,어쩌면대부분의사람들은이것이차별이아니라고생각하는지도모른다.하지만차별은다수결이아니다.차별하는지도모르고우리는매일‘보통의차별’을하며살아가는중이다.
노숙인은한국사회에서당연히여기는차별의대상중하나이다.숭례문화재발생당시나지하철6호선방화사건때는노숙인을대상으로수사를벌이기도했다.국회간담회에서는모든출입절차를밟았음에도행색을근거로출입을제지당한노숙인도있다.중국동포나‘외국인노동자’로싸잡히는동남아출신이주민들또한우리사회에서냉혹하게배재당하는사람들이다.난민은또어떠한가?10년동안한국에온난민신청자의2%만이난민인정을받는다.이는OECD37개국평균난민인정률의10분의1도되지않는수치다.휴전국인우리가훗날위기에처했을때난민으로인정해달라는목소리는과연2%정도의설득력을가질수있을까?
성소수자를차별하는이들은“차별하지않을테니티내지말고조용히살아라”고말다.저자는언어장애인을낮잡아부르는말인‘꿀먹은벙어리’라는표현을쓴국회의원의발언을지적하는기사를썼다가오히려항의전화를받기도한다.흑인분장을한한국고등학생들을지적한샘오취리역시오히려반격을당한다.고등학생들은인종차별의의도가없었으므로그의태도가지나치다고항변한다.아시아인이외국에서더차별받는다면서역으로그를몰아세운다.차별을분명히했지만자신들은차별한적이없다고,그럴의도가없었다고한다.
의도한바가아니었다는한마디면차별은없었던일이되는걸까?차별이아니라오해라고주장하는이들,억울하다고주장하는이들속에서차별한사람은사라져버리고만다.

오늘도차별하지않으려고고군분투하는보통의당신과나누고싶은이야기
차별과혐오의타성에젖는일은쉽고편리하다.하지만이에저항하고지적하려면매사를깐깐하게바라봐야한다.쉽지않은일이지만모두가자신의촉수를세워야할문제다.그러나모두가말한다.이런차별은나에게해당하는일이아니니나와상관없는일이라고말한다.차별이란일부사람들의일이라고,그저특별한일이라고말한다.그들은노동자가되지않을거라서노동자문제에관심이없고전세에살지않을거라서부동산으로갈라지는계급전쟁에서나몰라라한다.또한내주변에동성애자가없으니젠더문제에대해생각해본적도없다.지방출신이아니라서지역차별같은건2023년엔아예없다고자기편한대로생각해버린다.그렇게쉽고간단하게‘나는차별하지않는다’라고말하는사람들에게저자는말한다.당신의안온한일상이곧차별의증표라고.
저자는현실이고달프고팍팍해도절망속에서희망을택하고차별에맞서는용기있는사람들의모습을이책에담고싶었다고말한다.우리사회에일상적으로퍼져있는차별을곱씹어보고약자와소수자들과함께하는,모난돌이아닌두드릴수록강해지는쇳덩이가되어보자고한다.‘차별하지말자’가아니라한번이라도자신이아무렇지도않게차별한순간들을깨달을수만있다면이이야기의효용은거기에있을것이다.
‘언젠가소수자가될나’를위하는마음으로,다정을행하려는이들과이이야기를나누고싶다.차별하지않으려고고군분투해도때론실패하고또좌절하기도하는우리같은,보통의사람들이이책을읽어주길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