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생각과 계획이 사라져야 글쓰기가 시직된다.
전세계 500만 독자돌이 매일 모닝페이지를 작성하며 내면의 창조성을 이끌어내도록 가르쳐 준 줄리아 카메론의 명저 〈아티스트웨이〉, 자기안의 진실한 외침을 거침없는 글쓰기로 채워나갈 수 있게 만든 나탈리 골드버그의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자신에게 친절한 지혜와 연습으로 글을 쓰도록 가르쳐준 〈하버드 글쓰기 강의〉. 하지만 이 유명한 베스트셀러 작가들 모두에게 글쓰기의 깊은 통찰과 영감을 베풀어준 인물은 따로 있었으니 바로 생각하지 않고 무작정 써야한다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글쓰기를 설파했던 20세기 최고의 글쓰기 교사 피터 엘보(Peter Elbow)였다.
거침없이 말을하듯 무작정 써야한다는 피터 엘보의 혁신적인 글쓰기 원리는 학창 시절 글쓰기 문제로 거듭 고통받았던 실패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옥스포드 대학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영문학을 전공하게 된다.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영국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후손인 조나단 워즈워스였다. 당시 그는 지도교수의 마음에 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한다. 하지만 냉소적인 성격의 지도교수는 글쓰기에 있어서 늘 엄밀한 사고와 비판적 논증만을 강요했고 피터 엘보는 제대로 된 논문 한편 써내지 못하고 극심한 좌절과 상처를 겪고만다. 결국 지도교수를 교체하고 신경안정제에 의존하며 고통스럽게 학업을 이어갔다. 이후 하버드 대학원의 영문학과에 진학했으나 또 다시 극심한 글쓰기의 장애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만다. 이런 뼈아픈 실패와 방황을 거쳐 그는 다시 브랜다이스 대학에 진학했고 그곳에서 인생의 실패를 곱씹듯이 자신의 글쓰기 과정을 본격적으로 분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잠시 그는 다시 글쓰기의 불안과 치열한 무력감에 시달렸고, 어느 날 그만 절망에 짓눌린 채 거실 바닥에 주저앉아 타자기에 그 해묵은 불안과 혼란, 그 풀어낼 길 없는 생각과 느낌과 감정을 거침없이 쏟아내기 시작했다. 종이 위에 마구잡이로 토해내듯, 비명을 지르고 하소연하고 제발 살려달라고 애원하며 강박적으로 글을 쓰는 그 절박한 순간, 그는 자신이 글을 쓰고 있다는 사실마저 망각했지만, 이 글쓰기의 강박이 불러오는 절정의 몰입 상태 속에서 그는 두개골을 뚫고 나오는 자신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게 된다. 종이 위에 얼룩진 이 모든 생각과 느낌과 감정과 단어와 그 미숙한 문장들은 도대체 어디에서 온 것일까? 바로 글을 쓰는 자신의 진짜 마음에서다. 일체의 생각없이 그리고 계획없이 무질서하게 이어졌던 무작정 쓰기의 순간 그는 자신의 진실한 마음과 만났고 그 마음이 빚어낸 단어와 문장들의 진실한 의미와 만난 것이다. 그가 처음 무작정 쓰기에 입문했던 순간이었다.
피터 엘보의 명저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는 좋은 글이란 글을 쓰는 사람이 시간의 흐름을 망각하고 신체 감각마저 무뎌지면서 자신의 언어와 의미에 충분히 몰입하고 집중할 수 있었던 상태에서 작성된 글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무작정 쓰기야말로 이런 글쓰기의 몰입 상태와 절정 경험을 불러오는 유일한 방법이며, 과거 위대한 작가들이 흔히 영감(inspiration)이라고 불렀던 그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체험도 사실 무작정쓰기에서 비롯된 특수한 정신경험이라고 한다.
거침없이 말을하듯 무작정 써야한다는 피터 엘보의 혁신적인 글쓰기 원리는 학창 시절 글쓰기 문제로 거듭 고통받았던 실패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옥스포드 대학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영문학을 전공하게 된다.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영국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후손인 조나단 워즈워스였다. 당시 그는 지도교수의 마음에 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한다. 하지만 냉소적인 성격의 지도교수는 글쓰기에 있어서 늘 엄밀한 사고와 비판적 논증만을 강요했고 피터 엘보는 제대로 된 논문 한편 써내지 못하고 극심한 좌절과 상처를 겪고만다. 결국 지도교수를 교체하고 신경안정제에 의존하며 고통스럽게 학업을 이어갔다. 이후 하버드 대학원의 영문학과에 진학했으나 또 다시 극심한 글쓰기의 장애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만다. 이런 뼈아픈 실패와 방황을 거쳐 그는 다시 브랜다이스 대학에 진학했고 그곳에서 인생의 실패를 곱씹듯이 자신의 글쓰기 과정을 본격적으로 분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잠시 그는 다시 글쓰기의 불안과 치열한 무력감에 시달렸고, 어느 날 그만 절망에 짓눌린 채 거실 바닥에 주저앉아 타자기에 그 해묵은 불안과 혼란, 그 풀어낼 길 없는 생각과 느낌과 감정을 거침없이 쏟아내기 시작했다. 종이 위에 마구잡이로 토해내듯, 비명을 지르고 하소연하고 제발 살려달라고 애원하며 강박적으로 글을 쓰는 그 절박한 순간, 그는 자신이 글을 쓰고 있다는 사실마저 망각했지만, 이 글쓰기의 강박이 불러오는 절정의 몰입 상태 속에서 그는 두개골을 뚫고 나오는 자신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게 된다. 종이 위에 얼룩진 이 모든 생각과 느낌과 감정과 단어와 그 미숙한 문장들은 도대체 어디에서 온 것일까? 바로 글을 쓰는 자신의 진짜 마음에서다. 일체의 생각없이 그리고 계획없이 무질서하게 이어졌던 무작정 쓰기의 순간 그는 자신의 진실한 마음과 만났고 그 마음이 빚어낸 단어와 문장들의 진실한 의미와 만난 것이다. 그가 처음 무작정 쓰기에 입문했던 순간이었다.
피터 엘보의 명저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는 좋은 글이란 글을 쓰는 사람이 시간의 흐름을 망각하고 신체 감각마저 무뎌지면서 자신의 언어와 의미에 충분히 몰입하고 집중할 수 있었던 상태에서 작성된 글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무작정 쓰기야말로 이런 글쓰기의 몰입 상태와 절정 경험을 불러오는 유일한 방법이며, 과거 위대한 작가들이 흔히 영감(inspiration)이라고 불렀던 그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체험도 사실 무작정쓰기에서 비롯된 특수한 정신경험이라고 한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20.00